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탁월하고, 가장 문학적인
명실공히 한국 단편 미학의 정점
제10회를 맞이하는 김승옥문학상의 찬란한 여정
한 해 동안 발표된 단편 중 등단 십 년 이상 작가들의 작품들을 모아 대상작 한 편과 우수상 여섯 편을 선정하는 김승옥문학상이 올해로 어느덧 10회를 맞이한다. 그간 이 상을 향해 독자들이 보여준 애정과 신뢰 덕분에 이제 김승옥문학상은 한국문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존재가 되었다. 김승옥문학상은 「무진기행」 「서울, 1964년 겨울」 등을 쓴 소설가 김승옥의 등단 50주년을 기념해 2013년 제정되었고, 2019년부터는 순천시의 지원으로 문학동네가 새로이 주관하여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수상자에게는 대상 5000만원, 우수상은 각 500만원으로 총액 8000만원이라는 단편 부문 기준 국내 최고 수준의 상금을 수여한다. 심사 대상작은 주요 문예지뿐만 아니라 웹진과 지역 문예지, 독립 문예지까지 범위를 넓혀 국내에서 발표되는 거의 모든 단편소설을 아우른다. 무엇보다 주목할 것은 김승옥문학상만이 보여줄 수 있는 특별한 블라인드 심사다. 이는 작가, 발표 지면 등에 구애받지 않고 오로지 최고의 단편소설만을 가려내겠다는 그 목적과 의지를 분명히 한다. 선입견을 가능한 한 배제한 채 작품의 완성도를 완전히 낯선 방식으로 포착하고자 하는 이러한 심사 과정은 독자가 문학상과 그 작품집에 기대하는 바를 넉넉히 만족시킨다. 우리가 수상작품집을 찾는 이유는 무엇인가. 권위나 명성 등에 기대지 않고 온전히 작품 자체에 집중하여 엄선된 작품을 읽기 위함이라고 생각해볼 수 있겠다. 그렇게 묶인 작품들로 한국문학의 현재를 짚어보려는 목적 역시 당연하다. “어느 때보다 타협 없는 심사”(심사 경위 및 심사평)였다는 말에서 느껴지듯 치열하고 공정한 과정 끝에 우리에게 도착한 일곱 편의 작품은 현재 한국문학의 동향을 선명히 보여주고 한국 문단이 나아갈 미래를 긍정하게 한다. 2025년 가장 탁월하며 가장 문학적인 단편소설이 바로 여기, 『2025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에서 빛나고 있다.
올해 김승옥문학상은 2024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주요 문예지와 웹진 등 총 24개 문예지에서 104명의 작가가 발표한 소설 총 131편을 심사 대상으로 삼았다. 철저한 블라인드 심사와 치열한 토론을 거친 끝에 최은미, 강화길, 김인숙, 김혜진, 배수아, 최진영, 황정은이 수상자 명단에 올랐으며 최은미가 영예의 대상을 받았다. 이번으로 김승옥문학상에 네번째 이름을 올리는 최은미는 대상을 거머쥐며 저력을 증명했다. 최진영, 황정은은 김승옥문학상에 다시 얼굴을 비치며 그 입지를 확고히 하고, 새롭게 이름을 올린 강화길, 김인숙, 김혜진, 배수아는 독자들에게 고유한 스타일을 뚜렷이 각인시켰다.
‘봄에는 젊은작가상, 가을에는 김승옥’이라는 독자들의 환대에 부응하듯 올해 역시 화려한 수상자 라인업으로 찾아왔다. 이번 작품집은 지금-여기에 놓인 우리의 삶을 관통하는 이야기로 가득하다. 챗지피티, 12·3 계엄 사태,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집단 학살, 정선 사북항쟁 등 작금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담아낸 단편들은 우리가 무심코 스쳐지나갔을 사회문제를 적극적으로 드러내며 문학의 역할을 묻게 한다. 이번 수상작품집에서 또하나 특기할 만한 것은 바로 디자인이다. 기존의 틀은 그대로 가져가되, 기존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에서 보기 어려웠던 검은색과 금색을 사용해 제10회를 기념한다. 이는 ‘제10회’에 대한 축하 인사이자 동시에 역대 수상 작가들에게 바치는 트로피이며 무엇보다 그간 한국문학을 든든히 지킨 독자에게 전하는 감사이기도 하다.
대상 수상작인 「김춘영」은 1980년 정선 사북에서 광부들의 노동쟁의로 촉발된 사북항쟁을 모티브로 한다. ‘지역과 여성의 기억’ 아카이브 연구팀에 속한 ‘박정윤’은 탄광촌 여성을 주체로 내세워 생애사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김춘영’의 집을 정기적으로 방문한다. 4월의 어느 날, 그는 면담의 마지막 회차를 위해 김춘영이 사는 화운령의 집으로 향하던 중 폭설을 맞는다. 끝을 모르고 쌓여가는 눈에 결국 박정윤은 김춘영의 집에서 하룻밤 머물게 되고, 그는 이 밤이 어쩌면 “누구에게도 하지 못한 이야기”를 마침내 자신이 얻어낼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에 부푼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폭설로 인해 여행중인 부부 그리고 대민 지원을 나왔다가 오히려 눈에 갇힌 두 명의 군인까지 두 사람의 밤에 합류하면서 김춘영은 크게 흔들리기 시작한다.
소설은 탄광촌의 광부도 그 가족도 아닌 술집 주인 김춘영에 주목한다. 이러한 인물 설정은 부부(그리고 독자)가 기대하는 바를 꺾고 “증언자를 우상화‧신비화하는 태도를”(최윤 리뷰) 깨부순다. 최은미는 “역사적 사건의 현장감을 생생하게 살려내기를 거부하고, 정황이 짐작되지만 그 어느 것도 선명히 확정할 수 없는 상태”(심사 경위 및 심사평)로 소설을 이끌어간다. 김춘영이 그간 감춰온 공포가 소변으로 박정윤의 무릎을 적시고, 그 혼란스러운 밤을 보낸 뒤 박정윤 혼자 걸어나와 텐트 안에 있는 이를 발견하는 순간, 마침내 화운령은 박정윤의 “내 현장”이자 최은미의 ‘소설’로 자리하게 된다.
“착취와 피해가 교차하는 기묘한 자리에서 김춘영은 고요하고 으스스한 슬픔을 견뎌내고 있으며, 그것은 오줌이라는 비루한 물질성을 통해서만 잠시 촉각으로 닿는다. 이는 기존의 어떤 작품이나 연구의 문제의식이나 밀도에서 몇 걸음 더 나아가 있는 것이기도 했다. 안정된 호흡으로 문장을 쌓아올려 한 생존자의 안식 없는 생의 헐떡임을 생생하게 살려내고, 욕망과 윤리가 뒤엉킨 지점으로 독자를 던져놓는 힘은 오직 최은미만이 보여줄 수 있는 악력이었다. 그래서 이번 김승옥문학상 대상은 이 작품에 주어질 수밖에 없었다.”
_심사 경위 및 심사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