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교회에 서린 처음 사랑을 더듬어 가는 여정
신앙의 씨앗이 뿌려졌을 때 이 땅에 뿌리내린 교회들
정동제일교회 승동교회 강화읍성당 온수리성당 서도중앙교회 수촌교회
청주제일교회 청주수동교회 진천교회 음성교회 부대동교회 공주제일교회 강경북옥교회
두동교회 금산교회 목포양동교회 목포중앙교회
대구제일교회 부산 주교좌성당 안동교회와 자천교회 척곡교회 행곡교회와 용장교회
역사의 숨결을 간직한 우리의 옛 교회를 찾아서
2007년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 기념행사를 통해 우리나라에 백 년 이상 된 교회가 5백여 개나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 장석철 집사는 이 교회들이 어디에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을까 하는 호기심이 발동해 두루 수소문해 보았지만 옛 모습의 예배당이 남아 있는 교회는 드물었다. 80년 이상의 건축령을 가진 교회 건물이 채 서른 곳도 되지 않았던 것이다. 서둘러 여러 목사님과 관계자에 조언을 구하고 교회사 서적을 뒤적였다. 그리고 1년여에 걸쳐 전국을 돌며 스물 네 곳의 1세대 예배당을 촬영했다. 우리의 처음 믿음을 기록으로 남기는 일, 건축을 전공하고 오랜 기간 사진을 찍어 온 그에게 이 작업은 사명이었다.
교회가 이정표가 되는 고장 강화 교동교회에서 사역하는 구본선 목사에게 기독교 유적은 과거의 흔적 이상이다. 한국 기독교인의 믿음의 역사는 백 년의 신앙과 미래를 든든히 받치는 주춧돌이기에 교회사를 공부해 왔다. 그는 옛 예배당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찾아가 듣고 사료를 살펴 글을 썼다. 교회마다 생겨난 사연이 있었고, 그곳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었다. 낡은 건물이라고 허물어 버렸다면 교회를 설립한 이들의 신앙과 애국계몽운동, 그리고 순교의 길을 택한 믿음의 선배들에 대한 기억도 끊어지고 말았을 것이다.
작지만 오래 되새겨야 할 첫 모습을 간직한 곳, 이름도 빛도 없이 묵묵히 자신의 자리를 지켰던 사람들. 《한국 교회 처음 예배당》은 크고 웅장한 것에 열을 올리느라 쉽게 지나쳤던 가치에 주목한 이들로부터 시작되었다.
《한국 교회 처음 예배당》 바로 읽기
백정을 장로 삼은 교회, 일제 강점기 조선 거주 일본인 선교를 위한 교회, 남자도 여자도 설교자를 바라보며 예배할 수 있는 교회……. 세월이 스쳐갈수록 깊어지는 저마다의 사연을 간직한 처음 예배당은 지역에 따라 서울·경기 지역 여섯 개 교회(정동제일교회/ 승동교회/ 강화읍성당/ 온수리성당/ 서도중앙교회/ 수촌교회), 충청 지역 일곱 개 교회(청주제일교회/ 청주수동교회/ 진천교회/ 음성교회/ 부대동교회/ 공주제일교회/ 강경북옥교회), 전라 지역 네 개 교회(두동교회/ 금산교회/ 목포양동교회/ 목포중앙교회), 경상 지역 일곱 개 교회(대구제일교회/ 부산 주교좌성당/ 안동교회와 자천교회/ 척곡교회/ 행곡교회와 용장교회)를 수록해 총 스물네 곳을 소개한다. 초기 부흥의 불꽃이 크게 일었던 평양을 포함한 북한 지역의 교회들을 소개할 수 없는 현실도 씁쓸하지만, 강원과 제주 지역에 남아 있는 옛 예배당이 없다는 점도 매우 안타깝다.
각 예배당의 생생한 모습뿐 아니라 그 내력과 이런저런 이야기를 소개하고 교회를 이해하는 데 빼놓을 수 없는 인물과 역사적 사건을 곁들여, 마치 교회 앞뜰을 거닐며 설명을 듣는 듯 누구나 어렵지 않게 백 년의 시간을 돌아볼 수 있다. 때때로 근처의 둘러볼 만한 유적지도 소개하고 있으며 주소와 연락처를 부록으로 수록해 이 책을 물꼬 삼아 예배당에 직접 찾아가거나 관련 내용을 찾아봄으로써 각자의 여정을 마련할 수 있도록 했다.
풍파에 요동치 않는 뿌리 깊은 교회들
예배 때마다 수천 명이 모여드는 대형 교회, 박물관이 부럽지 않은 화려하고 웅장한 교회라면 우리나라 기독교를 대표하는 교회로 손꼽을 수 있을까? 세계 어디에도 없는, 오직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교회라야 우리 기독교 유산으로 자랑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참으로 많은 기독교 유적이 사라지고 말았다. 일제 강점기와 큰 전쟁, 무분별한 도시 개발로 불가피하게 파괴된 것도 많지만, 지켜야 할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분별하지 못한 우리의 무관심 때문에, 문화재로 지정되어 겪을 불편보다 편리함을 추구하는 안일함 때문에 돌이킬 수 없는 선택을 쉽게 해온 것은 아니냐고 처음 예배당들이 말없이 묻고 있다. 세월의 풍파에도 한 세기를 굳건히 살아 낸 예배당처럼 우리의 처음 믿음은 굳게 뿌리내렸는가. 돌멩이 하나하나 가져다 돌담을 쌓아 올리고 다른 집을 떠받치던 낡은 대들보를 가져다 지어도 예배할 곳이 있어 행복했던 처음 믿음들을 만나는 여정에서 곰곰 생각해 볼 일이다.
감수자의 글에서
독자들은 특별한 섭리 가운데 이루어진 ‘만남’의 흔적을 이 책을 통해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다음 세 가지 만남을 강조하고 싶다.
첫째, 사진과 글의 만남이다. 이 책은 화보이며 동시에 교회사 책이다. 소명감으로 셔터를 누른 사진작가의 작품과 문서 자료와 현장 유적을 꼼꼼하게 따져 가며 기록한 젊은 교회사가의 글이 조화를 이룬다. 그래서 이 책은 먼저 현장을 답사하듯 사진을 죽 훑어본 다음, 안내자의 해설을 듣는 것처럼 글을 읽으면 좋다. 그리고 다시 한 번 사진을 보면 글과 이미지가 주고받는 대화를 들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복음과 역사의 만남이다. 이 책에 소개된 예배당들은 백 년을 넘거나 그에 가까운 역사를 간직한 교회들이다. 한말 개화기에 복음을 접한 1세대 신앙인들의 감격과 헌신, 일제 강점기를 살았던 2세대 신앙인들의 고난과 투쟁, 그리고 해방 후 격동의 현대사를 살았던 3세대의 절망과 도전의 역사를 말없이 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흠집을 찾아내려 따지듯 달려들기보다는 여유로운 호기심을 갖고 살펴볼 때 훨씬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기독교와 문화의 만남이다. 신학자 틸리히의 “종교는 문화의 내용이며, 문화는 종교의 형식이다”라는 말처럼, 어떤 종교든 문화를 통하지 않고는 자신을 표현할 수 없으며 모든 문화는 그 안에 정신적, 종교적 가치와 의미를 담고 있다. 기독교문화도 마찬가지여서 시대와 민족에 따라 다양한 색깔의 문화가 만들어졌다. 내용에서 같지만 유럽의 기독교문화와 아시아의 기독교문화가 다른 것은 이 때문이다. 한민족 고유의 문화를 빌려 자신을 표현하면서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독특한 기독교문화가 창조되었고, 그것은 서구 기독교문화나 한국 고유문화와 ‘연결되면서도 구별되는’ 독특한 문화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 책에 수록된 예배당들이 구체적인 증거물이다. 특히 아름다운 곡선의 한옥 예배당은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한국 교회가 자랑할 만한 문화유산이다.
_이덕주(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