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문화사회학 상세페이지
소장
전자책 정가
17,500원
판매가
17,500원
출간 정보
  • 2024.10.31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33.2만 자
  • 52.3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88952249524
ECN
-
문화사회학

작품 정보

사회와 문화의 상호작용을 세밀하게 분석하다!
기존 사회학의 상상력에 도전하는『문화사회학』. 한국문화사회학회의 연구자들이 각자의 전공 주제에 대해 핵심적인 내용을 풀어 쓴 이 책은 특정 문화가 정체성, 사회적 관계, 사회제도 및 구조 등의 질서와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역으로 사회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어떻게 특정 문화의 형성과 유지,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조명하는 문화사회학의 연구 주제와 방법을 소개한 책이다. 문화산업, 미디어, 사이버공간, 자기계발 등 19개의 다양한 주제를 통해 문화와 사회 간 상호작용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고, 인기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온라인 게임에서부터 촛불집회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목격하고 경험할 수 있는 풍부한 사례를 보여준다. 학부 2~3학년을 위한 교재임을 감안하여,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하도록 각 장마다 학습 목표와 핵심 키워드를 미리 제시하였으며, 반드시 알아야 할 학술 용어는 글상자를 이용하여 쉽게 풀어썼다.

작가

한국문화사회학회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김한상은 아주대학교 사회학과 조교수이며 시각성과 이동성의 문화/역사사회학, 냉전 체제의 시각 문화와 문화 정체성에 대해 탐구해 왔으며 《Journal of Asian Studies, Journal of Korean Studies》, 《사회와역사》, 《역사비평》, 《Inter-Asia Cultural Studies》 등에 관련 논문을 기고했다. 저서로는 《조국 근대화를 유람하기: 박정희 정권 홍보 드라이브 〈팔도강산〉 10년》, 《고속도로의 인문》(공저) 등이 있다.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주한 미 군정 및 주한미국공보원USIS의 영화 선전과 문화 정체성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샌디에이고, 라이스대학교 등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일하며 강의와 연구를 해 왔다.

김혜경은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며 가족과 젠더를 주요 연구 영역으로 한다.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2014)을 비롯해 다수의 가족사회학 교재의 출간에 참여했다. 가족과 노동의 접합 및 돌봄 노동을 주제로 《노인 돌봄: 노인 돌봄의 경험과 윤리》(2011, 공저), 《일·가족·젠더: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2009, 공저)를 펴내며 심층면접과 서사 분석 방법론을 사용했다. 또한 한국 근대 가족의 형성사에 관심을 가지고 역사적 작업들을 수행해 왔으며 《식민지하 근대 가족의 형성과 젠더》(2006)를 펴냈다. 최근에는 청년, 지역, 공동체를 주제로 연구하고 있다.

박소진은 신한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이며 주된 관심 분야는 도시인류학, 교육인류학, 가족 및 젠더 인류학, 질적 방법론이다. 저서로 《신자유주의 시대의 교육 풍경: 가족, 계급, 그리고 전지구화》(2017)가 있다. 공저는 《No Alternative? Experiments in South Korean Education》(2013), 《한국 사회의 문화 풍경》(2013), 《교육 불가능의 시대》(2011) 등이 있으며 논문은 〈마음의 학문적 재발견: 개인과 집단의 마음, 그리고 한마음〉 등이 있다.

신경아는 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며 주된 관심 분야는 젠더사회학, 여성노동, 가족사회학이다. 논문으로는 〈시간선택제 여성 노동자의 조직 내 주변화에 관한 연구〉(2016), 〈신자유주의시대 남성 생계 부양자 의식의 균열과 젠더 관계의 변화〉(2014), 〈시장화된 개인화와 복지 욕구〉(2012), 〈노인 돌봄의 탈가족화와 노인의 경험〉(2011) 등이 있다. 공저로는 《감정노동의 시대, 누구를 위한 감정인가?》(2017), 《여성과 일》(2015), 《젠더와 사회》(2014),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2014), 《사회학: 비판적 사회 읽기》(2012) 등이 있다.

신지은은 부산대학교 사회학과에 재직 중이며 주된 관심 분야는 문화사회학, 일상생활의 사회학이다. 문화, 공공성, 일상생활, 상식학, 공간 같은 주제에 관심이 있다. 저서로 《Le fla??neur postmoderne》(2014), 역서로 《영원한 순간》(2010)?《복잡성 사고 입문》(2012)이 있다.

염미경은 제주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이며 주된 관심 분야는 도시/지역사회학, 문화사회학, 구술사 방법론이다. 저서로 《일본의 철강도시: 성장정치와 도시체제의 변화》(2001), 《제주옹기와 사람들: 소멸과 재현의 지역사》(2012)가 있으며 공저로 《전쟁과 사람들: 아래로부터의 한국전쟁연구》(2003), 《전쟁과 기억: 마을 공동체의 생애사》(2005), 《제주 사회의 여성결혼이민자들: 선택과 딜레마 그리고 적응》(2008), 《韓國の少子高齡化と格差社會》(2011), 《다문화사회, 이주와 트랜스내셔널리즘》(2012), 《제주 전통 옹기의 복원과 전승 및 문화 유산화 과정 연구》(2015) 등이 있다.

윤명희는 블로그 연구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국가청소년위원회·보건복지가족부 전문위원, 한겨레신문사 선임연구원, 이화여대·한림대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으며 청소년·세대 및 디지털 문화 관련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다. 논문 〈디지털연결사회에서 사생활은 소멸하는가: 네트워크화된 사생활과 선별적 자기 전시〉(2017)와 저서 《중독은 없다: 섣부른 편견으로 외면해 온 디지털 아이들의 일상과 문화》(2016), 공저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2009)?《문화사회학》(2012) 등이 있다.

이나영은 중앙대학교 사회학과 교수이며 주된 이론적 관심 분야는 페미니즘, 섹슈얼리티, 민족주의, 포스트식민주의, 구술사다. 일본군 ‘위안부’, 미군 기지촌, 성매매, 성폭력과 관련해 현장연구를 오랫동안 진행해 왔다. 한국어, 영어, 일본어로 활발한 연구 작업을 하고 있으며 최근 주요 저작으로 〈The Korean Women’s Movement of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Navigating between Nationalism and Feminism〉(2014), 〈민족주의와 젠더: 도전과 변형을 위한 이론적 지형도 그리기〉(2015), 〈성매매는 ‘죄’인가? ‘여성 혐오’에 기반한 구조적 폭력인가?〉(2016), 《미디어와 젠더》(2013, 공저), 《젠더와 사회》(2014, 공저), 《‘조국 근대화’의 젠더 정치: 가족, 노동, 섹슈얼리티》(2015, 공저), 《2015 ‘위안부’ 합의, 이대로는 안 된다》(2016, 공저), 《Women’s Activism and ‘Second Wave’ Feminism》(2017, 공저) 등이 있다.

이재성은 성공회대학교 사회문화연구원 연구위원이며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에서 사회과학 글쓰기 강좌를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노동운동, 지역운동, 문화운동 등이다. 지역과 노조 수준의 미시적 노동사를 지향하며 노동자 글쓰기와 아카이빙 등 기록 문화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을 하고 있다. 저서로 《지역사회운동과 로컬리티: 1980년대 인천의 노동운동과 문화운동》(2014), 공저로 《수원 노동자의 노동세계와 노동문화》(2014)?《디지털 시대의 구로 지역》(2016)?《민주노조, 노학연대 그리고 변혁》(2017) 등이 있다.

정수복은 사회학자이며 작가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프랑스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시민환경연구소 부소장, 크리스챤아카데미 기획연구실장, 사회운동연구소장, 파리 ‘사회과학고등연구원’ 객원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의미세계와 사회운동》, 《시민의식과 시민참여》, 《한국인의 문화적 문법》, 《응답하는 사회학》 등 사회학 책과 《파리를 생각한다: 도시 걷기의 인문학》, 《파리의 장소들: 기억과 풍경의 도시미학》, 《프로방스에서의 완전한 휴식》, 《삶을 긍정하는 허무주의》, 《책에 대해 던지는 7가지 질문》 등이 있다. 논문으로 〈La place de l‘individu dans la tradition confuceenne- Autocritique de la modernite en Extreme-Orient: Coree, Chine, Japon〉(2012), 〈Crise et perenite du modele cofuceen en Coree du Sud〉(2005) 등이 있다.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문화사회학 (한국문화사회학회)
  • 질적 연구방법론 (한국문화사회학회, 한국문화사회학회)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정치/사회 베스트더보기

  • 나의 한국현대사 1959-2020 (개정증보판) (유시민)
  •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이영래)
  • 침묵의 봄 (레이첼 카슨, 김은령)
  • 총, 균, 쇠 (재레드 다이아몬드, 강주헌)
  • 재벌과 검찰의 민낯 (김영석)
  • 죽은 다음 (희정)
  • 기울어진 평등 (마이클 샌델, 토마 피케티)
  • 결국 국민이 합니다 (이재명)
  •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스티븐 레비츠키, 대니얼 지블랫)
  • 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샌델, 김명철)
  • 붉은 인간의 최후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김하은)
  • 행동 (로버트 M. 새폴스키, 김명남)
  • 공정하다는 착각 (마이클 샌델, 함규진)
  •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 (스티븐 레비츠키, 대니얼 지블랫)
  •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대런 애쓰모글루, 제임스 A. 로빈슨)
  • 이재명에 관하여 (김민석)
  • 나는 북경의 택배기사입니다 (후안옌)
  • 광장 이후 (신진욱, 이재정)
  • 이재명 자서전 (이재명)
  • 주민의 헌법 (박주민)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