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일신학대학원에서 가르치고 연구하는
세계적인 신학자이자 윤리학자,
《배제와 포용》의 저자 미로슬라브 볼프의 신작!
“세상의 끊임없는 전진 강박에 대한 현명한 통찰”
〈퍼블리셔스 위클리〉
“더 높이, 더 깊이, 더 앞서가라”는 시대정신,
“최고 중에 최고가 되라”는 달콤한 속삭임,
남보다 더 나아지고 싶다는 우리의 목마름,
성취와 열망의 대상으로 반짝이는 거짓 영광에 매료된 마음,
우월함의 허상에 갇혀버린 영혼들 —
이 책은 그들을 흔들어 깨우는 절박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미로슬라브 볼프는 이 책에서 ‘타인보다 나아지려는 야망’이 개인과 사회를 발전시키기보다 오히려 우리를 소진시키고 쇠퇴하게 만든다고 말한다. 볼프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며 세 명의 영향력 있는 사상가, 쇠렌 키르케고르(철학자), 존 밀턴(시인), 사도 바울(신학자)이 야망의 대가에 대해 무엇을 말하는지 탐구한다. 또한 예수님의 가르침과 창세기의 이야기들이 이 문제에 어떤 대안을 제시하는지도 탐색한다.
이 책은 타인보다 뛰어나려고 애쓰는 것이 현대 생활의 일부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그러한 야망은 우리의 성취와 관계들을 공허한 목표를 위한 단순한 수단으로 전락시켜 그 가치를 떨어뜨린다고 경고한다. 또한 야망이 삶의 모든 영역에서 초래하는 부정적인 결과를 밝히고, 이 시대에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러한 우월성 추구가 기독교 신앙의 핵심 신념과 어떻게 상충되는지 보여 준다. 타인에 대한 열등감에서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지, 그리스도인들이 왜 더 겸손한 삶의 방식을 되찾아야 하는지도 구체적으로 다룬다. 이처럼 야망의 독성을 철저히 파헤친 뒤, 볼프는 우리가 추구해야 할 더 깊고 고귀한 목표 -곧 '은혜로 말미암은 탁월함'(excellence)-을 제시한다.
이 시대가 추구하는 높아짐의 영광, 그리고 그 독성
"우리는 모두 야망을 가지고 살아간다. 더 나은 삶, 더 큰 성취, 더 높은 지위를 향한 열망은 인간 본연의 것이며, 때로는 발전을 이끄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 책은 그 야망의 숨겨진 얼굴, 곧 '남보다 우월해지려는 욕망'에 주목한다. 우리는 끊임없이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며, 그 속에서 자신의 가치를 찾으려 애쓴다. 이 경쟁은 우리가 누구인지, 무엇을 원하는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왜곡시킨다. 소셜 미디어와 현대 사회는 이러한 비교를 더욱 부추기며, 끝없는 우월성 추구는 우리를 불안, 우울, 그리고 고독이라는 덫에 가두어 버린다.
문제는 단순한 성공 추구가 아니다. 진정한 문제는 우리의 자아 가치와 정체성이 다른 사람보다 나아지려는 욕망에 뿌리내릴 때 발생한다. 우리의 행복이 타인과의 상대적인 우위에 달려 있다면, 우리는 영원히 채워지지 않는 갈증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 더 많이 가지고, 더 많이 성취하고, 더 높은 곳에 오를수록 우리는 오히려 더 큰 공허함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야망의 역설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삶과 역사를 통해 반복되어 왔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야망의 '대가'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대가를 치르지 않고도 진정으로 충만한 삶을 살 수 있는 길은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바울 사도의 깊이 있는 가르침과 인간 본성에 대한 통찰을 통해, 우리는 우리를 소진시키는 경쟁의 굴레를 넘어, 진정으로 자유롭고 풍요로운 삶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남과의 순위 매기기에 몰두하다 외면한 가치들
세상은 더 높이 오르고, 더 많이 소유하며, 남보다 나아지는 것에서 가치를 찾으라고 속삭인다. 그러나 《야망의 대가》는 솔로몬의 허망함, 키르케고르의 절망, 밀턴의 추락하는 사탄의 비극적 서사를 통해 우월성을 향한 맹목적인 야망이 결국 영혼을 병들게 하고 깊은 허기를 남긴다고 날카롭게 지적한다.
우리는 자신만의 길을 개척하고, 성공과 성취를 향해 부지런히 달려왔다. 그런데 왜 그럴수록 불안, 공허, 그리고 끝없는 비교라는 굴레에 갇히는 걸까? 이 책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사도 바울의 강력하고 역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야망의 대가》는 성경, 고대 로마 문화, 그리고 저자의 깊은 성찰을 넘나들며, ‘우월성 추구’가 아닌 '은혜로 말미암은 탁월성'이라는 기독교적 가치를 설득력 있게 제시한다. 바울이 고린도전서에서 강조한 '한 몸으로서의 동등한 존중', 로마서에서 명령한 '서로 존중하기를 먼저 하라', 빌립보서에서 선포한 '자신보다 남을 낫게 여기라'는 급진적인 가르침은, 세상의 성공주의와는 완전히 다른, 예수 그리스도의 겸손과 낮아짐에 뿌리내린 삶을 향한 초대이다.
이 책은 개인의 노력과 성취를 자랑하는 ‘자기 의’의 덧없음을 폭로하고, “네가 받지 아니한 것이 무엇이냐?”는 바울의 질문을 통해 모든 것이 하나님의 선물임을 깨닫게 한다. 그리하여 독자들을 끝없는 경쟁과 비교의 굴레에서 벗어나, 서로를 존중하고 사랑하며 참된 만족과 의미를 발견하는 은혜의 삶으로 이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