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공산토월 상세페이지

소설 한국소설

공산토월

한국문학전집 004
소장종이책 정가15,500
전자책 정가30%10,900
판매가10,900

공산토월작품 소개

<공산토월> 1993년 12월, 한국문학의 새로운 플랫폼이고자 문을 열었던 문학동네가 창립 20주년을 맞아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을 발간, 그 첫 스무 권을 선보인다. 문학의 위기, 문학의 죽음은 언제나 현재진행형이다. 그래서 문학의 황금기는 언제나 과거에 존재한다. 시간의 주름을 펼치고 그 속에서 불멸의 성좌를 찾아내야 한다. 과거를 지금-여기로 호출하지 않고서는 현재에 대한 의미부여, 미래에 대한 상상은 불가능하다. 미래 전망은 기억을 예언으로 승화하는 일이다. 과거를 재발견, 재정의하지 않고서는 더 나은 세상을 꿈꿀 수 없다. 문학동네가 한국문학전집을 새로 엮어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은 지난 20년간 문학동네를 통해 독자와 만나온 한국문학의 빛나는 성취를 우선적으로 선정했다. 하지만 앞으로 세대와 장르 등 범위를 확대하면서 21세기 한국문학의 정전을 완성하고, 한국문학의 특수성을 세계문학의 보편성과 접목시키는 매개 역할을 수행해나갈 것이다.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 004
이문구 대표중단편선 공산토월


문학동네 한국문학전집의 제4권은 2003년 타계한 소설가 이문구의 대표중단편선 『공산토월』이다. 한국문학사에서 이문구는 그 이름 자체로 고유명사이자 일반명사다. 구수한 충청도 사투리로 이루어진 토박이의 생생한 입말, 엎치고 뒤치는 이야기들의 사이에서 여지없이 툭툭 터져나오는 풍자와 해학은 그 자체로서 하나의 ‘문학’이라고 부를 만하다. ‘농촌 최후의 시인’이라는 문학평론가 유종호의 말처럼, 이문구는 빠르게 진행되는 산업화에 휩쓸려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던 농촌의 풍경과 사람들을 소설 속에 실감 있게 그려놓았다.
『공산토월』에는 「암소」(1970), 「일락서산日落西山?관촌수필1」(1972), 「행운유수行雲流水?관촌수필3」(1973), 「녹수청산綠水靑山?관촌수필4」(1973), 「공산토월空山吐月?관촌수필5」(1973), 「우리동네 金氏」(1977), 「우리동네 李氏」(1978), 「명천유사鳴川遺事」(1984), 「유자소전兪子小傳」(1991), 「장동리 싸리나무」(1995) 총 열 편의 소설이 묶였다. 가장 먼저 쓰인 「암소」와 가장 나중에 쓰인 「장동리 싸리나무」에는 이십오 년의 상거가 있다. 이 자체가 한 시대의 정경情景이라 할 만하다.
각 작품에 등장하는 농촌의 갑남을녀들이 벌이는 어깃장과 대거리의 입씨름판은 우리네 농촌의 토속적인 분위기를 현장감 있게 담아낸다. “홍시의 붉은 단물을 쏙쏙 빨아 삼키듯 읽어가게 하는 힘.”(신경숙) 타계한 지 십 년의 세월이 훌쩍 넘었지만, 이문구가 벌여놓은 유장하고 풍부한 사람살이의 난장은 시간이 흘러도 변치 않는 가치들을 끊임없이 새롭게 일구어내며 내내 살아 숨쉴 것이다.

다른 것도 아니고 필생의 깨달음과 회한의 순간을 사투리로 기록한다는 것, 아버지의 언어가 아니라 조부와 신석공과 옹점이의 언어로 기록한다는 것, 그것은 대단한 일이라 아니할 수 없다. 그것이 바로 이문구적인 것이다. 소설을 쓰다보면 좀 잘된 것도 있고 안된 것도 있기 마련이다. 아무리 대단하고 정교하고 감동적인 허구의 세계를 만들어냈다 하더라도 허구는 허구일 뿐이다. 예술의 세계 그 자체보다 중요한 것은 그 속에 새겨져 있는, 그것을 만들어낸 사람의 정신, 한 사람이 소설쓰기라는 행위를 통해 보여주는, 혹은 문학하기라는 실천의 영역을 통해 보여주는 정신의 폭이자 높이다. 우리가 이문구를 고유명사로서의 문학이라고 부른다면 바로 그런 점 때문이다. _서영채(문학평론가, 서울대 아시아언어문명학부 교수)

이문구의 소설에서 어휘와 문장, 또는 문체를 아우르는 그의 소설 속의 ‘말’들은 방법이나 묘사의 차원이 아니라, 그것 자체로 하나의 주제이자 이념의 위치에 놓여 있다. 그는 어떤 작가보다도 ‘저잣거리’의 ‘말’이 지닌 생명력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고, 그 ‘말’들을 각고의 노력으로 포착하기 위해 애써온 작가이다. 그에게 ‘말’들은 곧 세계 그 자체였다. _한수영(문학평론가)



저자 프로필

이문구

  •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941년 4월 12일 - 2003년 2월 25일
  • 학력 서라벌예술대학교 문예창작
  • 경력 문화연대 공동대표
    김동리기념사업회 회장
    1999년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장
    1996년 민족문학작가회의 부이사장
  • 데뷔 1966년 현대문학 소설 '백결'
  • 수상 2003년 은관문화훈장
    2001년 제33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
    2000년 재31회 동인문학상
    1996년 대통령표창
    1993년 제4회 농촌문화상 문예부문

2014.12.02.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저자 - 이문구 (1941~2003)
1941년 충남 보령에서 태어나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재학 당시 김동리로부터 장차 한국소설의 대단한 스타일리스트가 될 것이라 극찬을 받았으며, 『현대문학』에 단편소설 「다갈라 불망비」(1963)와 「백결」(1966)이 추천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2003년 향년 63세를 일기로 영면에 들기까지 질박한 토속성과 해학성이 담긴 독자적인 소설세계를 일구어냈다.
1972년 장편소설 『장한몽』으로 한국창작문학상을, 1978년 소설집 『우리 동네』로 한국문학작가상을, 1990년 요산문학상을, 1991년 단편소설 「장곡리 고욤나무」로 흙의 문예상을, 1991년 장편소설 『산 너머 남촌』으로 펜문학상을, 1992년 장편소설 『매월당 김시습』으로 서라벌문학상을 수상했다. 1993년 농민을 꾸준히 소설적으로 형상화해온 공로를 인정받아 농민문화상을 수상했으며 같은 해 소설집 『유자소전』으로 만해문학상을 수상했다. 2000년 소설집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로 "그의 토속어는 표준어보다 더 강렬한 호소력과 보편적 감응력을 지닌 언어미학의 경지에 이르고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90년대의 농촌 풍경과 사람살이를 날카로운 풍자와 풍성한 해학으로 핍진하게 그려낸 이 소설집은 한 세계를 꾸준히 천착해온 작가의 결정체를 보여주는 수작이다. 2001년 대한민국문화예술상을, 2003년 은관문화훈장을 수상했다.
소설집 『이 풍진 세상을』 『해벽』 『관촌수필』 『우리 동네』 『유자소전』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 장편소설 『장한몽』 『산 너머 남촌』 『매월당 김시습』 등이 있다. 문장으로 치면 "북의 홍명희, 남의 이문구"라 할 정도로 우리말 특유의 가락을 잘 살려낸 아름다운 문체를 통해 작가 자신이 체험한 농촌 현실과 농민 문제를 소설로 형상화하여 농민소설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목차

암소
일락서산日落西山 관촌수필1
행운유수行雲流水 관촌수필3
녹수청산綠水靑山 관촌수필4
공산토월空山吐月 관촌수필5
우리동네 金氏
우리동네 李氏
명천유사鳴川遺事
유자소전兪子小傳
장동리 싸리나무

낱말풀이
해설|서영채(문학평론가) | 이문구, 고유명사로서의 문학
작가 연보


리뷰

구매자 별점

4.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3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