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이 나타났다!
한국 문학평론의 새로운 풍경, 복도훈의 첫 평론집 『눈먼 자의 초상』
‘비상사태’ ‘예외상태’가 일상이 되어버린 2000년대 대한민국, 누군가는 냉소하고 누군가는 침묵할 때, 고집스럽고 치열하게 우리가 발 딛고 있는 바로 ‘지금 여기’를 일깨우는 젊은 문학평론가가 있다. 2005년 계간 『문학동네』를 통해 등단한 지 2년 만에 현대문학상(평론부문)을 수상하며 한국 문학평론을 이끌어갈 새로운 얼굴로 떠오른 평론가 복도훈이다. 그가 여러 지면에 발표했던 글들의 논리를 보다 정교하게 다듬고 이론적 토대를 강화하고 문장을 정성스레 매만져 등단 5년 만에 첫 평론집 『눈먼 자의 초상』을 내놓았다.
문학을 막 시작하려 할 때 그것이 명을 다했다는 선언을 들어야 했던 ‘문학 없는 시대의 문학’에서 평론이 가야 할 길을 묻는 고뇌의 흔적이 650여 쪽 방대한 분량에 빼곡히 담겨 있다. 그의 글은 조르조 아감벤과 자크 데리다, 자크 라캉과 슬라보예 지젝, 가라타니 고진 등 현대 사상가들의 단단한 이론적 토대 위에서 “이미지와 서사의 매력을 좇아가면서도 문예반적 담합에 기울지 않고 그 정치적, 윤리적 연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황종연, 문학평론가) “우리 시대 젊은 비평가의 문장치고는 드물게 비평의 고전적 이상에 가장 근접해 있다”(김형중, 문학평론가)는 평이 과장이 아닌 이유다.
그가 읽는 한국문학의 키워드는 어둠을 응시하는 ‘눈먼 자’의 초상이다. 현실의 사회정치적 맥락과 인간 삶에서 필연적인 어두운 이면, 그 ‘부정성’을 회피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체화한 작품들, 그가 ‘축생’ ‘시체’ ‘자동인형’으로 묘사하는 괴물 같은 캐릭터들을 통해 오히려 한국문학의 새로운 희망을 이야기한다. “이 소설들이 묘사한 예외상태야말로 우리 시대 한국문학의 지형도를 새로이 그려나갈 수 있는 보편성의 감춰진 토대일지 모른다”고 그는 주장한다. “문학의 미래, 살아 있는 실존이란 모름지기 폐기물, 오염된 것, 쓰레기를 소각하는 것이 아니라 지저분하고 역겹더라도 그것들을 토대로 세워져야 한다”(「언데드undead」)는 것.
비유하자면, 오늘날의 한국문학은 자신의 두 눈을 찌른 후 어둠 속을 응시하면서 정처 없는 방랑을 떠나게 된 오이디푸스와 처지가 비슷하지 않을까. 두 눈을 찌르기 전, 그는 자신의 운명에 대해 눈먼 자였지만 두 눈을 찌른 후에야 비로소 자신의 삶에 대한 뼈아픈 통찰을 얻게 되었다.(「책머리에」)
‘언데드(undead)’에서의 문학에서 보다 나은 삶, 새로운 방식의 연대를 꿈꾸는 전복적 상상력!
1부 ‘부정성에 머무르는 힘’에서는 프로이트가 ‘문명의 불만’이라고 불렀던 것, 안락함과 윤택함을 제공하지만 실제로는 삶을 억압하고 길들이는 다양한 사회체계의 괴물과도 같은 어두운 이면을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응시하는 작품, 문학과 삶의 원천인 부정성을 혁신하는 소설들에 관심을 기울였다. 백민석, 백가흠, 편혜영, 박형서 등 2000년대 젊은 작가들의 소설에 나타난 캐릭터의 경향을 ‘시체’ ‘축생’ ‘자동인형’이라는 이름으로 분석하고, 이를 ‘신(新)인류학’이라고 명명한다. 그에게 “특히 1부에서 자주 다룬 백민석의 소설(지금 누가 그와 그의 소설을 기억하고 있는가!)은 매번 새 글을 쓸 때마다 나도 모르게 되돌아오게 되는 원천이다”. 「죽음에 이르는 병」에서는 최수철의 장편소설 『페스트』를 중심으로 삶의 한 양태로서의 죽음, 자살의 문제를 살펴보고, 「언데드undead」에서는 편혜영의 『아오이가든』 속 문장을 실마리로 그의 문학관을 관통하는 열쇠인 ‘언데드’, 산주검으로서의 문학을 이야기한다.
2부 ‘더 나은 삶에 대한 꿈’에는 고단한 삶과 무심한 세상을 맞이하는 주체적 태도, 타자와 우정을 맺는 방법의 혁신을 통해 보다 나은 삶의 형상과 공동체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글들이 묶였다. 「우정을 상상하는 세 가지 방법」에서는 김연수, 최인석, 전성태의 단편 속 외국인, 동물, 동포와의 만남을 통해 정치 문화적 국경, 생물학적 종차를 넘어서는 소통 없는 소통, 또는 우정과 연대의 가능성을 상상해본다. 또 『카스테라』 이후 발표된 박민규의 네 단편을 중심으로 생존이 삶과 동일시되는 우리 시대 삶과 문학의 풍경에서 좌절되거나 굴절된 희망의 지표들을 점검한다(「생존이 꿈인 자들의 삶, 생존이 삶인 자들의 꿈」).
3부 ‘문학의 국경, 국경의 문학’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한국문학의 중요한 현상 중 하나로 일반화되어가는 국경의, 국경 너머의 삶, 외국인과의 만남 등 글로벌 자본주의의 확장과 재편에 따라 지각변동을 겪는 삶과 세계의 궁핍한 형상을 다뤘다. ‘한국문학의 세계화’라는 방식으로 한국문학이 이러한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의 새로움을 염두에 두되, 그것이 정치경제적, 문화적 타자와 맞닥뜨릴 때 생길 수 있는 난점도 아울러 고려한다.
그들이 네팔의 코끼리와 러시아의 바이칼 호수, 니르바나 같은 이국적 신비를 업고 흡사 문화사절단처럼 등장하더라도 그 문화의 표정들은 하위제국(sub-empire)인 남한의 정치경제적 현실에서 한국인들이 그들에게 지불한 최소임금에 부합하는 관광상품에 불과하다. 이 상품교환의 정치경제적 현실을 문제삼지 않는 한 이방의 문화는 물신(fetish)이며, 그에 대한 상상력은 키치(kitsch)일 따름이다.(「연대의 환상, 적대의 현실」)
4부와 5부는 각각 ‘소설의 성좌 1’ ‘소설의 성좌 2’라는 제목 아래 그가 5년간 써온 작가론과 작품론, 해설 등을 묶은 것으로 한국소설의 이모저모에 대한 그의 평소 관심을 드러낸 글들이다. 윤대녕, 신경숙, 김훈에서 김언수, 김숨, 명지현의 최근 소설에 이르기까지, ‘정념이 배치되는 성좌’로서의 소설에 대한 저자의 깊은 애정과 상념이 묻어난다. “아마도 또다른 소설들이 빚어내는 더 많은 성좌와 그것이 빚어내는 망탈리테가 소설의 우주 어딘가에서 생성될 것이다. 그 우주는 또한, 당연히 비평이 있어야 할 자리이기도 하다.”(「소설, 정념이 배치되는 성좌」)
저자 스스로 가장 공력을 쏟은 글들이라고 밝힌 6부 ‘하나이면서 여럿인 문학’은 문학하는 행위의 근본에 자리 잡고 있는 ‘말(言語)’에 대한 생각의 단편들이다. 「화염과 재」에서는 2008년 숭례문 전소 사건과 그로부터 1년 뒤 일어난 용산 참사로 운을 뗀 뒤, 김연수의 장편소설 『네가 누구든 얼마나 외롭든』 『밤은 노래한다』를 통해 이상이 혹은 꿈이 불타고 남은 뒤의 ‘재’, 곧 남겨진 자의 ‘애도’의 문제에 천착한다. 마지막으로, 그의 글의 시작이자 끝인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 왕』과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를 경유하여 포스트문학의 윤리와 정치를 사유한다.
복도훈은 문학에서의 새로운 유행에 관심을 가지면서도 저널리즘적 보고에 그치지 않고 문학의 자기의식의 운동을 발견하고자 한다. 이미지와 서사의 매력을 좇아가면서도 문예반적 담합에 기울지 않고 그 정치적, 윤리적 연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래서 보통 독자의 눈에는 단지 아리송한 듯한 소설 텍스트의 한 구절이 포스트모던한 상황의 상형문자로 화하는 흥미진진한 이변이 그의 평론에서는 때때로 일어난다. 한국소설의 신작들이 이토록 풍부한 주석(註釋)의 환대를 받은 적이 있었던가, 한국문학의 현황이 이토록 열렬한 변증(辨證)의 응접을 받은 적이 있었던가 의문이다. _황종연 (동국대 교수, 문학평론가)
원래 비평이 저랬거나 저렇게 되기를 꿈꾸었다. 학문 간 경계를 넘어 다양한 개념의 갑옷으로 무장하고, 고금을 망라해서 찬란하게 빛나는 각주들의 군대를 거느리고, 기민한 감수성은 척후병 삼고 명민한 분석력은 기마병 삼아, 그 어떤 텍스트를 향해서도 주눅 들지 않고 전진하는 문장들의 육중한 행렬······ 복도훈의 문장들은 우리 시대 젊은 비평가의 문장치고는 드물게 비평의 고전적 이상에 가장 근접해 있다. _김형중 (문학평론가)
평론가 복도훈 하면 떠오르는 건 비평고원, 쌍수대인, 안면도, 백민석 등이다. 그리고 종로. 아마도 종로에서 우리는 처음 만났고, 그에게 처음 들은 말은 라캉이었다. 그는 문학평론가로 등단했고, 나는 가끔 그의 글을 읽었다. 그리고 놀랐다. 평론가 복도훈은 내가 아는 섬사람 복도훈과 달랐다. 복도훈이라는 비평기계 속에는 혹 꼽추 난쟁이가 들어앉아 있는 것이 아닐까. 현대 철학과 이론에 대한 예민한 감각과 독해로 무장한 이 난쟁이는 그의 비평적 쟁투를 언제나 승리로 이끈다. 종언 이후의 문학, ‘산주검(undead)’으로서의 문학, 좀비로서의 문학과의 대결은 끝이 없을 것이기에, 그의 승리 또한 이제부터다. _로쟈 (이현우, 문학평론가, 『로쟈의 인문학 서재』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