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안대회ㆍ이종묵ㆍ정민의 매일 읽는 우리 옛글 66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인문

안대회ㆍ이종묵ㆍ정민의 매일 읽는 우리 옛글 66

저를 불멸의 존재로 만들어 주십시오 外
소장전자책 정가1,000
판매가1,000

안대회ㆍ이종묵ㆍ정민의 매일 읽는 우리 옛글 66작품 소개

<안대회ㆍ이종묵ㆍ정민의 매일 읽는 우리 옛글 66> 새로운 시대의 읽기에 걸맞은 새로운 형식과 현대적 번역
한글세대를 위한 우리 시대의 ‘동문선’

우리 고전의 부흥을 이끌고 있는 안대회, 이종묵, 정민 등의 중견 학자를 비롯해 이현일, 이홍식, 장유승 등의 신진 학자들이 참여한 선집이다. 선인들의 깊이 있는 사유와 통찰, 지혜가 스민 우리나라의 고전 한문 명문 중 현대인에게도 생각거리를 제공하고 감동을 주는 글들을 가려 뽑아 현대어로 옮기고 풀이했다. 한 권당 일곱 편씩 번역문과 해설, 원문을 함께 실어 구성했으며 매달 세 권씩 전자책으로 출간된다.
66권은 지난 16권에 이어 두 번째 우리 그림 특집으로 꾸몄다. 서유구는 자신의 글들을 정리해서 문집을 엮고 마치 요즘 책처럼 앞에 본인 초상화를 실었다. 당대 최고의 초상화가 이명기에게 초상화를 부탁하고, 다시 이 그림에 붙일 초상찬을 부탁하며 쓴 글이 바로 표제작 「저를 불멸의 존재로 만들어 주십시오」이다. 스스로를 낮추는 내용이지만 글 면면에 자신의 문장을 후세에 전할 만하다는 자부심이 깃들어 있다. 그 밖에도 심래영의「되찾은 가보」와 김정희의 「「세한도」에 쓰다」에서 조선 시대 회화사를 대표하는 걸작인 「촉잔도권」 및 「세한도」에 얽힌 이야기를 만나 볼 수 있다.


이 책의 시리즈



저자 소개

저자 - 유한준
자는 여성(汝成), 호는 저암(著庵) 또는 창애(蒼厓)이다. 본관은 기계(杞溪)이다. 진사시에 합격한 뒤 군위 현감 등 지방관을 역임하고 형조 참의에 이르렀다. 남유용(南有容)의 문인으로 노론청류(老論淸流)의 보수적 성향을 따랐다. 특히 고문을 잘 지은 문장가로 명성이 높았다. 저서로는 『저암집(著庵集)』이 전해 온다.

저자 - 이안중
자는 평자(平子), 호는 현동(玄同) 또는 단구(丹丘)이다. 전주 이씨 광평 대군(廣平大君)의 후손으로 5대조 이후원(李厚源)이 우의정을 지낸 명문가의 후손이었으나, 여러 번 응시한 과거에 낙방하고 빈한한 삶을 살았다. 고시와 악부를 잘 지었고 이우신(李友信), 권상신(權常愼), 김려(金鑢) 등과 교유했다. 문집으로 『현동집(玄同集)』이 있고, 김려가 편찬한 『담정총서(藫庭叢書)』에 『현동시고(玄同詩藁)』와 『현동부고(玄同賦稿)』가 수록되어 있다.

저자 - 심래영
자는 덕주(德冑)이고, 본관은 청송(靑松)이다. 1783년 치러진 증광시(增廣試)에 진사 3등으로 합격했으며, 『청송심씨대동세보(靑松沈氏大同世譜)』(경진보, 2002)에 따르면, 네 곳의 지방관을 거쳐서 벼슬이 종친부(宗親府) 전부(典簿)에 이르렀다고 한다. 또 시고(詩稿)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아직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저자 - 서유구
자는 준평(準平)이고 호는 풍석(楓石), 오비거사(五費居士)이며 본관은 대구(大邱)이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서명응(徐命膺)의 손자로, 생부는 서호수(徐浩修)이다.
1790년 문과에 급제하여 곧 규장각 초계문신으로 발탁된 이후 본인의 역량과 가문의 후광으로 승승장구하다가 1806년 중부 서형수(徐瀅修)의 옥사에 연루되어 벼슬에서 물러났다. 1824년 복직되기까지 몸소 농사를 짓고 학문에 힘썼다. 복직한 이후에는 형조, 호조, 병조의 판서를 역임했다.
당대의 대표적인 경화 세족 가문에서 태어나, 성리학에만 얽매이지 않고 자연 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학문에 치중했던 집안의 학문 기풍과 방대한 장서를 통해 학문적 토대를 마련했다. 정조 치세의 규장각에서 여러 편찬 사업에 간여했으며, 오랜 방폐(放廢) 기간을 밑거름으로 삼아 당대를 대표하는 학자로 성장했다. 특히 농학과 이용후생(利用厚生)의 학술에 정통했으며 뛰어난 문장가이기도 하다.
정조의 명으로 조선에서 출판한 도서의 목판을 대대적으로 조사한 보고서인 『누판고(鏤板考)』 편찬을 주도했고, 1834년 전라도 관찰사로 재직할 때는 기민(饑民)을 구제하기 위해 구황 식물인 고구마의 재배법을 설명한 『종저보(種藷譜)』를 간행하기도 했다.
대표작이자 필생의 역작으로 16지(志) 113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백과전서인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를 꼽을 수 있다. 이 밖에 문집으로 『풍석고협집(楓石鼓篋集)』, 『금화지비집(金華知非集)』, 『번계시고(樊溪詩稿)』 등이 전하며, 최근에 필기인 『금화경독기(金華耕讀記)』가 발견되었다. 서유구의 삶과 『임원경제지』의 개략은 임원경제연구소, 『임원경제지』(씨앗을뿌리는사람, 2012)를 참조할 수 있다.

저자 - 김정희
자는 원춘(元春). 후학들이 호보(號譜)를 작성할 정도로 호가 많은데 완당(阮堂), 추사(秋史), 담연재(覃硏齋)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생부는 김노경이며 백부인 김노영(金魯永)의 후사가 되었다.
1809년 가을 김노경의 자제 군관(子弟軍官)으로 연경에 가서 옹방강(翁方綱)과 완원(阮元)을 비롯한 당대 유수의 학자 및 문인들을 만났고, 귀국한 뒤에도 그들과 오랫동안 교유를 이어 갔다. 당시 조선에서 청 대 고증학과 문예 동향에 가장 정통했던 인물 중 하나로, 경화 세족의 학술과 문예를 최첨단에서 이끌어 나갔다. 절친한 벗인 권돈인(權敦仁)과 김유근(金逌根), 후배인 남병철(南秉哲)·남상길(南相吉) 형제, 훗날의 흥선 대원군이 되는 이하응은 물론 중인인 이상적(李尙迪)·조희룡(趙熙龍)·전기(田琦)에 이르기까지 많은 인물들이 그를 추종했다.
1819년 문과에 급제해 벼슬이 성균관 대사성과 병조와 형조의 참판에 이르렀으나, 효명세자가 세상을 떠난 뒤 안동 김씨 세력에게 여러 번 정치적 박해를 받아 오랜 기간 제주도와 함경도 등지에서 유배 생활을 했다. 자신만의 독특한 ‘추사체(秋史體)’를 이루어 오늘날까지 조선 제일의 서예가이자 문인 화가로 평가받고 있다. 『철종실록』의 졸기(卒記)에는 학문과 문예에 뛰어났으나 여러 차례 모진 세파를 겪었기에 당시 사람들이 송 대의 소식(蘇軾)에 견주었다고 했다.
시문에서 거둔 성취는 글씨에 가린 감이 있다. 시는 당시 유행하던 신위(申緯)의 시풍과는 상반되는 경향을 보였고, 문장은 상대적으로 척독이 많이 전하는데 경발(警發)한 글들이 적지 않다.
홍한주(洪翰周)는 『지수염필(智水拈筆)』에서 김정희의 재주에 대해 “감상이 으뜸이고, 글씨가 다음이며, 시문이 또 그다음이다.”라고 논평하면서, 높은 안목에 자신의 솜씨가 못 따라간다고 여겼기에 시문을 잘 짓지 않았다고 말하고 있다. 실제로 본인 스스로 생전에 문집 원고를 여러 번 태웠다는 증언이 있기도 하다. 현재 전하는 『완당전집(阮堂全集)』은 후학인 민규호(閔奎鎬), 남상길 등이 흩어진 원고를 수습해 펴낸 『담연재시고(覃硏齋詩藁)』와 『완당척독(阮堂尺牘)』을 토대로 20세기 초에 새롭게 출판된 것인데 소략하고 오류가 많다.
박철상, 『세한도』(문학동네, 2010)는 걸작 「세한도(歲寒圖)」를 중심으로 새로 발견된 자료들을 활용해 그의 학문과 예술을 조명했고, 인생 전반에 대해서는 유홍준, 『김정희』(학고재, 2006)를 참조할 수 있다.

저자 - 박규수
자는 환경(桓卿), 예동(禮東), 호는 환재(桓齋) 또는 환재(瓛齋), 장암(莊庵), 균심(筠心)이며 본관은 반남(潘南)이다. 시호는 문익(文翼). 연암 박지원의 손자이며, 『과정록(過庭錄)』을 지은 박종채(朴宗采)의 아들이다.
청년 시절 효명 세자의 지우를 받았는데, 세자가 일찍 세상을 떠나자 벼슬길에 나아갈 생각을 접고 18년간 은거 생활을 했다. 1848년 증광 문과에 급제하며 관직에 진출해 우의정에 이르렀다. 1854년 경상좌도 암행어사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이때 올린 보고서인 수계(繡啓)가 지금도 전한다. 1860년 12월 북경이 영국·프랑스 연합군에게 점령되자 열하(熱河)로 피한 함풍제(咸豐帝)를 위문하기 위한 문안사(問安使)의 부사로서 그 이듬해 북경에 가서 중국의 정세를 살피고, 그곳의 문인들과 교유하고 복명했다. 1866년 평안도 관찰사 재직시에는 평양에 침입해서 횡포를 부린 제너럴셔먼호를 격퇴하기도 했다.
학문적으로 실학파를 계승했고 시와 문을 모두 잘 지었다. 문집으로 『환재집(瓛齋集)』이 전하며, 근년에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서 존재가 확인된 저술을 망라해 『환재총서(瓛齋叢書)』 6책을 간행했다.
박규수의 삶과 학문에 대해 보다 자세한 내용은 김명호, 『환재 박규수 연구』(창비, 2008)를 참조할 수 있다.

역자 - 안대회
현재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밀한 해석과 깊이 있는 사유를 바탕으로 옛글을 분석함으로써 선인들의 삶을 풀어내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역자 - 이현일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에서 조선 후기의 대표적 시인인 신위(申緯)를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조교수이다.

편자 - 안대회
현재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밀한 해석과 깊이 있는 사유를 바탕으로 옛글을 분석함으로써 선인들의 삶을 풀어내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편자 - 이종묵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옛사람의 운치 있는 삶을 사랑하여 우리 옛 시와 글을 읽고 그 아름다움을 분석하여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편자 - 정민
현재 한양대 국문과 교수다. 무궁무진한 한문학 자료를 탐사하며 살아 있는 유용한 정보를 발굴하는 작업을 계속해 왔다.

편자 - 이현일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에서 조선 후기의 대표적 시인인 신위(申緯)를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명지대학교 강사이다.

편자 - 이홍식
현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에는 연구 영역을 확장하여 연행록과 통신사행록을 기반으로 동아시아 문화 교섭의 구체적 양상을 밝히는 데 집중하고 있다.

편자 - 장유승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조선 후기 서북 지역 문인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목차

일러두기
이끄는 말
도판

유한준
이안중
심래영
서유구
김정희
박규수

주석
원문
책을 펴내면서
옮긴이 소개
엮은이 소개
기획의 말
판권


리뷰

구매자 별점

5.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1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민음 디지털 클래식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