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릿터 54호 상세페이지

릿터 54호

나도 혹시 나르시시스트?

  • 관심 0
소장
종이책 정가
13,000원
전자책 정가
30%↓
9,100원
판매가
9,100원
출간 정보
  • 2025.06.28 전자책 출간
  • 2025.06.09 종이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PDF
  • 208 쪽
  • 76.2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
ECN
-

이 작품의 시리즈더보기

  • 릿터 54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53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52호 (릿터 편집부)
  • 릿터 51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50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49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48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47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46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45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44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43호 (릿터 편집부)
  • 릿터 42호 (릿터 편집부)
  • 릿터 41호 (릿터 편집부)
  • 릿터 40호 (릿터 편집부)
  • 릿터 39호 (릿터 편집부)
  • 릿터 38호 (릿터 편집부)
  • 릿터 37호 (릿터 편집부)
  • 릿터 36호 (릿터 편집부)
  • 릿터 35호 (릿터 편집부)
릿터 54호

작품 정보

* 커버스토리: 나도 혹시 나르시시스트?
* 성해나 소설가, 이정은 배우, 김보나 시인 인터뷰
* 박지영, 최예솔 신작 소설
* 정호승, 아타세벤 파덴, 안희연, 한영원 신작 시
* 정은귀, 황희승, 오은경 산문"



■ ‘나르’ 권하는 사회
MBTI에 대한 관심은 재미와 인기를 넘어 하나의 증상이 된 것 같다. 이 증상의 배후에는 타인이라는 공포와 피로가 있고, 그 장벽 같은 타인의 전형으로 ‘나르시시스트’가 있으며, 그 이면에 ‘나르시시즘 권하는 사회’가 있다. 나르시시즘에 관해서는 뇌과학적 소견이나 정신의학적 결론들이 이미 존재한다. 그에 따라 우리는 자기애성 성격장애, 즉 병리적 개념으로 먼저 나르시시즘을 떠올리게 된다. 그러나 의학이란 울타리를 벗어나면 그곳에 인간적 태도로서의 나르시시즘이 있다. 이번 호 커버스토리는 멀지만 가까이에 있고, 어쩌면 내 안에도 있을지 모를, 나르시시즘에 관한 이야기다.

친밀한 이웃에서부터 시작해 보자. 김화진의 짧은 소설은 연애 프로그램에 출연한 밉살스런 친구를 관찰한다. 친구의 말버릇에서 마음버릇을, 마음버릇에서 나르시시즘의 그림자를 목격하고 비웃다 보면 어느새 내 얼굴이 되비치는 거울 같은 작품이다. 정기현은 유료 챗지피티와의 대화 경험을 수기로 들려준다. 나에게 최적화된 대화 상대가 안겨 주는 완벽한 소통의 희열은 역설적으로 현실에서의 불완전한 소통에 대한 불만을 부추긴다. 타인을 소거하는 나르시시스적 도취와 오버랩되는 장면들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나르시시즘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개념도 변하고 있다. 최종렬은 나르시시즘적 개인주의의 출현에서 새로운 민주주의의 탄생과 또 다른 점성의 연대를 발견하고, 김경태는 케이팝의 주요 테마가 된 나르시시즘적 이상을 그 노랫말에서 확인하며 사회에 내면화된 나르시시즘을 감지한다. 문학적, 심리적 영역에서 만나는 나르시시즘은 보다 본질적으로 인간 내면을 탐구한다. 오자은은 문학 작품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나르시시스트를 호출하는데, 특히 김기태, 이희주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추구하는 사랑은 사랑의 종말에 대한 나름의 대답을 자처한다.

무의식으로 좀 더 내려가 보자. 임상심리전문가 전운은 영국 드라마 「베이비 레인디어」를 리뷰한다. 실패한 나르시시스트의 병적인 자기애는 애정과 범죄 사이에서 도착적 위로를 증식시킨다. 과도한 자기연민도 나르시시즘의 숙주일 수 있다는 경고가 남의 얘기로 보이지만은 않는다. 정치적 영역에서 나르시시즘은 사회의 무의식을 직접적으로 반영한다. 장영은은 현실 정치에서 마주한 어느 정치인의 언어 사용에서 한국 사회의 정치적 무의식과 구조적 한계를 도출한다. 나르시시즘이 질병이라면 그 병은 감기에 비견될 만하다. 이 병에 안 걸리는 사람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병에서 자유로운 사람은 있을 수 없다.

■ 소설가 성해나, 시인 김보나 인터뷰
인터뷰 코너에서는 화제의 소설집 『혼모노』를 출간하며 뜨겁게 주목받고 있는 성해나 작가를 만났다. 《릿터》의 작가 인터뷰는 ‘사연’ 있는 곳에서 이루어진다. 성해나 작가와 대화를 나눈 곳은 떡볶이 못지않게 점집으로 유명한 신당동이다. 한 골목에 사는 젊은 무당과 늙은 박수무당의 경쟁이 인상적인 소설 「혼모노」가 연상되는 길을 거닐며 그가 취하는 소설의 소재들과 그가 인물들과 호흡을 맞추는 과정 등에 대해 들어본다. ‘첫 책을 만나는 기분’에서는 첫 시집 『나의 모험 만화』를 출간한 김보나 시인을 만났다. 월간지 《좋은생각》의 편집자 경험, 문학 집필 공간인 ‘에버덩’에서 만난 문인들과의 일화 등이 시적인 것으로 발효되는 과정을 생생하게 들을 수 있다.

■ 배우 이정은이 기억하는 고전문학 속 ‘첫사랑’
영화 「마더」에서 김혜자의 멱살을 잡아채며 화를 내던 ‘여자’로, 「변호인」에서 반쪽짜리 눈화장만 간신히 마친 채 문틈 사이로 빼꼼히 얼굴을 내미는 ‘집주인’으로, 「미스터 선샤인」의 잊을 수 없는 온기였던 ‘함안댁’으로…… 왕성한 작품활동 안에서 예외 없이 다른 빛의 감탄을 자아냈던 배우 이정은을 만났다. 어릴적부터 혼자 이야기를 만들어서 인형에게 들려주는 것을 좋아했던 이정은 배우에게 각별했던 사랑 이야기는 이반 투르게네프의 『첫사랑』과 황순원의 『소나기』다. 연극을 할 무렵부터 자연스럽게 체화된 고전 읽기와 그 감상의 추억을 들어본다.

■ 박지영, 최예솔 단편소설 발표
박지영의 소설에는 블랙코미디라는 말로 다 설명되지 않는 어둠과 유머가 있다. 「귀의 행방」은 ‘귀 서래소’ 매니저인 주인공과 스스로 귀를 잘랐다고 전해지는 반 고흐의 이야기가 교차하는 환상적 풍자극으로, 귀를 거래하는 상점이 있다는 과장된 상상을 메우는 것은 듣고 싶은 이야기만 듣길 원하는 세태에 대한 서글픈 핍진성이다. 귀의 행방을 묻는 박지영식 농담내서 ‘듣기’를 잃어버린 우리의 초상을 발견한다. 최예솔 단편소설 「애프터눈 드라이브」는 이제 막 운전을 하게 된 주인공의 서툰 드라이브 뒤로, 어떤 길로 가야 할지 알지 못하는 청춘의 서툰 인생 주행을 그린다. 만남과 헤어짐, 그리고 그 후로 계속되는 또 다른 만남과 헤어짐에는 안내판도 없고 과속 제한 표시도 없다. 일희일비의 사건들을 풍경화로 담아내는 부드러운 필치가 돋보인다.

작가

민음사 편집부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450 카탈로그 (민음사 편집부)
  • 릿터 30호 (릿터 편집부)
  • 한편 1호 세대 (민음사 편집부)
  • 2024 인생일력 (민음사 편집부)
  • 2023 인생일력 (민음사 편집부)
  • 쏜살같이 (민음사 편집부)
  • 크릿터1: 페미니즘 (민음사 편집부)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문학/교양 베스트더보기

  • 월간 샘터 2025년 07월호 (샘터 편집부)
  • 서울리뷰오브북스 18호 (최현진, 최정규)
  • 뉴필로소퍼 31호 (뉴필로소퍼 편집부)
  • 주간조선 2866호 (2025년 07월 07일) (주간조선 편집부)
  • 시사IN 930호 (시사IN 편집국)
  • 월간 FLORA 2025년 7월호 (월간 플로라)
  • 릿터 54호 (민음사 편집부)
  • 빅이슈 코리아 The Big Issue No.337 (빅이슈코리아)
  • 톱클래스 2025년 07월호 (톱클래스 편집부)
  • 계간 문학동네 2025년 봄호 통권 122호 (문학동네 편집부)
  • 한편 16호 유머 (민음사 편집부)
  • Le Zirasi(르 지라시) 창간 특대호 (Le Zirasi(르 지라시))
  • 월간조선 2025년 07월호 (월간조선 편집부)
  • 리스닝 스페셜_vol.9 (투나미스 편집부)
  • 별에서 온 그들과 친구 되는 법 (스콧 시게오카, 이윤정)
  • 현대해양(2025년 6월호) (베토 편집부)
  • 2025 시대에듀 이슈&시사상식 208호 + 무료동영상 (시사상식연구소)
  • 비케이제이엔 매거진 bkjn magazine: no.30 사법 불신의 시대 (북저널리즘)
  • 오늘의 좋은 소설(2025년 봄호) (김태환, 배길남)
  • 번역하다_vol.36 (김상엽)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