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논어로 논어를 풀다 상세페이지

논어로 논어를 풀다

이한우의 사서삼경

  • 관심 2
셀렉트
리디셀렉트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책입니다!
소장
전자책 정가
34,800원
판매가
34,800원
출간 정보
  • 2012.10.09 전자책 출간
  • 2012.09.28 종이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62.3만 자
  • 24.7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88965743415
ECN
-
논어로 논어를 풀다

작품 정보

이 책 앞에서 더 이상 [논어]를 논하지 말라!
20개의 편(篇)과 498개의 장(章)이 거미줄처럼 복합적인 상호연계,
이중삼중으로 치밀하게 편집한 저술방식에 따라 중첩체계를 이루는[논어]의 세계
학술 저널리스트 이한우가 명쾌하게 읽어낸[논어]읽기의 결정판


최근 고전 읽기 바람이 3040 독자들에게 불어오면서 동서양 고전을 콘텐츠로 한 책들이 다수 출간되어 사랑받고 있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공자와 맹자…… 수천 년 전의 현인들이 일궈낸 인문학적 성취들이 21세기 들어 마치 새로운 트렌드인 양 크게 각광받고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우리가 고전에 열광하는 만큼 원전을 제대로 읽고 있기는 한 걸까?
[조선왕조실록]에 드러난 조선 국왕들의 리더십을 본격 분석해 [이한우의 군주열전] 6권으로 펴내며 원전에 충실한 역사 읽기를 제안한 바 있는 학술 저널리스트 이한우가 이번에는 동양 고전에 대한 탐구로서 [이한우의 사서삼경]을 집필, 그 첫 번째 책으로 [논어로 논어를 풀다]를 내놓았다.
저자는 십여 년의 [조선왕조실록] 읽기를 통해 조선의 명군들과 뛰어난 경세가들이 왜 사서삼경을 읽고 또 읽었으며 ‘조선의 숨은 왕’이라 일컬어지는 ‘송익필’이 어떻게 [논어]안에서 예학과 ‘直(직)’ 사상을 정립해 냈는지를 추적하던 중, 조선의 사상적 뿌리라 불러도 과언이 아닌 [논어]를 처음부터 끝까지 한 글자도 빠짐없이 읽어보자 결심하고 100여 번을 반복해서 독파했다.
중국 최초의 어록(語錄)이며 유가의 성전(聖典)이라고도 불리는 [논어]는 고대 중국의 사상가 공자의 가르침을 전하는 옛 문헌으로, 공자와 그 제자와의 문답을 주로 하고, 공자의 발언과 행적, 인생의 교훈이 되는 말들이 간결하고도 함축성 있게 기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철학자와 한문학자의 눈을 통해 읽음으로써 철학자에 의해서는 동양사상이, 한문학자에 의해서는 한문 한 글자 한 글자의 뜻이 강조되어 옴으로써 그 본래 뜻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점이 많았다. 또한 성리학의 영향으로 학계에서는 공자의 말씀보다는 [논어]를 해석한 주자의 [논어집주]에 의미를 가둬놓기 일쑤였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저자는 공자가 중시한 사상인 ‘仁(인)’과 학문적 통찰력을 말한 ‘學(학)’의 개념을 밝히고, [논어]를 읽는 방법을 찾던 중 공자의 사상이 애씀을 뜻하는 ‘文(문)’과 바탕을 뜻하는 ‘質(질)’ 안에 모두 담겨 있음을 말한다. 주자가 ‘文(문)’을 단순히 글로 해석한 것과는 천양지차의 번역이다. 기존의 번역서들은 한결같이 ‘文(문)’을 글로 번역하고 있다. 그러나 저자는 ‘文(문)’을 애쓰다, 애씀, 애쓰는 법 등으로 풀어야 함을 [논어]안에 등장하는 다양한 사례를 통해 입증해내고 있다.

저자는 ‘文(문)’과 ‘質(질)’의 원리를 통한다면 공자가 [논어]에서 제자들에게 강조했던 내용을 보다 쉽고 명확하게 간파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저자의 해석을 따라가면[논어]그 자체를 쉽게 풀이할 수 있기 때문에 독자들 스스로 [논어]를해석해 낼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논어로 논어를 풀다

이 책은 동양사상의 핵심이며 사서삼경의 으뜸이라 할 수 있는 공자의 [논어]를 역사적 콘텍스트를 넘어 텍스트 자체만으로 해석한 한중일 최초의 책으로, 동양사상을 알고는 싶으나 배경지식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으로 미처 시작하지 못하는 이들에게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해설서가 될 것이다. 조직이나 정치, 인본 등에 대해 저널리스트의 관찰자적 시각이 돋보이는 풀이 또한 기존의 해설서와 차별화된다. 공자의 사상을 내용별로 분류해 정리한 요약판을 넘어서 본연의 뜻을 간파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에서 독자들에게 친절한 인문 읽기의 지침서가 되어줄 것이 분명하다.
(주)해냄출판사는 동서양의 고전을 음미하고 풀이로써 그 가르침을 익힐 수 있는 [이한우의 사서삼경] 시리즈를 계속 출간할 것이며, 다음 권인 [논어로 중용을 풀다]는 2012년 하반기에 예정되어 있다. 원문의 깊이와 풀이의 넓이를 두루 아우르는 책으로 인문학에 대한 갈증으로 목말라하고 있는 남녀노소 독자들에게 영혼의 양식이 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孟懿子問孝(맹의자문효)하자 子曰(자왈) 無違(무위)다
樊遲御(번지어)할 때 子告之曰(자고지왈) 孟孫(맹손)이 問孝於我(문효어아)하길래 我對曰(아대왈) 無違(무위)라 했다.
樊遲曰(번지왈) 何謂也(하위야)입니까? 子曰(자왈) 生事之以禮(생사지이례)하며 死葬之以禮(사장지이례)하며 祭之以禮(제지이례)하는 것이다.

맹의자가 효에 대해 묻자 공자는 말했다. “어기지 않는 것이다.”
번지가 공자가 타는 수레를 몰고 있을 때였다. (이때 공자는 문득 맹의자와의 문답이 떠올랐다.) 그래서 공자가 일러 말하기를 “맹의자가 효를 묻길래 답하기를 ‘어기지 않는 것’이라고 했노라”고 한다.
번지가 “어기지 않는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라고 묻자 공자는 말했다. “아버지 살아계실 적에는 예로써 섬기고, 돌아가시면 예로써 장사지내고, 예로써 제사를 지내는 것을 말한다.”

禮(예)란 무엇인가? ‘살아계실 적에는 예로써 섬긴다, 돌아가시면 예로써 장사지낸다, 예로써 제사를 지낸다’는 것은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을 말하는가? 이미 ‘學而’ 12, 13, 15와 바로 앞의 ‘爲政 3’에 禮에 관한 언급이 나온 바 있다. 그것은 일단 ‘사람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위의(威儀)로 규정해 놓은 절차’라고 정의할 수 있다. ‘內德外禮(내덕외례)’, 德(덕)과 禮(예)는 안팎이 서로 조응해야 한다. 마음[內]만 있고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도 문제이고 겉[外]만 있고 마음이 뒷받침해주지 않는 것도 문제이다. 德은 바탕[質]이고 禮는 애씀[文]이다.
공자는 당연히 맹의자가 어기고 있다[有違]고 본 것이다. 아버지와 관련해서 禮를 어기고 있고 나아가 군주에 대한 禮도 어기고 있음을 넌지시 시사하려 한 것은 아닐까? 맹의자에 대한 은근한 질타의 의미를 읽어낼 수 있다.
이 점에서 주희의 풀이를 참고할 만하다. “이때 삼가(三家)가 참람한 예(禮=정변)를 행하였으므로 공자께서 이것으로써 경계하신 것이다. 그러나 말씀한 뜻이 원만하여 또 오로지 삼가(三家)만을 위해 말씀하시지 않은 듯하니, 이 때문에 성인(聖人)의 말씀이 되는 것이다.”
(/ '2편 [爲政(위정) 5' 중에서)

子曰(자왈) 君子無所爭(군자무소쟁)이나 必也射乎(필야사호)한다. 揖讓而升(읍양이승)하여 下而飮(하이음)하니 其爭也君子(기쟁야군자)답다.

공자는 말했다. “군자는 다투는 바가 없으나 반드시 활쏘기에서는 경쟁을 한다. 상대방에게 읍하고 사양하며 올라갔다가 내려와 술을 마시니 이러한 다툼이 군자다운 것이다.”

조선 시대 때도 大射禮는 국가 차원의 의례였다. 이에 관해서는 조선의 학자군주 正祖(정조)의 풀이가 참고할 만하다. “다툼[爭]은 힘을 통한 승부를 겨루는 것이 아니라 바로 心力(심력)을 견주어보는 것이니, 다툼과 유사한 점이 있지만 실제로는 다투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논어]에 ‘그 다툼이 군자답다’고 한 것이다. 맹자가 이르기를 ‘자기를 이긴 자를 원망하지 않고 돌이켜 자신에게서 원인을 찾는다’고 하였으니 맹자의 이 말은 바로 [논어]의 이 장에 대한 풀이라 하겠다.”([홍재전서])
정리하자면 이 장은 활쏘기의 사례를 통해 승부[質]과 격식[文]이 잘 조화된 禮, 즉 大射禮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 점에서 ‘八佾 16’도 함께 논의하는 것이 禮樂의 文質(문질) 문제를 살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3편 [八佾(팔일) 7' 중에서)

子曰(자왈) 里仁爲美(이인위미)하니 擇不處仁(택불처인)이면 焉得知(언득지)이겠는가?

공자는 말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마을은 어짊이 중요하니, 가려서 어진 마을에 가서 살지 않는다면 어찌 사람을 보는 지혜를 가진 자이겠는가?”

‘八佾’ 편에서 禮樂(예악)에 관한 기본적인 논의를 마친 후 이제 인간적 본바탕이라 할 수 있는 ‘어짊[仁]’으로 넘어왔다. 그런 점에서 어짊은 禮樂보다는 좀 더 추상적이고 근본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어짊이 있고 나서야 禮樂이 바로 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자는 여기서 어짊은 추상적 개념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주변에 실재하고 있는 가장 구체적인 실천행위임을 보여준다. 마을의 ‘어짊’ 혹은 ‘어진 마을’에 관한 글로 ‘里仁’ 편을 시작하는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중략)

이 장에서 눈여겨봐야 하는 것은 어짊[仁]의 문제와 관련해 마을의 중요성을 지적한 놀라운 통찰이다. 사람처럼 마을에도 인심이 박한 마을이 있고 후한 마을이 있다. 어진 마을이 있고 그렇지 못한 마을도 있다. 유유상종(類類相從). 어진 이들과 가까이 하면 어질어지고 그렇지 못한 이들과 가깝게 지내면 어짊에서 멀어진다. 어짊[仁]은 사람의 마음속에 들어있는 불변의 성질이나 성향이 아니라 끊임없는 노력[文]을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라는 점을 일깨워준다. ‘陽貨 2’는 그 점을 일깨워주는 기본적인 명제다.
(/ '4편 [里仁(이인) 1' 중에서)

文質의 文이 애쓰다로 풀이할 경우 [논어]의 어느 한 구절이 어떻게 완벽하게 해명되는지를 잠깐만 짚어보겠다. ‘學而 6’에서 공자는 “젊은이들은 집에 들어오면 효도해야 한다”고 말한다. 효도는 바탕(質)이다. 그리고 이어지는 ‘學而 7’에서 자하는 “부모 섬기기를 기꺼이 온 힘을 다하여 해야 한다”고 말한다. 효도에 ‘기꺼이 온 힘을 다하여’가 추가된 것이다. 質에 文이 추가된 것이다. 文은 애쓰는 것이라고 했다. ‘기꺼이 온 힘을 다하여’는 곧 애쓰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기꺼이 온 힘을 다하여’라는 말은 다소 추상적이다. 그에 대한 해답은 ‘里仁 18’에 나온다.

공자는 말했다. “부모를 섬기되 (부모의 잘못이 있을 때) 은미하게 간해야 하니, 부모의 뜻이 내 말을 따르지 않음을 보더라도 더욱 공경하고 어기지 않으며, 수고로워도 원망하지 않아야 한다.”

이렇게 하는 것이 바로 ‘기꺼이 온 힘을 다하여’ 부모를 섬기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효와 관련된 文, 즉 애쓰는 법을 정확히 풀이해 내는 것이다.
(/ '나오는 말_ 드디어 ‘애쓰는 법[文]’을 배우다' 중에서)

작가

이한우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61년
학력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 석사
고려대학교 영문학 학사
경력
조선일보 편집국 문화부 부장
조선일보 여론독자부 부장
2003년 조선일보 논설위원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이한우의 조선 당쟁사 (이한우)
  • 이한우의 노자 강의 (이한우)
  • 논어로 대학을 풀다 (이한우)
  • 합본 | 이한우의 『논어』 강의 (이한우)
  • 이한우의 『논어』 강의 1권 (학이) (이한우)
  • 신서(新序): 유향 찬집 완역 (홍기용, 이한우)
  • 이한우의 인물지 (이한우)
  • 이한우의 설원(上) : 유향 찬집 완역 해설 (이한우)
  • 개정판|우리의 학맥과 학풍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 이방원(상)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별책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8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7년 (이한우)
  •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16년 (이한우)
  • 세종, 조선의 표준을 세우다 (이한우)
  •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이한우)
  • 선조, 조선의 난세를 넘다 (이한우)
  • 숙종, 조선의 지존으로 서다 (이한우)
  • 정조, 조선의 혼이 지다 (이한우)
  • 성종, 조선의 태평을 누리다 (이한우)

리뷰

4.0

구매자 별점
15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 명불허전. 논어가 2000년 가까이 현인들 사이에서도 읽혀진 이유가 있다. 논어를 제대로 알고자 한다면 이 책을 추천한다. 문(애쓰다)을 하지 않을 수 없다.

    kob***
    2021.04.09
  • 읽어야 되는 책입니다. 천천히 다 읽고 또 읽고 계속 봐요 논어로 중용을 풀다도 나왔음 좋겠어요... plz

    kor***
    2013.11.16
  • 대단하십니다.. 공자님의 좋은말 이한우님 때문에 많은걸 배웁니다.. 돈이 안 아깝네요..

    kin***
    2013.03.12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인문 베스트더보기

  • 경험의 멸종 (크리스틴 로젠, 이영래)
  • 특별증보판 | 청춘의 독서 (유시민)
  • 나는 왜 남들보다 쉽게 지칠까 (최재훈)
  • 먼저 온 미래 (장강명)
  • 나는 왜 아무것도 하기 싫을까 (배종빈)
  • 넥서스 (유발 하라리, 김명주)
  • 빌런의 심리학 (오시오 아쓰시, 김현정)
  • 초역 부처의 말 (코이케 류노스케, 박재현)
  • 물질의 세계 (에드 콘웨이, 이종인)
  • 개정판 |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빅터 프랭클, 이시형)
  • 지능의 기원 : 우리의 뇌 그리고 AI를 만든 다섯 번의 혁신 (맥스 베넷, 김성훈)
  • 부의 심리학 (김경일)
  •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 (전혜정)
  • 마음의 기술 (안-엘렌 클레르, 뱅상 트리부)
  •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조현욱)
  • 1일 1책 인문학 세계고전 (사사키 다케시, 윤철규)
  • 개정판|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70만 부 기념 리커버) (알랭 드 보통, 정영목)
  • 사랑의 기술(5판) (에리히 프롬, 황문수)
  •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무한 (채사장)
  • 불안 세대 (조너선 하이트, 이충호)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