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서문]
이 책의 전반부와 후반부는 모두 칼빈신학교의 조직신학 교수(1956~1988년)였던 프레드 클루스터(1922~2003년)의 학문적인 수고와 연구 결과에 부분적으로 고무받은 것이다. 클루스터 교수는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에 대한 세계적인 권위자 가운데 한 분이다. 1963년도부터, 클루스터 교수는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에 대한 강의를 시작했다. (1963년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이 공포된 지 400년째 되는 해였다.)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이라는 주제에 대한 클루스터 교수의 관심은 마침내 다음 몇 가지 결과를 이끌어냈다. 이 교리문답을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클루스터 교수는 1968~1969년도에 직접 하이델베르크에서 안식년을 보냈다. 또한 그는 몇몇의 정기 간행물에 논문들을 발표했다. 그리고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그 기원과 역사”라는 제목으로 468쪽에 달하는 원고를 썼다(1981년). (이 연구서는 출판되지 않았다.) 또한 성인을 위한 교리문답 교육서로서, 『놀라운 위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에 기초한 기독교 신앙』(A Mighty Comfort: The Christian Faith according to the Heidelberg Catechism, 1990년)을 펴냈다. 그리고 『우리의 유일한 위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해설』(Our Only Comfort: A Comprehensive Commentary on the Heidelberg Catechism, 2001년)이라는 제목으로 클루스터 교수는 이 교리문답에 대한 두 권으로 된 기념비적인 해설서를 출판했다. 한편 1980년대에 클루스터 교수와 그의 한 제자는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의 작성에 주요한 밑바탕이 되었던 자카리우스 우르시누스의 대소교리문답을 영어로 번역했다. 그러나 이 번역본은 출판되지 않았다.
몇 년 전에 클루스터 교수는 나에게 다음과 같은 요청을 했다. 혹시 내가 클루스터 교수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의 역사적인 주제들에 대해서 다룬 원고와 또한 우르시누스의 대소교리문답을 번역한 원고를 가다듬어서 출판할 수 있느냐는 것이었다. 우르시누스의 대소교리문답의 번역을 가다듬어서 출판하는 것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에 대한 역사적인 주제들의 원고를 정리하여 출판하는 것보다 훨씬 쉬운 작업이라고 판명되었다. 왜냐하면 이 교리문답의 역사에 대한 그의 원고를 가다듬는 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클루스터 교수의 원고를 중요한 참고 자료 가운데 하나로 사용하며, 나를 비롯하여 소수의 학자들로 팀을 이루어, 그 학자들이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의 역사에 대한 서론을 전적으로 새롭게 쓰는 것에 서로 의견이 일치되었다. 그 결과로 이 책이 빛을 보게 되었다. 이 책에는 나의 논문이 두 편 들어 있다(1부: 2장, 3장). 또한 2부에는 내가 클루스터 교수와 그의 제자가 번역한 우르시누스의 대소교리문답을 참고하며, 새롭게 번역한 것이 실려 있다. 그 이외에 역사학자들인 찰스 건로우와 카린 마그, 신학 도서관장인 폴 필즈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 나는 이들의 논문들이 이 책에 포함된 것을 기뻐한다. 그리고 클루스터 교수에게 경의를 표하며, 또한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에 대한 40년에 걸친 그의 뛰어난 학문적인 수고를 기리며, 이 책을 그에게 바친다.
이 기회에 특별히 칼빈신학교의 이사회와 행정 책임자에게 감사한다. 이 책을 완성하도록 칼빈신학교는 2003년도에 나에게 6개월 동안 휴가를 허락해 주었다. 또한 나는 칼빈신학교의 교수인 리처드 멀러에게 감사를 표한다. 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동안, 그는 나에게 많은 격려를 해 주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이 책을 “종교개혁 및 종교개혁 후기 사상 시리즈”(Texts and Studies in Reformation and Post-Reformation Thought)에 포함시키는 것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나는 프리랜서 편집인으로 일하는 잰 오르티즈에게 감사한다. 오르티즈는 원고를 교열하고, 책의 형태로 편집하는 일에 세심한 수고를 아끼지 않았다.
1부의 2장에서 몇 단락의 내용은 나의 다음 논문에 처음으로 출판되었다. “올레비아누스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의 저자 문제: 또 다른 견해” The Sixteenth Century Journal 13, no. 4 (1982): 17~27. 또한 프레드 그레이엄이 편집한 Later Calvinism: International Perspectives (Kirksville, Mo.: Sixteens Century Journal Publishers, 1994, 289~309)에서 나의 논문 「확실한 기초와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의 기원」(“Vester Grundt and the Origins of the Heidelberg Catechism”)에 실렸었다. 해당 출판사의 허락을 얻어서 나는 여기에 그 논문들의 일부 내용을 다시 실었다.
라일 비어마
칼빈신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