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산해경(山海經) 상세페이지

산해경(山海經)

  • 관심 1
소장
전자책 정가
50,000원
판매가
50,000원
출간 정보
  • 2025.07.10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PDF
  • 1188 쪽
  • 79.7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94677161
ECN
-
산해경(山海經)

작품 소개

‘백불일진’(百不一眞)-“백 가지 중에 하나도 진짜는 없다.” 이것이 ≪산해경≫을 한 마디로 규정한 명언이다.
전체가 허구(虛構)이며, 있을 수도 없고 있지도 않은, 그런 허황한, 허무맹랑한, 나아가 있을 필요도 없는 그러한 책. 나아가 누가 지었는지, 왜 지었는지, 어떻게 전수되었는지, 주된 연구자나 관심을 가지고 지켜내어온 자는 누구인지 전혀 알 수도 없고, 밝혀지지도 않은 책! 그런데 어찌 상상을 있는대로 펴서 그림으로 그려서 보태기도 하고, <찬>을 지어 칭송하기도 하고, 마니아라고 푹 빠지기도 하며, 전혀 민멸(泯滅)되지 않은 채 지금껏 이어온 것일까?

도연명(陶淵明)은 <독산해경(讀山海經)>이라는 시의 첫 구절에서 “맹하(孟夏, 음력 4월 초여름)에 밭 갈기를 대강 마치고, 잠시 망중한의 틈을 내어 ≪주왕전≫을 보다가 ≪산해경≫ 그림도 훑어보도다. 위아래 온 우주를 두루 구경하는 것이니 즐겁지 않을 수 있겠는가?”(汎覽周王傳, 流觀山海圖. 俯仰終宇宙, 不樂復何如?)라 하였다.
나도 글을 쓰다가 지치거나 혹 그날 목표량을 마치고 잠시 쉴 때면, 우리나라 지도를 보다가 다시 세계지도를 펴들고 편안히 누워 온갖 상상을 다하는 재미를 느낄 때가 있다.
옛사람들도 이러한 책, 더구나 그림까지 곁들인 상상의 책, 거짓말이고 아니고를 떠나 신비한 꿈을 꾸게 하는 책을 버리지 아니하고 가끔은 즐겨 보았을 것이다. 그러한 책은 시공(時空)에 얽매인 현실을 훌쩍 넘어 먼 미지의 세계를 마음 놓고 날아다닐 수 있게 해 주며, 나아가 그 책을 지은 저자보다 더 거짓스러운 허상의 세계를 만들어 내가 창조주가 되어도 된다는 행복감을 줄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러한 삼매경에 빠졌을 때에는 그야말로 물아양망(物我兩忘)의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을뿐더러 와각(蝸角)과 같은 이 좁은 세계에서 아옹다옹하는 내 모습이 참 ‘나’가 아닐 수도 있다는 안도감도 맛볼 수 있을 것이다.

근엄하고 현실주의적이며 실증적인 사람이 이 책을 보면 황당하다는 느낌을 넘어, “이렇게까지 기괴한 내용을 책인 양 꾸며 수천 년을 이어왔단 말인가?”라고 의아해 할 것이다. 아니 “이러한 것이 무슨 가치가 있다고, 중국학이나 중문학, 신화, 전설, 무속, 의약, 지리 등 온갖 연구에 영향을 주었느니 어쩌니 하는가?”라고 할 것이다. 실로 그렇다. 청나라 때 이미 ‘百不一眞’이라고 결론이 내려지기는 했지만, 제목이 ‘산과 바다에 대한 經’이라 했으면, 적어도 지리서(地理書)이거나, ‘勝覽’이나 ‘乘輿’ 정도로 구체성이나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런데 말도 되지 않게 “어디에 무슨 산이 있다. 그곳으로부터 몇십 리를 가면, 무슨 산이 있고 거기에는 머리는 사슴이요, 다리는 잉어며, 꼬리는 닭”이라느니, ‘거기엔 어떤 나무나 광물이 있다’라고 천편일률적인 구성에, 아무리 비상식적이요 비논리적인 ‘非文’을 일부러 만들고자 해도 되지 않을, 그런 서술을 어찌 지어냈단 말인가? 그럼에도 이토록 오랜 시간 중국 사유(思惟)의 내면을 자리잡고 있었던 것은 무슨 까닭에서인가?

중국과 우리 동양의 도안, 문양, 길상문, 벽화, 전화(塼畫), 화상석(畵像石), 조각, 예술 등에 나타난 그 기괴하면서도 신비한 그림은 어디서 온 것일까? 아니 우리나라 고구려 四神圖나 고운 한식 건축에 올려져 있는 십이지상(十二支像), 궁궐 앞의 해치(海豸), 그리고 용상, 봉황, 신선도, 비선도, 蚩尤의 상을 그린 鬼面瓦 등을 보라. 어디 사람 몸에 쥐를 한 12가지 띠를 형상화한 모습이 실제 있는가? 그럼에도 우리는 거부감 없이 아름다움과 신비함, 그리고 나아가 제액(除厄)과 초복(招福)의 원초적 믿음까지 갖게 되지 않는가? 바로 이러한 것이다.

아주 멀고 오랜 옛날, 중국 초창기 사람들은 그러한 상상의 신비한 기록을 공간 위주로 설정하였다. 즉 지리에 그 상상의 그림을 채워 넓혀나간 것이다. 시간은 거기에 설정하지 않았다. 왜? 시간은 그 공간 위에 서로 함께 저절로 편재(遍在)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심원을 중심으로 동서남북과 중앙의 산이라는 기준점을 마련하여 있을 수 있는, 있어야 하는 온갖 동식물을 그곳에 나서 살고 생육하며 퍼져나가도록 생명을 불어 넣었다.
그리고 당시 지구 구조는 사방 바다가 땅을 둘러싸고 있다고 믿었다. 이에 그 바다 넘어, 아니면 그 바다 안쪽에도 시간과 공간이 있을 것이므로 반드시 어떠한 구조와 생명이 있을 것으로 여겨 그곳 세계를 설정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이름을 ‘산과 바다’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불려왔던 것이다. 그러나 분명 ≪산해경≫이라는 뜻은 ‘산과 바다에 대한 경전’이라는 뜻은 아니다. 공간의 확대를 위한 경유, 방향으로 보아 그렇게 방위를 경유하여 넓혀가는 경로라는 뜻의 ‘경’(經)이다.

이 책은 기술 방법이 아주 정형화되어 있고 단순하다. 즉 “어디로 몇 리에 무슨 산이 있고, 그 산에는 무슨 나무나 풀, 광물이 있다. 그리고 무슨 짐승(동물)이 있다. 그중 어떤 것은 어떤 병의 치료에 약이 된다, 혹은 그것이 나타나면 사람들에게 어떠한 재앙이나 복을 준다”의 공식이다. 소위 <산경(山經)> 480여 가지 기록은 모두가 이렇다. 그런가 하면 소위 <해경(海經)>도 “어디에 어떠한 기괴한 종족의 나라가 있다. 그들은 전혀 상상할 수 없는 이상한 생김새이다”의 틀을 이루고 있다.
다만 뒤편에 이르면 고대 중국 인명을 가탁(?)하여 원시 역사의 어떠한 사건을 겪었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그것도 아주 추형(雛形)의 거친 기록이다.
따라서 다른 기록의 역사적 사실을 방증 자료로 설명해도 맞지도 않는다. 서사성(敍事性)도 빈약하고 내용도 얼핏 보아 전혀 앞뒤가 맞지도 않는다.
기승전결의 긴장감도 없고, 사용된 문자도 일관성이 없이 벽자(僻字) 투성이이다.
그럼에도 겉으로 드러난 본문을 이해하는 데에는 그다지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된다. 공식대로 대입(代入)하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속에 든 내용은 무엇을 뜻하는지 도무지 알기 어렵다. 바벨탑이 무너진 직후 사람들이 각기 떠드는 소리와 같다.
그래서 진(晉)나라 때 곽박(郭璞)의 주(注)와 청(淸)나라 때 학의행(郝懿行)의 전소(箋疏) 등을 바탕으로 그 자질구레한 소문자를 있는대로 동원하여 보았지만 역시 미진하기는 마찬가지이다.

본 역주자는 우선 이 책을 ‘巫書’라 본 노신(魯迅)의 주장에 일부 동의한다. 즉 巫覡들이 자신만이 이해할 수 있는 어떤 세계를 기록한 것이다. 파촉 지역에서 비롯된 것이며, 고대 ‘巫祝’이 공식적으로 있었던 만큼, 이들이 자신들의 직업에 필요한 상상력을 그냥 폐기할 수 없어 남긴 것이라 보고 있다.
이를 신화연구의 가장 중요한 텍스트로 이용하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신화로서의 기본인 敍事性(Story telling)이 너무 빈약하기 때문이다. 문장의 길이도 너무 짧고, 내용은 창조나 변화의 전개 과정 따위는 전혀 가미되어 있지 않다. 물론 중국은 고대 신화, 전설이 비교적 빈약하다. 반고개벽(盤古開闢)이나, 여와보천(女媧補天) 등은 魏晉시대 志怪에서 비로소 나타나는 허구의 상상력이다. 따라서 문학으로 연구하기에도 매우 단순하다. 그러나 신기하고 재미가 있다. 인류가 얼마나 상상력을 확대시킬 수 있는가의 한계를 넓혀주고 있기 때문이다.

나는 전체를 868개의 문장으로 세분하고 일련 번호를 부여함과 동시에 모두 해체하듯 뜯어놓고 다시 맞추어보았더니, 역시 작업을 해볼 만한 가치를 느꼈다. 그러나 이 방면이 전공이 아니고 다만 중국 고전이라는 고정된 관념을 가지고 정리한 것인만큼, 제대로 기대만큼 완성된 결과는 얻지 못하였음을 자인한다. 그저 이를 교재로 하거나 입문서로 사용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초보적 자료를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작업을 마무리하고 이쯤에서 손을 떼는 것이 학문에 대한 도리요, 면책의 핑계라 여긴다.
한편 이 책은 일찍이 본인이 사계(斯界)에 자료 제공의 의미로 출간하였다.
그러나 여러 사정으로 나의 중국고전 역주 총서가 중단되어, 다른 작업을 하고 있을 때 마침 삼호재(三乎齋) 박노일(朴魯一) 대표가 나의 그간 이미 내었던 고전 역주 총서는 물론 더 집필하는 것도 모두 새롭게 수정판(修整版)으로 내보겠노라 나섰다. 이 시대 고전 역주의 정본(正本)들이 제대로 평가를 받지는 못하지만, 그 가치는 반드시 이어져야 한다는 사명감이란다. 이에 다시 자세히 들여다보았더니, 고칠 부분과 통일해야 할 편집 기호, 푯점과 문장 호응 등이 많이도 발견되었다. 완성도를 높이는 데는 그저 바르게 역주하는 것만이 종점은 아니기에 매달린 부수 작업도 만만치는 않았다. 그래도 오류나 온전하지 못한 부분과 누소함을 면할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강호제현의 많은 질책과 편달을 기다린다.

2024년 甲辰年 驚蟄에 大同江 물이 풀리기를 기다리며,
취벽헌(醉碧軒)에서 줄포(茁浦) 임동석(林東錫)이 다시 고쳐 적다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삶의 반올림, 고전 읽기 총서더보기

  • 맹자 (임동석)
  • 논어 (임동석)
  • 시경 파트2 (임동석)
  • 시경 파트1 (임동석)
  • 국어 (임동석)
  • 전국책 파트1 (임동석)
  • 상서 (임동석)
  • 전국책 파트2 (임동석)
  • 춘추좌전 파트1 (임동석)
  • 춘추좌전 파트5 (임동석)
  • 춘추좌전 파트4 (임동석)
  • 춘추좌전 파트3 (임동석)
  • 춘추좌전 파트2 (임동석)
  • 삼자경(三字經) (임동석)
  • 천자문(千字文) (임동석)
  • 당재자전(唐才子傳) (임동석)
  • 공자가어(孔子家語) (임동석)
  • 장자(莊子) (임동석)
  • 안자춘추(晏子春秋) (임동석)
  • 당시삼백수(唐詩三百首) (임동석)

인문 베스트더보기

  • 나는 왜 남들보다 쉽게 지칠까 (최재훈)
  •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이영래)
  • 먼저 온 미래 (장강명)
  • 특별증보판 | 청춘의 독서 (유시민)
  • 넥서스 (유발 하라리, 김명주)
  • 빌런의 심리학 (오시오 아쓰시, 김현정)
  • 나는 왜 아무것도 하기 싫을까 (배종빈)
  • 초역 부처의 말 (코이케 류노스케, 박재현)
  • 모든 것의 새벽 (데이비드 그레이버, 데이비드 웬그로)
  • 부의 심리학 (김경일)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조현욱)
  • 여덟 단어 (박웅현)
  • 질문의 격 (유선경)
  • 작은 일기 (황정은)
  • 물질의 세계 (에드 콘웨이, 이종인)
  • 사랑의 기술(5판) (에리히 프롬, 황문수)
  • 내 마음을 위한 뇌과학 (쿼카쌤)
  • 개정판|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70만 부 기념 리커버) (알랭 드 보통, 정영목)
  •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김명철)
  • 니체의 인생 수업 (프리드리히 니체, 김현희)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