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공자가어(孔子家語) 상세페이지

공자가어(孔子家語)

  • 관심 1
소장
전자책 정가
50,000원
판매가
50,000원
출간 정보
  • 2025.07.10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PDF
  • 1018 쪽
  • 13.5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94677178
ECN
-
공자가어(孔子家語)

작품 소개

≪孔子家語≫는 책 이름의 풀이가 ‘공자 집안에 대대로 전해오던 공자 이야기’일까? 이보다는 ‘孔子家의 이야기들’이라는 뜻이 옳을 것이다. ‘孔子家’는 儒家의 다른 말이다. 즉 유가의 주장을 믿는 공자를 포함한 그 제자들, 儒者들을 일컫는 말일 것이다. 九流十家 중에 인명을 취한 ‘墨家’(墨翟)처럼 공자의 이름을 취하면 孔家일 것이며 풀어서 ‘孔子家’이다. 이 책 44편 3백여 장의 이야기를 들여다보면 공자 집안 이야기만 담은 것이 아니며, 공자와 유자들의 이야기이다.

山東 曲阜에는 孔俯, 孔廟, 孔林 등 소위 三孔이 있다. ‘孔俯’는 이름 그대고 그곳의 행정을 보는 관서이며, 공자가 소왕이었던 만큼 제후와 같으니, ‘府’가 맞을 것이다. ‘孔廟’는 공자 뒤를 이은 衍聖公들의 사당이며, 종묘이다. 그리고 ‘孔林’은 그곳 공씨 집안의 공동 先塋이다. 신기하게도 공림에는 꽤 넓고 숲도 우거졌는데 까마귀가 없다고 한다. 아주 오래 40여 년전 그곳에 들렀을 때 나는 ‘공자 집안은 어떻게 이어져 오늘날까지 무려 2천 수백 년을 이어왔을까?’ 하는 것에 흥미를 느꼈고, 공자가 위대하기도 하지만 이를 이어온 집안이 더 대단하다 여겼다. 나아가 대만에 공부할 때는 그곳 孔德成이라는 분이 생존한 채로 孔家의 76대 연성공이라는 설명에, 근간과 정통이 대만으로 건너왔다니 역사란 참 아이러니하다고 여기기도 하였다.

그래서 ≪孔子家語≫를 펼쳐보았다. 공씨 집안 내력과 세보, 가족과 출신 학자, 집안을 지켜온 전설 등이 있으려니 했는데, 막상 책을 펼쳐보면 “난초가 깊은 숲속에 나서 보아주는 자가 없다고 해서, 향기를 내뿜지 않는 것은 아니다”(芝蘭生於深林, 不以無人而不芳)라 하였고,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 치료에는 이롭듯이, 충성된 말은 귀에 거슬리나 행동에는 유익하다”(良藥苦口利於病, 忠言逆耳利於行)라는 말도 이 책에 보인다. 물론 최초 원전은 아니지만 늘 듣고 보아왔던 구절이 있음으로 해서, 이 책을 읽기에는 참으로 편했다.

이처럼 공자에 관한 일화나 어록을 가장 편하게 읽을 수 있는 책, 나아가 儒家(儒者)들의 주장이나 꿈을 가자 휩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추천하라면, 나는 바로 이 ≪공자가어≫를 들 것이다. 내용이 명확하고 문장도 순탄하여 한문에 처음 들어선 자도 차근히 들여다보면 내용을 알 수 있을 정도이다. 게다가 일화(逸話), 일사(逸事)의 이야기 중심이며, 다른 책에서 뽑아낸 정화(精華)들로써 익히 알고 있는 내용이 자주 눈에 띄기 때문이다.

이 책은 한때 삼국 위(魏)나라 왕숙(王肅)이 위조한 것으로 알려져 그 가치가 감손된 듯한 면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 위조나 가탁, 의탁의 편찬은 책의 가치를 폄훼할 아무런 이유가 없다.
즉 중국 한위(漢魏) 시대는 학자들이 자신이 의도한 어떤 주제가 있으면, 그 주제에 맞는 많은 자료를 각 경사자집(經史子集)의 전적에서 발췌하여 하나의 책으로 편집하는 것이 유행하였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여인들의 이야기만을 모으고자 하면 ≪열녀전≫이라는 이름으로 그에 맞는 일화, 고사를 수집하여 주제나 편장을 정한 다음 이를 전재하고 공자에 관련된 이야기만 모으고자 하면, 역시 그 책 이름을 정한 다음 그에 맞는 내용을 각 전적에서 전재하는 것이 당연한 저술 활동이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가 읽고 있는 많은 고대 중국 전적 중에는 이러한 방법으로 편찬된 고전이 부지기수이다. 그 때문에 동일한 이야기가 서로 겹쳐 각 고전에 출현하며 이로써 “나는 너의 것을 베끼고, 너는 나의 것을 베끼는”(我抄你, 你抄我) 현상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공자가어≫도 공자에 관한 일화를 모은 것으로 원래 왕숙이 공자 22세손 공맹(孔猛)이라는 사람의 집에 전해오던 것을 얻어 이를 정리하고 주석을 가한 것이기 때문에, 설령 고대 이미 있던 ≪공자가어≫라는 책 이름에 의탁하여 왕숙이 그 도서명의 권위를 의도적으로 이용했다 해도 별 문제가 될 것은 없다.
그리하여 송대에 이미 이 책은 공자와 유가(유자)를 이해하고, 그 당시의 시대상황과 문물 제도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인정을 받아왔다. 주희(朱熹)는 사서(四書)를 집주하면서 이 책의 내용을 인용하였고,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이 책을 중시하여 읽어왔음은 지금도 필사본이 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충분히 알 수 있다.
중국을 이해하고 동양을 이해하며 동양 문화를 이어갈 우리의 미래를 위해 이 책은 반드시 널리 읽히고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이미 출간된 적이 있다. 그런데 다시 들여다볼 때마다 누소하고 오자, 탈자, 오류 등이 발견되어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었다. 더구나 여러 사정으로 그간 나의 총서를 출판하던 일도 중단되어, 교정을 보아도 재출간의 기회조차 어려워지게 되었다. 그런데 마침 삼호재(三乎齋) 박노일(朴魯一) 대표가 그동안 이루어 놓아던 원고는 물론, 이제껏 기출간(旣出刊)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나의 저술을 재편집하여 <수정판>으로, 일관된 총서를 내어 전자책과 종이책으로 만들어보겠다고 하여, 속으로 하늘의 뜻이 아닌가 여겼다. 이제 나이로 보아도 영원한 시간은 얻을 수 없는 터에 이런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은 참으로 무슨 조화의 뜻이 있어서일 것이다. 그렇다면 공자(孔子)가 염원했던 “加我數年”의 천운을 만나나 것이 아닌가 하였다.
그리하여 밤낮없이 매달려 다시 정리하고 심지어 고향이 유와려에 오면서도 무엇보다 먼저 노트북부터 챙겨와서 수정하였으나, 그래도 미진하기는 마찬가지가 아닌가 한다. 독자 제현과 학자분들께서 아낌없는 질책을 성원도 함께 보내주기를 기다린다.

2024년 甲辰年 芒種에 茁浦 林東錫이
丹陽 大崗 黃庭山 圓通庵 아래 酉蝸廬에서 고쳐 적음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삶의 반올림, 고전 읽기 총서더보기

  • 맹자 (임동석)
  • 논어 (임동석)
  • 시경 파트2 (임동석)
  • 시경 파트1 (임동석)
  • 국어 (임동석)
  • 전국책 파트1 (임동석)
  • 상서 (임동석)
  • 전국책 파트2 (임동석)
  • 춘추좌전 파트1 (임동석)
  • 춘추좌전 파트5 (임동석)
  • 춘추좌전 파트4 (임동석)
  • 춘추좌전 파트3 (임동석)
  • 춘추좌전 파트2 (임동석)
  • 삼자경(三字經) (임동석)
  • 천자문(千字文) (임동석)
  • 당재자전(唐才子傳) (임동석)
  • 장자(莊子) (임동석)
  • 안자춘추(晏子春秋) (임동석)
  •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 (임동석)
  • 도연명집(陶淵明集) (임동석)

다른 출판사의 같은 작품더보기

  • 공자가어 1 (왕숙, 김영식)
  • 공자가어1 (왕광모 句解, 허경진)

다른 출판사의 같은 작품더보기

  • 공자가어 2 (왕숙, 김영식)
  • 공자가어2 (왕광모 句解, 허경진)

인문 베스트더보기

  • 나는 왜 남들보다 쉽게 지칠까 (최재훈)
  •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이영래)
  • 먼저 온 미래 (장강명)
  • 특별증보판 | 청춘의 독서 (유시민)
  • 넥서스 (유발 하라리, 김명주)
  • 나는 왜 아무것도 하기 싫을까 (배종빈)
  • 빌런의 심리학 (오시오 아쓰시, 김현정)
  • 초역 부처의 말 (코이케 류노스케, 박재현)
  • 모든 것의 새벽 (데이비드 그레이버, 데이비드 웬그로)
  • 센스의 철학 (지바 마사야, 전경아)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조현욱)
  • 부의 심리학 (김경일)
  • 여덟 단어 (박웅현)
  • 개정판|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70만 부 기념 리커버) (알랭 드 보통, 정영목)
  •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김명철)
  • 질문의 격 (유선경)
  • 내 마음을 위한 뇌과학 (쿼카쌤)
  • 니체의 인생 수업 (프리드리히 니체, 김현희)
  • 물질의 세계 (에드 콘웨이, 이종인)
  • 사랑의 기술(5판) (에리히 프롬, 황문수)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