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역사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

소장종이책 정가27,000
전자책 정가30%18,900
판매가18,900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 표지 이미지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작품 소개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 조선시대 국왕의 리더십과 소통을 주제로 하는 [조선 국왕의 리더십과 소통 총서]의 제1권은 조선시대 국왕의 리더십 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은 ‘리더십’(leadership)이라는 현대적인 관점에서 조선시대 국왕의 존재와 위상을 재조명하면서, 동시에 현재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고자 한다. 일종의 지적인 실험이자 동시에 연구의 모험인 셈이다.

이 책은 크게 두 파트로 나눠 조선시대 국왕의 리더십을 탐구하고 있다. 첫 번째 파트에서는 국왕과 양반, 그리고 백성이라는 정치행위의 주체에 주목해서 국왕의 리더십 실체에 다가서고자 했다. 특히 국정 운영에서는 국왕에 한정하지 않고 국왕 · 상왕 · 대비로 나누어 분석하고 있다. 두 번째 파트에서는 한국 · 중국 · 일본 국왕의 리더십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색해보고자 했다. 조선 국왕의 위상과 리더십을 비교사적으로 그리고 가능한 한 객관적으로 그려내려고 한 것이다.

리더는 혼자 존재할 수 없다. 진정한 리더십 연구에서는 리더(leader)뿐만 아니라 팔로우(follower), 그리고 리더와 팔로우의 관계까지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은 독자들로 하여금 종래의 전통적인 리더십 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정치주체들을 포괄하고 있어서, 조선 국왕의 리더십을 조금은 다른 각도에서 그리고 입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공저 : 김석근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정치사, 정치사상사 분야 전공이다. 현재 아산정책연구원 한국학연구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문화대탐사』, 『한국정치사상사』, 『한국의 자유민주주의』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일본정치사상사연구』, 『일본의 사상』, 『문명론의 개략을 읽는다』 등이 있다.

공저 : 김문식 (金文植)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학예연구사를 거쳐 현재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장, 한국고전번역학회 회장, 성호학회 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으로 있다. 조선의 경학사상, 조선후기 사상가, 정조 시대, 국왕 교육, 국가 전례, 대외인식에 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였으며, 최근에는 조선시대의 국가 전례 및 왕실 문화에 나타나는 예악 국가로서의 특징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정조의 경학과 주자학』, 『정조의 제왕학』, 『조선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왕세자의 입학식』, 『정조의 생각』, 『조선 왕실의 외교의례』, 『원행을묘정리의궤』 등이 있다. 공저로는 『조선의 왕세자 교육』, 『조선왕실 기록문화의 꽃, 의궤』, 『조선 국왕의 일생』, 『왕실의 천지제사』, 『즉위, 국왕의 탄생』, 『조선시대 국왕 리더십 관』, 『국왕 리더십의 유형과 실제』 등이 있다.

공저 : 신명호 (申明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과정을 마치고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조선왕비실록』(역사의 아침, 2007), 『고종과 메이지의 시대』(역사의 아침, 2014), 『조선왕조 스캔들』(생각정거장, 2016), 『조선시대 해양정책과 부산의 해양문화』(한국학술정보, 2018) 등이 있다.

목차

서언 국왕의 국가 경영과 리더십 · 7

1부 국왕·상왕·대비의 리더십관(觀)
Ⅰ. 천명(天命)과 책봉(冊封): 왕권의 근거와 정당성 21
Ⅱ. 왕권에 대한 유교적 인식 27
1. 유덕자수권(有德者受權) 사상 27
2. 조공종덕(祖功宗德) 사상 31
Ⅲ. 정치상황에 따른 왕권의 유형 36
1. 평상시의 정치상황과 국왕 36
2. 비상시의 정치상황과 국왕?상왕?세자 55
3. 미성년 국왕과 수렴청정?섭정 67
Ⅳ. 국왕?상왕?대비의 리더십관 86
1. 국왕의 리더십관 86
1) 제왕학 교재에 표출된 리더십관 86
2) 국왕 훈유서(訓諭書)에 표출된 리더십관 107
2. 상왕의 리더십관 118
1) 상왕 태조의 리더십관 118
2) 상왕 태종의 리더십관 123
3. 수렴청정기 대비의 리더십관 128
1) 문정왕후의 리더십관 128
2) 정순왕후의 리더십관 135
3) 순원왕후의 리더십관 140

2부 양반의 국왕 리더십관
Ⅰ. 천(天)과 천명(天命): 권력의 근거와 정당성 149
Ⅱ. 유교 정치 변동론과 ‘정명’(正名) 155
1. 선양(禪讓): 요·순·우 156
2. 세습(世襲) 161
3. 방벌(放伐): 걸(桀)·주(紂) 164
4. 역성혁명으로서의 조선 건국 169
Ⅲ. 지배층으로서의 국왕과 양반 173
1. 인정(仁政)과 덕치(德治) 175
2. 군신공치(君臣共治)? 180
Ⅳ. 양반의 국왕 리더십 인식과 유형화 190
1. 백이형 192
2. 이윤형 195
3. 공자형 199
Ⅴ. 역모(逆謀)와 반정(反正) 205
1. 정여립의 난 209
2. 중종반정과 인조반정 215

3부 민의 국왕 리더십관
Ⅰ. 군사부일체론(君師父一體論)과 민: 226
민에 대한 왕권의 근거와 정당성
Ⅱ. 민에 대한 유교적 인식 234
1. 민유방본(民惟邦本) 사상 234
2. 항산(恒産)과 항심(恒心) 239
Ⅲ. 민의 합법적 정치 행위와 국왕 리더십관 245
1. 국왕 대상의 정치행위와 국왕 리더십관 247
2. 관료 대상의 정치행위와 국왕 리더십관 251
Ⅳ. 민의 저항과 국왕 리더십관 257
1. 비폭력적 저항과 국왕 리더십관 257
2. 폭력적 저항과 국왕 리더십관 271

4부 한·중·일의 국왕 리더십 비교 및 유형
Ⅰ. ‘유교 문화권’으로서의 동아시아 285
1. 천하(天下) 사상 287
2. 중화(中華)와 이적(夷狄) 291
3. 사대(事大)와 교린(交隣) 296
Ⅱ. 천자와 제후 관계의 역동성: 311
‘동이’(東夷)와 자아중심
1. 천단(天壇) 313
2. 원구단(?丘壇) 315
3. 신국(神國) 322
Ⅲ. 국왕의 리더십 유형: ‘정치적 상징’과 329
‘실질적 권력’의 관계
1. 중국형: 봉건제와 군현제, 이민족과 왕조교체 330
2. 일본형: 텐노오(天皇)와 쇼군(將軍)의 이원구조. 342바쿠한세이(幕藩制)
3. 조선형: 정치적 상징과 실질적 권력의 복합형?? 350
Ⅳ. 한국, 중국, 일본 국왕 리더십 비교와 특성 355

참고문헌 · 365
색인 · 376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