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리멤버 홍콩 : 시간에 갇힌 도시와 사람들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역사

리멤버 홍콩 : 시간에 갇힌 도시와 사람들

소장종이책 정가11,700
전자책 정가11,700
판매가11,700
리멤버 홍콩 : 시간에 갇힌 도시와 사람들 표지 이미지

리멤버 홍콩 : 시간에 갇힌 도시와 사람들작품 소개

<리멤버 홍콩 : 시간에 갇힌 도시와 사람들> 2019년 여름이 시작될 무렵, 홍콩 행정부가 범죄인을 중국으로 송환할 수 있도록 법률을 개정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반송중反送中(중국 송환법 반대)’ 시위가 시작되었다. 수십만의 홍콩 시민이 거리로 나와 송환법 반대와 정치적 자유를 외치며 홍콩/중국 정부와 강력히 충돌했다. 시민들의 요구는 하나였다. 2047년까지 보장하기로 약속한 일국양제, 항인치항, 고도자치를 지키라는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시민의 요구를 묵살하고 최루탄을 살포했다. 그리고 1년 뒤인 2020년 7월 1일, 중국은 홍콩 국가보안법을 제정하며 일국양제를 사실상 종료했다.

『리멤버 홍콩』은 지난 14년간 홍콩 가이드북을 쓰며 밥벌이를 해온 전명윤이 남기는 마지막 홍콩 이야기이다. 지은이는 책 속에 홍콩의 화려한 과거와 불안한 현재, 그리고 알 수 없는 미래를 차곡차곡 쌓았다. 최루탄 연기가 자욱한 홍콩 거리를 취재하면서 지은이는 생각했다. ‘이 여름이 지나고 나면 우리가 알던 홍콩은 사라지겠구나, 어떤 의미로든 앞으로의 홍콩은 이전과 다른 곳이 되겠구나, 우리가 사랑한 홍콩은 이제 기억 속에만 남아 있겠구나.’ 그 불안한 예상이 현실이 된 지금, 전명윤은 그동안의 기록을 모으고 거기에 홍콩 사람들의 목소리를 더해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1842년 홍콩섬이 처음으로 등장한 순간부터 오늘까지 170여 년간 작은 섬을 둘러싸고 벌어진 사건을 관통하는 이 책은 홍콩은 물론 중국의 근현대를 아우르는 훌륭한 역사서이다. 나아가 1980년의 광주와 1989년의 천안문, 2019년의 홍콩, 2021년의 미얀마 시민들의 목소리를 하나로 묶는 끈이기도 하다. 바로 이 지점에서 홍콩은 오늘 우리의 삶과 이어지는 장소가 된다. 이 책을 읽는 동안 우리는 각자의 추억 속에 있는 홍콩을 떠올리게 될 것이다. 이제 홍콩의 마지막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보자.


출판사 서평

고개를 들어보니 도시가 불타고 있었다.
언제나 사람들로 붐비던 쇼핑몰의 불이 꺼지고,
디즈니랜드와 갤러리, 은행도 문을 닫았다.
그리고 2020년 7월 1일, 국가보안법이 제정되며
홍콩의 친구들도 하나둘씩 모습을 감추었다.

그렇게 우리가 알던 홍콩이 사라져버렸다.


홍콩 사람들의 홍콩 이야기
우리에게 홍콩은 어떤 도시일까? 아마도 주윤발이 코트 자락을 날리고 장국영이 맘보춤을 추던 영화들이 먼저 생각날 것이다. 혹은 미쉐린 스타 레스토랑을 찾아가는 미식 여행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며, 밤하늘을 화려하게 수놓는 빅토리아항의 불꽃놀이와 디즈니랜드를 추억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어묵 꼬치와 월병을 먹기 위해 방문하는 시끌벅적한 야시장도, 최고급 호텔에서 즐기는 애프터눈 티도 모두 홍콩을 대표하는 얼굴이다. 혹은 ‘영국제국의 마지막 식민지’로 이 도시를 기억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홍콩을 방문하는 전 세계의 여행자들은 이 모습을 기대하며 이 도시를 찾는다.
그런데 우리가 알던 홍콩은 더 이상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2020년 7월 1일을 기해 홍콩 국가보안법이 발효되면서 홍콩의 정치적 기초였던 일국양제一國兩制(한 나라 안에 서로 다른 두 체제가 공존하는 제도)가 폐지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2021년 1월 2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앞으로 홍콩은 “애국자가 통치한다愛國者治港”라고 발표하면서 홍콩의 민주적 기초였던 항인치항港人治港(홍콩인이 홍콩을 통치한다)도 무너졌다. 우리의 기대와 달리, 그리고 홍콩 사람들의 바람과 달리 홍콩은 더 이상 홍콩이 아니게 되었다. 이 말의 뜻을 알기 위해서는 홍콩의 역사와 한계, 그리고 그 속에서 살아간 이들의 삶을 이해해야 한다.

아무도 살지 않던 돌섬, 아시아의 진주가 되다
홍콩은 1842년 아편전쟁에서 패배한 청나라가 영국과 「난징조약」을 맺으며 역사에 등장했다. 영국은 그때까지 아무도 살지 않던 작은 돌섬을 할양받아 식민지로 삼고 그 영역을 계속 확장했다. 1860년에는 「베이징조약」을 맺고 홍콩섬과 마주한 카오룽반도를 식민지로 추가한 데 이어 1898년에는 신계와 란타우섬을 비롯한 주변 도서를 99년간 조차하였다.
1949년 내전에서 승리한 중국 공산당이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하자 수많은 중국의 민중이 홍콩으로 몸을 피했다. 이후 홍콩의 인구가 매달 10만 명씩 증가했을 정도이다. 이 시기에 중국에서 온 피난민들 중에는 상하이와 닝보 같은 대도시 출신의 자본가와 금융 전문가가 많았고, 이들을 통해 홍콩에 시장 자본주의가 뿌리내리게 되었다. 홍콩이 아시아는 물론 세계 경제와 금융의 중심지가 될 수 있었던 배경에 바로 이들이 있다.
1966년부터 1976년까지 10년간 중국 대륙에 문화혁명의 광풍이 불어닥치면서 중화문명의 전통이 모조리 쓸려나갔을 때, 홍콩은 ‘중화의 계승자’를 자처하며 전통을 지키고 현대화했다. 중국이 죽의 장막을 치고 세계와 단절되어 있는 동안 홍콩은 경극을 무협 영화로 되살리고 명절에 용선을 타고 월병을 나눠먹으며 오히려 세계로 나아갔다. 이후 홍콩의 경제적·문화적 잠재력이 폭발하며 이 섬은 아시아의 진주이자 세계도시로 환골탈태했다.

브리티시 홍콩에서 홍콩 차이나로
1997년 7월 1일 자정 성대한 불꽃놀이와 함께 홍콩은 영국령 식민지에서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가 되었다. 이때 중국은 2047년 7월 1일까지 홍콩인이 홍콩을 통치하는 항인치항, 영국이 홍콩에 만들어놓은 체제를 유지하는 일국양제, 중국이 홍콩의 내정에 간섭하지 않는 고도자치高度自治, 이상의 세 원칙을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1989년 6월 4일 베이징 천안문광장에서 벌어진 중국의 국가 폭력을 목격한 홍콩 사람들은 다가올 미래를 불안해했다. 일부는 이민 가방을 싸서 미국, 캐나다, 호주 등으로 떠났고, 그 빈자리는 중국에서 온 노동자들이 채우기 시작했다. 홍콩 시민들은 신계 일대에 거대한 슬럼이 생긴 것도, 저소득 계층의 삶이 더욱 궁핍해진 것도, 교통질서가 어지러워지고 거리가 지저분해진 것도 모두 중국 이민자 탓이라고 생각했다. 그들이 새로 온 중국인을 질서를 해치는 이물질로 여기면서 중국과 홍콩 사이의 사회 갈등이 싹트기 시작했다. 또한 홍콩특별행정구의 통치 규범인 ‘홍콩기본법’을 제정하고 개정할 권한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에 부여되면서 중국이 언제든 마음만 먹으면 홍콩의 독립성을 훼손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다.
눈부신 경제 성장에 자유로운 언론과 출판 환경 등을 갖춘 홍콩에 유일하게 부족한 것은 정치적 자유였다. 홍콩 시민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자유를 확대하고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투쟁을 시작했다.

광복홍콩 시대혁명으로 향하는 홍콩인들
우리의 기억 속에 각인된 2014년 우산혁명과 2019년 반송중 시위 이전에도 홍콩 시민들은 홍콩에 대한 통제권을 늘리려는 중국의 시도에 맞서 꾸준히 저항해왔다. 이들은 2003년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시도와 2012년 학교 교과 과목에 ‘국민교육’를 추가하여 학생들을 친중국화하려던 계획을 막아냈다. 또한 친중국 정당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게 설계된 홍콩 입법회 의원 선거에서 민주계 정당을 지지하여 입법 독재가 실시되지 않도록 견제했다. 2014년에는 무려 78일간 수십만의 시민이 거리를 점거하며 ‘홍콩 행정장관 직선제’와 ‘더 많은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우산혁명이 일어났다. 비록 우산혁명의 요구는 관철되지 않았지만, 이 기간에 청년 세대가 정치적으로 각성하고 시민들의 ‘홍콩인’으로서의 정체성과 공동체 의식이 고양되었다. 이는 다음에 올 민주화운동의 자양분이 된다.

시간에 갇힌 도시와 사람들의 이야기, 『리멤버 홍콩』
2007년부터 홍콩을 취재해온 가이드북 작가 전명윤은 홍콩을 처음 만났을 때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알면 알수록 홍콩의 삶은 영화와 달랐다. 그 도시에서 삶을 살아내고 있는 이들은 자신은 중국인이 아니라 ‘홍콩인’이라는 사실에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처음에는 그 낯선 정체성이 껄끄럽기도 했다. (…) 그래도 난 홍콩이 좋았다. 중국과 인도를 휩쓰는 민족주의 열풍보다는, 세계 시민으로서 떠다니기를 꿈꾸는 홍콩 사람들의 정서가 더 마음에 들었다.” 그는 해마다 수차례씩 홍콩을 방문하여 이 도시의 변화를 취재하였고, 그 내용을 가이드북에 옮겨 한국에 소개했다. 2014년의 우산혁명을 비롯해, 매년 홍콩 반환 기념일 무렵에 정치적 분위기가 고조될 때나 천안문 학살 기념식이 열릴 때면 늘 홍콩으로 가서 홍콩 사람들의 목소리를 듣고 왔다. 일국양제의 종료가 예정된 2047년 7월 1일까지 보다 더 홍콩다운 홍콩을 만들고 지키려는 노력을 함께 하며 홍콩은 전명윤에게 또 하나의 고향이 되었다.
2019년 중국 송환법 반대 시위가 시작된 뒤 전명윤은 홍콩의 역사를 기록으로 남기기로 했다. 수개월간 이어진 송환법 반대 시위가 2047년까지 주어졌던 시간을 앗아갈 것 같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아무도 살지 않던 돌섬에 거미줄 같은 도로가 생기고 고층 빌딩과 쇼핑몰이 채워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고층 빌딩이 드리운 그늘에 감춰져 있던 홍콩 사람들의 삶을 엿볼 수 있다. 또한 홍콩과 중국이 갈등할 수밖에 없는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차이도 확인할 수 있다. 그곳을 둘러싼 역사와 삶을 이해하는 순간 그들이 2019년에 “광복홍콩 시대혁명”이라는 구호를 목이 터져라 외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알게 될 것이다. 이제 당신이 알던 도시 홍콩은 사라졌지만, 전명윤이 성실히 옮겨 담은 이 도시에 남은 사람들의 목소리를 함께 들어보자.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일명 환타幻打. 환상을 깬다는 뜻이다. 세상 어느 곳이든 먹고사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그 사실을 감추고 반짝거림만을 좇는 여행 구원론을 깨트리고 싶었다. 아시아 이곳저곳을 떠돌던 어느 날 홍콩에 빠졌다. 영국이 만들고 중국인으로 채워졌으며 세계의 문화를 덧입은 이 도시의 정체성은 그야말로 코즈모폴리턴cosmopolitan이다. 나는 이 매력적인 도시를 오랫동안 보고 싶어서 가이드북을 썼다. 지난 14년간 수없이 홍콩을 들락거리며 도시와 사람들을 살펴보았다. 화려한 네온사인 뒤로 비치는 사람들의 표정은 묘하게 외롭고 쓸쓸했다. 그 모습이 좋았다. 이 책 『리멤버 홍콩』은 내가, 그리고 우리가 사랑했던 도시와 사람들에게 바치는 마지막 헌사이다.
지은 책으로 『프렌즈 홍콩·마카오』, 『프렌즈 베이징』, 『프렌즈 인도·네팔』, 『프렌즈 오키나와』, 『상하이 100배 즐기기』 등의 여행서와 에세이 『환타지 없는 여행』, 『생각으로 인도하는 질문여행』이 있다. 『거의 모든 재난에서 살아남는 법』이라는 응급 상황 매뉴얼북을 함께 쓰기도 했다.

목차

서문. 우리가 사랑한 도시 11

1. 홍콩은 어떻게 홍콩이 되었나
밸런타인데이의 비극 21 / Cap.503 23 / 영국의 차와 인도의 아편과 청나라의 돌섬 26 / 홍콩의 탄생 31 / 홍콩 1842 33 / 당신은 누구인가? 36 / 도시의 팽창 40

2. 홍콩인들의 홍콩
웡 할아버지의 1966년 45 / 마오의 말 47 / 문화혁명과 홍콩 49 / 중화의 계승자 55

3. 중국으로 돌아가다
홍콩 반환협정 61 / 베이징의 봄 64 / 명예 회복 67 / 천안문광장 69 / 1989년 4월 베이징 72 / 우리는 훨훨 살고 싶다 76 / 1989년 6월 4일의 홍콩 82 / 노랑새 작전 85 / 타임 리밋 88

4. 민주주의를 이식하라
갑자기 시작된 개혁 93 / 1997년 7월 1일 / 홍콩 반환 98 / 웡 씨 집안의 1997년 6월 30일 101

5. 청년 세대의 등장
2차 이민 붐 107 / 2003년 국가보안법 제정 시도 111 / 중국이 준 당근 115 / 2004년 홍콩기본법 해석 / 사태 118 / 민주 진영의 약화 121 / 민족주의 교육 123 / 학민사조 라이징 131 /센트럴 점령 계획 136 / 미인대회식 행정장관 선출 139

6. 우산혁명
우산과 메이 145 / 센트럴과 몽콕 148 / 공동체를 경험하다 150 / 종말 153

7. 자꾸만 사라지는 사람들
타이완, 홍콩에 동조하다 157 / 행정장관 직선제 표결 158 / 시진핑과 여섯 여인 162 / 2016년 1월 중국 CCTV 169 /돌아온 사람들 171 / 돌아오지 못한 사람 173

8. 피시볼 레볼루션
혁명 전야 179 / 민주파의 대약진: 2016년 / 홍콩 6대 입법회 선거 183 / 의원직 박탈 186

9. 1980년 광주를 기억하는 사람들
BNO 여권과 홍콩특별행정구 여권 195 / 중국인 K 202 / 2011년 청두 204 / 저녁, 빅토리아공원 208 / 검은 옷의 변호사들 210 / 103만 212 / 홍콩인, 최루탄 속에서 다시 태어나다 216 / 100만 받고, 100만 더! 그래서 200만! 219 / 홍콩 반환 22주년 전야 221

10. 하나로 모인 목소리들
친중 선박 시위 227 / 홍콩인 투쟁 선언 231 / 진압 235 / 아들의 가출 236 / 홍콩 시민은 시위대를 지지한다 240 / 물이 되어라 243 / 백색 테러 248 / 테러의 배후 250 / 가자, 공항으로 252 / 중국의 반응 254

11. 깨져버린 약속
격화되는 폭력 259 / 압박 261 / 범람하는 가짜뉴스와 총성 263 / 식민지 266 / 11월의
길목 269 / 공성전 271 / 마지막 취재 275 / 홍콩이공대학교 278 / 메이 282 / 다시 공성전 286 / 중국은 승리를 확신했다 287

12. 일국양제 시대의 종말
코로나19의 습격 293 / 불길한 징후 295 / 국가보안법 297 / 그날 이후 299

마치며. 안녕, 나의 도시여 302
감사의 말 308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