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소개
차별과 불평등, 이제는 멈춰야 할 때!
내 손으로 직접 세상을 바꾸는 인권 이야기
최근 우리 사회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지만, 그만큼 인권 문제도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어린이, 청소년, 장애인, 여성, 이주민 등 사회적 약자가 겪는 차별과 불평등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특히 청소년기는 자신과 타인의 권리를 배우고 존중하는 가치관이 형성되는 시기이기에, 인권 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습니다.
현실적인 사례와 깊이 있는 논의가 부족한 기존 교육의 한계를 넘어, 청소년들이 직접 인권 문제를 체험하고 사고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해, 청소년 눈높이에 맞춘 인권 지식서 《세상의 법은 누구 편인가요?》가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최근 한국 사회에서 논란이 되었던 여섯 가지 인권 사건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청소년들이 ‘판사’가 되어 원고와 피고, 양측의 주장을 듣고 스스로 판단하며 인권 감수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비판적 사고력과 공감 능력을 함께 성장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노키즈존부터 AI 목소리까지,
우리 시대 가장 뜨거운 인권 쟁점들을 판결하다!
《세상의 법은 누구 편인가요?》는 우리 주변에서 실제 벌어지고 있는 인권 쟁점들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냅니다. 노키즈존의 어린이 출입 제한 문제, 장애인의 놀이공원 이용 차별, 부성주의에 따른 아이 성씨 문제, 드라마 속 외국인 차별 묘사, AI로 가공된 목소리의 저작권 논란, 그리고 연어 맨손 잡기 행사와 동물 학대 논쟁까지.
책 속 가상의 ‘인권 재판소’에서는 청소년 독자들이 판사가 되어 사건의 여러 측면을 살피고, 원고와 피고, 사회적 배경까지 다양하게 고민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 단편적인 사실 이해를 넘어 인권 문제에 대한 다각적인 시각을 기를 수 있으며, 자기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힘도 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친근한 사례와 다양한 질문을 포함해 청소년들이 재미있게 읽고 스스로 참여하도록 유도합니다. 이 책은 학교 교과와 연계한 인권 교육 교재로도 적합하며, 집이나 독서 모임에서 청소년과 부모가 함께 이야기 나누기에도 좋은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현실 속 인권 문제를 직접 고민하고 판결해 보는 특별한 경험! 《세상의 법은 누구 편인가요?》와 함께라면 올바른 인권 감수성을 가진 미래의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차례
1장_ 노키즈존, 어린이에 대한 차별
사건 보고서 | 10세 미만의 어린이는 출입할 수 없습니다 _10
어린이를 차별하는 거예요 vs 손님들의 안전을 위해서예요 _16
판결을 내린 후 읽어 보세요 | 노키즈존을 겪은 이야기 _21
법으로 보는 세상 | 원고, 피고, 피고인 _28
2장_ 놀이기구도 타고, 영화도 볼 수 있어야 해요
사건 보고서 1편 | 놀이기구를 타는 게 위험하다고요? _32
우리는 위험하지 않아요 vs 안전을 생각해야 해요 _36
사건 보고서 2편 | 보고 싶어도 볼 수 없는 그 영화 _40
장애인을 차별하는 거예요 vs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어요 _44
판결을 내린 후 읽어 보세요 | 직접 타 보면 알 수 있는 일 _48
법으로 보는 세상 | 법과 판례 찾기 _54
3장_ 엄마의 성씨도 평등하게 쓸 수 있도록
사건 보고서 | 엄마 성씨를 물려주고 싶어요 _58
아빠 성만 쓰는 법은 잘못됐어요 vs 전통적인 원칙에 따라야 해요 _65
판결을 내린 후 읽어 보세요 | ‘부성우선주의’는 당연한 걸까? _70
법으로 보는 세상 | 법원과 상소 제도 _76
4장_ 미디어 속 차별 이야기
사건 보고서 | 드라마에서 외국인을 차별한다면 _80
드라마라도 차별은 안 돼요 vs 드라마는 표현의 자유가 있어요 _87
판결을 내린 후 읽어 보세요 | 미디어와 혐오 표현 문제 _92
법으로 보는 세상 | 구두 변론, 공개 변론 _98
5장_ AI와 목소리의 권리
사건 보고서 | 내 목소리는 누구의 것인가? _102
허락을 받아야 해요 vs 계약대로 했을 뿐이에요 _109
판결을 내린 후 읽어 보세요 | AI를 미디어에서 활용하기 _113
법으로 보는 세상 | 헌법재판소 _120
6장_ 동물들도 행복한 세상
사건 보고서 | 연어도 고통을 느껴요 _124
맨손 잡기는 동물 학대예요 vs 동물 학대라 볼 수 없어요 _131
판결을 내린 후 읽어 보세요 | ‘인권’이 있다면 ‘동물권’은? _135
법으로 보는 세상 | 국가인권위원회의 역할 _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