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 권기봉
권기봉은 월악산국립공원에서 자란 산골소년이다. 1998년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에 입학하면서 경험하게 된 서울은 ‘원더랜드’ 그 자체였다. 지금 발을 딛고 있는 이 공간이 궁금해 무작정 길을 나섰는데 사람이 보이고 역사가 읽히고, 또 그 배경이 되는 건물과 장소가 시야에 들어왔다. 재발견한 메트로폴리스 서울에 대한 글쓰기는 그때부터 시작되었다.
워낙 호기심이 많고, 여행 다니고 사람 만나기를 좋아하고, 알고 싶은 것도 많았기에 대학 시절부터 학보사 기자로 활동했다. 이후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를 거쳐 2005년부터 2008년까지 SBS 기자로 현장을 누볐다. 그사이 ‘2002년 올해의 시민기자상’ ‘2005년 SBS 특종상’ ‘2008년 삼성언론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EBS <세계테마기행> <세계견문록 아틀라스> <한국기행>에 진행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KBS 라디오 <우연한 여행자>와 <빅데이터로 보는 세상>에 고정 출연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명소 스토리텔링 자문위원으로도 활동 중이다. 나라 밖으로도 눈을 돌려 지금까지 50여 개국을 여행했는데, 최근에는 아시아를 비롯해 태평양과 인도양, 유럽의 근현대사 관련 현장으로 여행을 이어가고 있다.
그는 한국 사회의 현재를 기록으로 남기고, 한국 사회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돌아봐야 할 것들에 대한 고민을 더 많은 이들과 나누고자 오늘도 호기심 천국, 세상 속을 분주하게 걷는다. 지은 책으로 《다시, 서울을 걷다》 《서울을 거닐며 사라져가는 역사를 만나다》가 있다.
저 : 로버트 파우저 (Robert J. Fouser)
그는 각국 도시 생활자이며 탐구자다. 그에게 ‘도시’란 여행자로 스치는 장소가 아닌, 일상의 터전이며 삶의 기반이다. 어디에서나 경계 밖 이방 인으로 살지 않았으며 기꺼이 그 도시의 일원이 되었다. 얼핏 보이는 도시의 풍경보다 그뒤에 쌓인 시간과 도시를 이루는 수많은 ‘입자’야말로 그의 관심사다.
미국 앤아버에서 태어났으나 주로 이 도시 밖에서 살았다. 고교 시절 도쿄에 두 달여 다녀간 이후 여러 대륙의 수많은 도시에 머물렀다. 한국과 일본과의 인연은 여러모로 남다르다. 서울, 교토, 대전, 구마모토, 가고시마 등의 여러 학교에 재직하며 짧게는 1년 반, 길게는 13년여를 살았다. 서울과 교토 등에 살면서 한국과 일본의 여러 도시를 수시로 다녔으며 그 중에서도 전주와 대구 등과의 인연은 10여 년이 넘어간다. 이외에도 학업을 위해 살았던 더블린은 물론 런던과 뉴욕, 어 머니가 말년에 살았던 라스베이거스 역시 그에게는 늘 어제 본 듯 선한 도시다. 이밖에 미국과 유럽의 여러 도시에도 매우 익숙하다.
여러 언어 사용자이기도 한 그에게 사는 도시의 언어는 경계 안으로 들어가는 유용한 도구다. 언어학 전공자로서 모어인 영어 외에 한국어, 일본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중국어, 몽골어를 공부했고, 한문과 라틴어, 북미 선주민 언어, 중세 한국어 등을 따로 익혔다. 최근에는 에스페란토어를 학습 중이다.
이밖에 사진에도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그는 단순히 애호가의 수준을 넘어 지속적으로 촬영 작업을 해오고 있다. 2016년 교토에서 열린 국제사진전에 작품을 출품하기도 했고, 2017년과 2018년 인천과 홍천에서 마을공동체 사진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이후에도 다양한 전시를 준비하고 있다. 이 책에 실린 사진 역시 모두 그가 수십 년 동안 꾸준히 찍은 것들이다.
_
1961년 미국 미시간 주 앤아버 출생. 미시간 대학교에서 일어일문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응용언어학 석사 과정을, 아일랜드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에서 응용언어학 박사 과정을 밟음.
1988년부터 1992년까지 고려대학교 영어교육과 객원 조교수, 한국과학기술대학(현재 카이스트) 교양 영어 초빙 조교수 등으로, 1995년부터 2008년까지 일본 리쓰메이칸 대학교, 교토 대학교 외국어 교육론 강좌 부교수, 구마모토가쿠엔 대학교 경제학부 부교수, 가고시마 대학교 교 육센터 교양 한국어 부교수 등으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부교수로 재직함.
2018년 ‘외국어는 어디에서 어디로, 누구에게 어떻게 전해졌는가’에 관한 책 『외국어 전파담』을 출간, 많은 독자의 호응을 받은 바 있음. 이밖에 주요 저서로, 『서촌 홀릭』, 『미래시민의 조건』, 『서울의 재발견』(공저), 『Hanok: The Korean House』 등이 있고, 『한 국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Korean Literature (김흥규 지음)를 영어로 옮긴 바 있음. 『동아일보』, 『한국일보』, 『중앙선데이』, 『넥스트 데일리』 등 국내 지면 및 영자 신문 『코리아헤럴드』, 『코리아타임스』, 『코리아중앙데일리』 등에 꾸준히 칼럼을 게재해왔음. 2012년 한국어 교육과 관련한 공로를 인정받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장을 받음.
승효상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빈 공과대학에서 공부했다. 현재 이로재 건축사무소 대표이며 서울시 총괄건축가로 활동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건축이란 무엇인가》, 《건축, 사유의 기호》, 《지문》,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 등이 있다.
오영욱 (오기사, ogisa)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스페인 엘리사바대학교에서 내부공간디자인을 공부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머물다 귀국해 현재는 건축 디자인 사무소 오다 oddaa를 운영하고 있으며 ‘오기사’라는 필명으로 더 유명하다. 《깜삐돌리오 언덕에앉아 그림을 그리다》, 《오기사, 행복을 찾아 바르셀로나로 떠나다》, 《나한테 미안해서 비행기를 탔다》, 《그래도 나는 서울이 좋다》, 《인생의 지도》를 출간했다.
조 한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예일대학교 건축대학원을 졸업했다.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디자인 HAHN Design 및 생성/생태건축 철학연구소 대표이기도 하다. 건축, 철학, 영화, 종교에 관한 다양한 작품과 글을 통해 건축과 여러 분야의 접목을 꾀하고 있으며 《서울, 공간의 기억 기억의 공간》 을 출간했다.
권기봉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를 졸업했다. 대학 시절부터 학보사 기자로 활동했으며 [오마이뉴스] 시민기자를 거쳐 SBS 기자로 현장을 누볐다. 지은 책으로 《서울을 거닐며 사라져가는 역사를 만나다》, 《다시, 서울을 걷다》, 《권기봉의 도시산책》 등이 있다.
조용헌
원광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민속학을 전공하여 불교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원광대 불교대학원 교수이자 사주명리학 연구가이다. 지은 책으로는 《조용헌의 동양학 강의》, 《조용헌의 사주명리학 이야기》, 《조용헌 살롱》, 《그림과 함께 보는 조용헌의 담화》, 《조용헌의 명문가》, 《통도유사》 등이 있다.
이현군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지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옛 지도를 들고 서울을 걷다》, 《서울 성 밖을 나서다》, 《옛 지도를 들고 우리 역사의 수도를 걷다》, 《한강의 섬》 등의 책을 썼다. 서울대 국토문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이며 한국고지도연구학회 이사를 맡고 있다.
유재원
서울대학교 언어학과를 졸업하고 그리스 아테네대학교에서 언어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순 우리말 역순 사전》으로 한글학회 표창장을 받았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그리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그리스》, 《신화로 읽는 영화, 영화로 읽는 신화》, 《그리스 신화》 등이 있다.
고미숙
고려대학교 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십여 년간 〈수유 + 너머〉에서 활동했고, 2011년 이후 인문의역학연구소 〈감이당〉에서 ‘공부와 밥과 우정’을 동시에 해결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열하일기,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공부의 달인, 호모 쿵푸스》,《나의 운명 사용설명서:사주명리학과 안티 오이디푸스》,《낭송의 달인 호모 큐라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