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 상세페이지

에세이/시 에세이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

이생진 산문집
소장종이책 정가13,000
전자책 정가30%9,100
판매가9,100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작품 소개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

섬으로 섬으로 떠돌며 얻은 고독의 기록
바다와 인생을 노래한 짧은 글과 스케치를 모아 엮다
우리나라 대표 ‘섬 시인’, ‘바다 시인’ 이생진의 산문집

“섬은 내게 시를 쓰게 한다. 섬에 가면 모두 시를 읊어준다. 섬 자체가 시다.”라고 말하는 이생진 시인. 그는 우리나라 대표 섬 시인, 바다 시인이자 방랑 시인이다. 문학에 눈을 뜬 열여섯부터 지금까지 섬으로 섬으로 떠돌며 시를 쓴 이생진 시인이 올해 구순을 맞았다. 구순 특별 서문집 『시와 살다』, 서른여덟 번째 시집 『무연고』와 함께 1997년에 출간했던 그의 첫 산문집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를 다듬어 엮어 새로 출간한다.
그리고 2018년, 20년 넘는 세월이 흐른 지금 다시 새롭게 출간한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는 초판에 실렸던 원고 가운데 시집 후기와 중복되어 실렸던 글은 제외하고 그동안 단일 작가의 저서로 묶이지 않은 원고를 추려 더한 개정증보판이다. 본문에 실린 그림 또한 이생진 시인이 직접 그린 스케치로, 초판에 실렸던 그림 외에도 거문도와 완도 등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그림이 추가되었다.
어려서부터 그림 그리기와 글쓰기를 특히 좋아한 이생진 시인은 가난 때문에 문학, 그중에서도 시를 택했다. 그리고 평생 우리나라 3,000여 개 섬 가운데 1,000여 곳에 수첩과 화첩을 들고 가 고독을 자양분으로 시를 낳았다. 걸으면서 기록하는 현실감이 좋아 바다를 끼고 하루 종일 걸으며 “천혜의 고독을 행복으로 옮겨놓는 고행”을 해온 시인은 시집 38편뿐만 아니라 산문집도 두 편을 펴냈다. 첫 산문집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는 시인의 방랑에 늘 함께한 수첩과 화첩에 고스란히 기록된 고독의 기록이다. 시로 떠오르면 시를, 산문으로 떠오르면 산문을…… 온 세상이 시의 세상인 시인에게는 산문도 시다. 새롭게 펴낸 산문집에는 문학 하는 즐거움, 인생의 종점까지 함께한 시에 대한 고마움 그리고 시를 통해 얻은 삶의 맛과 같이 구순 시인이 아니면 누구도 섣불리 들려줄 수 없는 이야기를 꾸밈없이 담백하게 꺼내놓는다. 평생을 시와 함께 살아온 이생진 시인의 인생 본질에 맞닿은 이야기가 20년 세월을 뛰어넘어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에 온전히 녹아들어 있다. 오염되지 않은 바다와 섬의 기운이, 구순 시인이 사랑한 시가 자연스럽게 마음의 숲을 무성하게 채워 주리라.


출판사 서평

“섬사람들은 미역 캐고, 나는 시를 캔다.”
우리나라 대표 섬 시인, 바다 시인 이생진
섬으로 섬으로 떠돌며 얻은 고독의 기록

평생 우리나라 3,000여 개 섬 가운데 1,000여 곳에 발을 들인 시인. 그럼에도 갈 수 있는 곳은 언제고 가야 한다는 시인. 시에 그 섬들의 아름다움과 애환, 역사와 자연을 담아낸 시인. 그래서 이생진 시인을 우리나라 대표 섬 시인, 바다 시인 또는 방랑 시인이라 부른다. 시인은 “섬은 내게 시를 쓰게 한다. 섬에 가면 모두 시를 읊어준다. 섬 자체가 시다.”라고 말한다.
1929년에 태어난 이생진 시인은 올해 구순을 맞았다. 열여섯에 아버지를 여의고 동생 넷을 건사하기 위해 돈을 벌어 가며 공부를 해야 했던 시절, 시인은 그림 그리기와 글쓰기를 특히 좋아했다. 그러나 미술은 도화지와 화구가 필요했고, 시는 종이와 연필만 있으면 될 것 같았다. 시인은 가난 때문에 문학, 그중에서도 시를 택한 것이다. 그리고 평생 섬으로 섬으로 이어진 그의 행보에는 늘 수첩과 화첩이 함께했다.
안면도, 간월도, 황도로부터 시작해서 용유도, 영흥도, 덕적도, 완도, 신지도, 고금도, 노화도, 보길도, 진도, 흑산도, 홍도, 남해도, 거제도, 나로도, 초도, 선죽도, 거문도, 울릉도, 관음도, 우도, 백도, 가파도……. 걸으면서 기록하는 현실감이 좋아 바다를 끼고 하루 종일 걸으며 “천혜의 고독을 행복으로 옮겨놓는 고행”을 해온 시인은 ‘가난의 미학’이자 ‘발로 쓴 시’를 엮은 시집 서른여덟 편을 펴냈다. 뿐만 아니라 산문집 또한 두 편을 펴냈다.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는 그중 첫 산문집으로 1997년에 초판을 출간했다. 시인에게는 산문집 또한 정성 어린 시집과 같았다.

내 가슴에서 시가 다 끝나는 날 나도 산문집 하나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그만큼 나는 시를 고집해왔다. 그래서 시집은 열아홉 권이나 있어도 산문집은 한 권 없다.
아직 내 가슴엔 시가 남아 있다.
시가 남아 있는 마당에 산문집을 내는 것이 어쩐지 시에게 미안한 생각이 든다.
하지만 산문집도 정성 어린 시집이라 여기고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를 펴낸다.
_초판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 머리말

그리고 2018년, 20년 넘는 세월이 흐른 지금 다시 새롭게 출간한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는 초판에 실렸던 원고 가운데 시집 『섬마다 그리움이』(1992), 『먼 섬에 가고 싶다』(1995), 『일요일에 아름다운 여자』(1997), 『내 울음은 노래가 아니다』(1990) 후기와 중복되어 실렸던 글은 제외하고 그동안 단일 작가의 저서로 묶이지 않은 원고를 추려 더한 개정증보판이다. 본문에 실린 그림 또한 이생진 시인이 직접 그린 스케치로, 초판에 실렸던 그림 외에도 거문도와 완도 등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그림이 추가되었다.


시로 떠오르면 시를, 산문으로 떠오르면 산문을……
바다와 인생을 노래한 짧은 글과 스케치를 모아 엮다

시인은 말한다. “고기는 낚시꾼이 잡는다 치더라도 섬의 고독은 시인이 잡아야 합니다.” 이생진 시인은 고독을 자양분으로 시를 낳았다. 그에게 섬으로 섬으로 떠도는 일은 “시를 구워내는 뜨거운 석쇠 역할을 위한 수행”이었다. 또한 시인은 여전히 이렇게 말한다. “지금도 나의 그리움은 먼 섬 파도 소리에 살아 숨 쉬고 있다.”고. 시인의 방랑에 늘 함께한 수첩과 화첩에는 그때그때 떠오르는 생각이 고스란히 기록되어 있다. 시로 떠오르면 시를, 산문으로 떠오르면 산문을……. 그러나 시인에게는 세상이 시의 세상인 것처럼 삶도 시요, 산문도 시다.

산문이 필요치 않다. 시 따로 산문 따로 쓴다는 것은 번거롭다. 그래서 어쩌면 내 시는 산문 같고, 내 산문은 시 같을지도 모른다.
나는 시 하나로 족했다. 아니 시 하나만으로도 세상을 기록하는 데 부족이 없다. 지금 산문을 쓰고 있는 이 순간에도 나는 시를 쓴다고 여기지 산문을 쓴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_「시와 산문」에서

시인에게는 그림 또한 시가 아닐까. 그동안 출간된 시인의 시집 서른여덟 편 표지에는 대부분 시인이 직접 그린 그림이 실려 있다. 시인은 글쓰기뿐 아니라 그림 그리기 또한 그만큼 좋아한다. 시인이 세월과 함께 묻어둔 화첩에는 그날의 여객선 승선표와 함께 고독이 스케치로 고스란히 남아 있다. 시인의 시만큼이나 담백하고 꾸밈없는 섬과 바다, 등대와 고깃배, 바위 절벽과 수평선이 그의 손에서 시로 다시 태어났다.
산문집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에는 섬을 떠돌며 쓴 고독의 기록뿐만 아니라 문학 하는 즐거움, 인생의 종점까지 함께한 시에 대한 고마움 그리고 시를 통해 얻은 삶의 맛과 같이 구순 시인이 아니면 누구도 섣불리 들려줄 수 없는 이야기를 꾸밈없이 담백하게 꺼내놓는다. 평생을 시와 함께 살아온 이생진 시인의 인생 본질에 맞닿은 이야기가 20년 세월을 뛰어넘어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에 온전히 녹아들어 있다. 오염되지 않은 바다와 섬의 기운이, 구순 시인이 사랑한 시가 자연스럽게 마음의 숲을 무성하게 채워 주리라.


저자 프로필

이생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29년 10월 1일
  • 학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언어학
    국제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 데뷔 1969년 현대문학 시 '제단'
  • 수상 2002년 윤동주 문학상
    2001년 상화 시인상

2014.11.18.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이생진李生珍
(1929~ )

서산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바다와 섬을 좋아했다. 해마다 몇 차례씩 섬으로 여행을 다니며 우리나라 섬의 정경과 섬사람들의 애환을 시에 담아내어 ‘섬 시인’, ‘바다 시인’으로 불린다. 1955년 첫 시집 『산토끼』를 펴내기 시작해 1969년 「제단」으로 《현대문학》을 통해 등단한 이후 지금까지 시집 38편, 시선집 3편, 시화집 4편, 산문집 2편 등을 펴냈다. 1978년에 펴낸 대표작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바다와 섬과 사랑을 노래한 국내 시의 백미白眉”로 꼽히며 40년 넘게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다. 『아무도 섬에 오라고 하지 않았다』는 바다와 인생을 노래한 짧은 글과 스케치를 모아 1997년에 펴낸 첫 산문집으로, 이번 개정증보판에는 새로운 글과 스케치를 더해 엮었다.
1996년 『먼 섬에 가고 싶다』로 윤동주 문학상, 2002년 『혼자 사는 어머니』로 상화尙火 시인상을 수상했다. 2001년 제주특별자치도 명예도민이 되었고, 2009년 성산포에 ‘그리운 바다 성산포’ 시비공원이 만들어졌으며, 2012년 신안 명예군민이 되었다.

목차

머리말

1 섬으로 가라
외로운 것들끼리 만나고 싶으면 섬으로 가라|섬에 가거든 바람을 이해하라|바다를 좋아하는 나비|아내 모르게|소금과 시|고독의 집, 무덤|마라도의 잔디|구두 수선|우체통|홍도의 원형|시와 산문|그대로 놔둬라

2 아무도 오라고 하지 않았다
섬에 와 있어도 섬에 가고 싶다|섬, 고독을 위하여|별을 보면 시가 보인다|무인도에서 벌레와 나|통하는 것|섬에서 해 뜨는 아침|미쳐보자|섬에 온 여자|겨울 섬 동백꽃|동백꽃 피거든 홍도로 오라|섬 다방|빠져나오기

3 고독해서 떠난다
떠돌며 얻은 시|흰 고무신|뜻하지 않은 일을 만나는 맛|떠나는 사람들|등대가 추억의 지표가 되는 이유|칸나가 무성한 섬|나는 이 섬이 좋았다|해가 뜨고 해가 지는 일|떠나라|초행길|고독은 평등하다|여행하며 읽은 시

4 고독은 죽지 않는다
흐느끼는 시|자판기의 고독|고독해서 마시는 커피|만년필의 고독|죽어도 고독은 죽지 않는다|가을에 쓰는 편지|겨울에서 봄까지|편지를 써라|딱따구리의 시 낭송

5 고독이 주는 선물
무인도를 위하여|고독이 주는 선물|떠나고 싶지 않은 섬|아내에게 써준 비문|겨울에 피는 꽃|외로움을 달래러 섬으로 간다|바다에서 건져낸 시|바다와 섬과 시 쓰는 사람|무엇이 되어 살까

6 섬으로 가는 나그네
바다가 그리워|막연한 정|시 쓰는 즐거움|고독의 기록|방랑기|시인은 섬의 고독을 잡는다|부적


리뷰

구매자 별점

5.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2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