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성에서의 도피 상세페이지

이성에서의 도피

  • 관심 0
소장
종이책 정가
8,400원
전자책 정가
8,400원
판매가
8,400원
출간 정보
  • 2021.07.29 전자책 출간
  • 2019.04.23 종이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6.9만 자
  • 26.1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88904306367
ECN
-
이성에서의 도피

작품 정보

“인간은 죽었다. 신도 죽었다. 인생은 의미 없는 삶의 존속일 뿐이며, 인간은 거대한 조직의 일개 부품일 뿐이다. 유일한 탈출의 길은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체험, 약물, 부조리, 광기와 같은 비이성적, 비합리적 판타지 세계에 있다.” 이와 같은 현대인의 참담한 결론은 어떻게 해서 내려지게 되었는가? 그리고 이 절망의 상태에서 기독교 신앙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프랜시스 쉐퍼는 포스트모던 정신에 대한 놀라운 선경지명으로 비극적 결말에 처한 20세기의 정신이 등장하게 된 과정을 설명하고 현시대와 다가오는 미래를 살아가야 하는 현대인들에게 올바른 목적과 희망이 어디에 있는가를 설명해 준다.

현대인의 절망은 삶의 의미와 기준에 대한 통일된 해답을 포기한 데서 온다. 그 절망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길은 인간이 자신으로부터 시작할 수 있음을 말해 주는 유일무이한 준거인 성경으로의 회귀이다.
자율적인 반항을 고집하였으나 지식과 인생에 대한 답을 발견하는 데 실패한 인간은 결국 비합리적 비약을 시도하였고 그마저 좌절함으로써 이제까지 인간이 갈망하던 것이 전혀 가능성이 없다는 절망에 처하게 되었다. 그 해답 없는 비이성 영역으로의 도피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혼란 없는 자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하나님이 자신의 형상대로 창조하신 인간에게 말씀해 주시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불변의 참된 진리인 성경으로 돌아가야 한다.

중세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서구 문예와 철학 사상을
분석하여 진단한 현대인의 절망의 원인과 해법
20세기 복음주의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준 세계적 지성, 프랜시스 쉐퍼는 <이성에서의 도피>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은총과 자연에 대한 논의로부터 시작하여 하나님이 우리의 이성으로부터 격리되는 과정을 예리하게 파헤침으로써 현대의 불안과 목적 없는 공허함의 근본적인 원인을 밝히고 있다.
인간은 이분법적 관점으로 자율을 추구하면서 절대적 준거점과 통일된 세계관을 상실하였고 다양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지식과 인생에 대한 답을 구하는 데 실패하고 말았다. 결국에는 이성과 지식으로부터 단절된 진리를 얻기 위해 비합리적 비약을 하는 헛된 노력을 할 수밖에 없게 되었으며, 그마저도 허사가 되자 어떻게 살아야 할지 아무도 답해 주지 않는 상황에 떨어지면서 깊은 절망의 구렁텅이에 빠지게 되었다.
이러한 비참한 상태에 대해 쉐퍼가 제시한 해답은 현대인들이 손놓아 버린 인생과 세계에 대한 통일된 답을 최종 권위인 성경에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받은 전인적 존재이기에 유한한 창조 세계와 역사에 관한 진리가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을 이해할 수 있고 그것을 근거 삼아 삶에 대한 통일된 해답을 찾고 합리성을 회복할 수 있다.

기독교는 검증할 수 없는 ‘어둠 속에서의 도약’에 근거하는, 일단의 전달 불가능한 모호한 체험이 아니다. 신자로서의 삶이 시작되는 회심도 성화의 과정에서 성장하는 영성도 결코 도약이 아니다. 이 두 경험 모두 살아 계신 하나님과 그분이 우리에게 주신 절대 진리와 연관되어 있다. 거기서 인간은 마땅히 스스로 해야 할 일, 자기 자신에게서 시작하는 일을 할 수 있는 이유를 찾을 수 있으며 인생과 세상의 의미를 비로소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하나님이 성경에 계시해 놓으신 하나님과 세상과 역사에 대한 참된 진리로 돌아가 거기에 순복함으로써 인간은 부조리와 절망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그러므로 절망의 위기에 처한 현대인들은 모든 사고와 사물에 대하여 참된 것을 말해 주는 성경 말씀으로 복귀하여 기록된 하나님의 계시를 받아들이고, 거기에 나타난 가치관을 총체적으로 수긍하고 시인하며, 그 기독교적 절대 기준을 따르기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한다.
쉐퍼의 <이성에서의 도피>는 성경으로의 회귀가 우리가 가야 할 유일한 길임을 시대별 문예 사조와 문화 현상을 통해 흥미로우면서도 논리적으로 설명하여 20세기를 지나 여전히 상대주의적인 세계관의 지배 아래 있는 우리에게 변하는 세계에서도 불변의 진리를 따라 살 수 있다는 희망의 끈을 보여준다.


화보목록
『예수님의 세례』, 얀 반 에이크 作.
『재상 롤랭의 마돈나』, 얀 반 에이크 作.
산타마리아델카르미네 성당 브란카치 예배당의 왼쪽 벽면 프레스코화.
산타마리아델카르미네 성당 브란카치 예배당의 오른쪽 벽면 프레스코화.
『두 천사와 함께 있는 성모자』, 프라 필리포 리피 作.
『아테네 학당』, 라파엘로 作.
『성체에 관한 논의』, 라파엘로 作.
칼빈의 『기독교 강요』 1536년판 속표지.
칼빈의 『기독교 강요』 1559년 결정판 속표지.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죽음』,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作.
『베아트리체와 마주친 단테』, 헨리 홀리데이 作.
기호 논리학의 대가, 앨프레드 로스 화이트헤드.
원자폭탄 개발 계획에 참여했던 이론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
프랜시스 베이컨의 『학문의 신기관』 1645년판 속표지.
프랜시스 베이컨의 『학문의 신기관』 1762년판 속표지.
『프랜시스 베이컨』, 파울루스 반 소머 作.
『장-자크 루소』, 앨런 램지 作.
‘사디즘’이라는 용어를 낳은 프랑스의 작가이자 사상가, 사드 후작.
『철학자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야코프 슐레징어 作.
무신론적 실존주의를 제창한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자, 장-폴 사르트르.
독일 실존 철학의 대표자, 카를 야스퍼스.
실존주의적 존재론을 전개한 독일의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
‘행동하는 지식인’으로 불린 프랑스의 작가이자 정치가, 앙드레 말로.
피카소의 첫 번째 부인, 올가 코클로바.
『안락의자에 앉은 올가』, 파블로 피카소 作.
1963년에 발매된 『교향곡 3번, 카디시』의 커버.
레너드 번스타인, 1964년 『교향곡 3번, 카디시』 미국 초연 사진.
『침묵』 촬영장에서 아역 배우 요르겐 린드스트룀과 한때를 보내는 잉마르 베리만 감독.
1963년 영화 『침묵』의 스웨덴 첫 상영일 풍경.
‘불가지론’이라는 말을 만들어 낸 영국의 생물학자, 토머스 헨리 헉슬리.
『정의는 백성을 영화롭게 한다』, 폴 로버트 作.
『사도 바울의 회심』,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作.

작가

프랜시스 쉐퍼Francis A. Schaeffer
출생
1912년
사망
1984년
학력
햄던-시드니 칼리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미국의 복음주의 선교사이자 신학자, 장로교 목사이자 강연가, 철학가이자 저자인 프랜시스 쉐퍼는 1912년 필라델피아의 한 유서 깊은 루터교 가정에서 태어났다. 1935년 햄던-시드니 칼리지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같은 해 중국내지선교회 선교사의 딸인 이디스 시빌(Edith Seville)과 결혼하였다. 역시 같은 해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 입학하여 코닐리어스 밴 틸(Cornelius Van Til)과 존 그레셤 메이천(John Gresham Machen)의 지도 아래 수학하였으며, 1937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분리된 페이스 신학교로 전학하여 그 이듬해 제1회 졸업생으로 졸업하였다. 그로브시티 커버넌트 장로교회에서 목회를 시작하였고, 이후 체스터 성경장로교회, 세인트루이스 제일성경장로교회 등에서 사역을 하였다.

1948년 쉐퍼는 가족과 함께 스위스의 가톨릭주(州) 샹페리로 이주하였으나, 1955년 개신교적 선교 활동을 한다는 이유로 추방당하여 개신교주(州)인 위에모로 옮겨 갔다. 그리고 그곳에서 철학 세미나와 영성 훈련을 위한 공동체, 라브리(L’Abri Fellowship)를 설립하였다. 현대인을 위한 복음 사역 공동체인 라브리의 사역은 전 세계 젊은이들의 이목을 끌었고, ‘서구 세계에서 보기 드문 선교 사역의 하나’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으며 이후 스웨덴, 프랑스, 네덜란드, 캐나다, 영국 및 미국 등지로 확대되기에 이르렀다.

20세기 최고의 기독교 지성으로 불리는 쉐퍼는 오늘날의 사회 병리 현상의 주원인이 진리는 절대적이 아니라 상대적이라고 여기는 사상에 있다고 보고, 20여 권에 달하는 방대한 저서를 통해 상대적 진리관이 사회 각 분야에서 초래한 결과들과 대안들을 기술했으며, 깊이를 헤아릴 수 없는 박학다식함과 방대한 통합적 사고로 현대 세계의 유일한 해결책은 성경적 절대 기준으로 돌아가는 것뿐임을 치밀하고도 간곡하게 주장하고 호소하였다.

다수의 저작 중 대표작으로는 『거기 계시는 하나님』(The God Who Is There), 『이성에서의 도피』(Escape from Reason),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살 것인가』(How Should We Then Live?) 등을 꼽을 수 있다.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이성에서의 도피 (프랜시스 쉐퍼)

리뷰

5.0

구매자 별점
3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 시대 풍조에 휩쓸리지않고 성경 그대로의 삶을 살길 바라는 크리스천에게 추천합니다

    yan***
    2023.09.16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기독교(개신교) 베스트더보기

  • 저스트 지저스 : 오직 예수 (브라이언박)
  • 사라질 때까지 기도하라 (한홍)
  • 미니스트리 다이제스트 2025년 국제 현충일 섞임 특별 집회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 매일성경(개역개정) 2020년 1-2월호(창세기 1~36장) (성서유니온 출판부)
  • 에베소에서 보낸 일주일 (데이비드 드실바)
  •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C. S. 루이스, 김선형)
  • 성경적 비판 이론 (크리스토퍼 왓킨)
  • 하나님의 부부 수업 (이형동, 백은실)
  • 연애 신학 (권율)
  • 스토리텔링성경 신구약 완간 세트 (전 25권) (김영진, 강정훈)
  • 통독성경 새번역 (하사람)
  • 2025년 여름 훈련 6권 (위트니스 리, 워치만 니)
  • 2025년 여름 훈련 5권 (워치만 니, 위트니스 리)
  • 성령님 (빌 존슨, 조슈아 김)
  • 개정4판 | 일대일 제자양육 성경공부 (두란노 편집부)
  • 1세기 기독교와 도시 문화 (웨인믹스)
  • 예수 동행 오직 믿음 (유기성)
  • C. S. 루이스의 글쓰기에 관하여 (C. S. 루이스, 윤종석)
  • 주님의 다시 오심을 준비함 (위트니스 리)
  • 신들의 신 예수 (이상환)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