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취유부벽정기 상세페이지

취유부벽정기

OLIN 스마트 고전소설 009

  • 관심 0
셀렉트
리디셀렉트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책입니다!
소장
전자책 정가
3,000원
판매가
3,000원
출간 정보
  • 2014.11.20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4.9만 자
  • 2.6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88994658513
ECN
-
취유부벽정기

작품 정보

금오신화의 출전과 작품 전래 과정

학계나 문단을 통해 발견된 소설작품을 놓고 볼 때, 2014년 현재 우리 선조들이 남긴 최초의 소설집으로 자리매김 되고 있던 <금오신화(金鰲新話)>는 <최치원전>의 발견으로 최초냐, 두 번째냐로 논란 중인 이 소설집은 조선 초기 문인 매월당 김시습 선생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집이다.

이 소설집에는 1)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만복사 저포놀이) 2)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이생이 담 넘어 아가씨를 엿보다) 3)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홍생이 부벽정에서 취하여 놀다) 4)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남쪽 염부주 이야기) 5)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용궁 잔치에 초대받다) 등 5편의 한문 단편소설이 실려 있다.

매월당 김시습(金時習, 1435~1493) 선생의 소설 작품들은 창작 당대부터 희귀본이어서 옛 문헌에 이따금 단편적인 기록만 남아 있을 뿐 한말 이래 국역본이든 한문본이든 작품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다 일본에서 전해오던 목판본 <금오신화>를 최남선(崔南善) 선생이 발견해 잡지 <계명(啓明)> 19호를 통해 1927년 국내에 소개했다. 이 목판본은 1884년(고종 21) 동경에서 간행된 것이며, 상·하 2책으로 구성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중 상권은 32장으로 구성되었는데 <서(序)> · 〈매월당소전(梅月堂小傳)〉 · 〈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 · 〈취유부벽정기〉 등이 실려 있고, 하권은 24장으로 구성되었는데 〈남염부주지〉 · 〈용궁부연록〉 · <발문> · <평(評)> 등이 실려 있다. 이 글 중 〈매월당소전〉과 <발문> 2편 가운데 1편은 1882년 일본 도쿄로 유학을 갔다가 기독교로 개종한 개화파 지식인 이수정(李樹廷) 선생이 쓴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하권 끝에는 이 작품집을 <갑집(甲集)>이라고 구분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본래의 작품 수는 5편 이상이었을 것으로 학계는 추정하고 있다.

이 목판본 <금오신화>는 1653년(효종 4) 일본에서 초간(初刊)되었던 것을 재간(再刊)한 것이며, 초간의 대본은 오쓰카(大塚彦太郎) 가문에 오랫동안 전해 오던 자료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동경판 ≪금오신화≫가 소장되어 있으며, 편역자가 이번에 편역한 작품들은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1950년대에 발간된 한문본과 국내 대학의 연구자들이 텍스트로 활용한 작품들을 두루 대조해 보며 저본으로 삼았음을 밝혀둔다.

작품 소개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는 금오신화에 수록된 소설 중 <만복사저포기>가 불교적이라면 <이생규장전>은 유교적이며, 이 작품은 도교적으로, 작가 자신의 도가적(道家的)인 취향과 관련된 주체적인 사관(史觀)을 내면적인 신념으로 승화시킨 작품이다. 이 소설은 죽은 여자의 혼령이 산사람처럼 나타나 주인공과 함께 어울렸다는 점에서는 명혼소설(冥婚小說)이라고 할 수 있으나 상대방이 선녀이기에 육체적인 애정 관계는 배제되어 있으며 선녀와의 만남이 꿈속의 일로 설정되어 있어 몽유소설(夢遊小說)과도 상통한다.

소설 제목으로 일컬어지는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라는 한자어 제목을 한글로 번역하면 <취하여 부벽정에서 노닐은 기억>이라고 풀이되는데, 이 작품에서 작가는 작품의 서사구조에 긴장감을 조성시키는 요소보다는 섬세하고 감성적인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운문(한시)을 20여 편 이상 투입시키며 작품 전체를 몽환적인 분위기로 끌고 가며 작중 현실을 기점으로 수천 년 전의 동서고금 역사 문제까지 거침없이 끌고나와 독자들을 지적 긴장감 속으로 몰아넣는다.

줄거리는 송도 부호의 아들 홍생이 유람을 겸한 장사를 하기 위해 평양으로 가서 친구들과 같이 대동강에서 뱃놀이를 하다가, 취흥을 이기지 못해 홀로 작은 배를 타고 부벽정 아래에 이르러, 정자 위로 올라가서 난간을 의지하고 고국의 흥망을 탄식하며 시를 지어 읊다가 삼경(三更)이 되어 돌아가려고 하는데 갑자기 발자국소리가 들려온다.

홍생은 이때 영명사의 스님이 찾아오는가 하고 생각했으나, 뜻밖에도 한 미인이 좌우에 시녀를 거느리고 비단 부채를 들고 나타나는데, 그 위의(威儀)가 엄숙하고 정숙해 마치 귀족 집안의 처녀 같은 느낌을 받다가, 마침내는 시녀의 안내를 받아 누상(樓上)으로 올라가서 그 미인과 인사를 나누는 사이로 진전된다.

알고 보니 그 미인의 신분은 은왕의 후예요, 기자왕의 딸로서, 부왕이 위만에게 왕위를 빼앗긴 후로 정절을 지켜 죽기를 기다리는데, 신선이 된 선조가 나타나 불사약을 주어 그 약을 먹고 수정궁의 상아가 되었다는 것이다.

홍생은 부벽루에서 그 선녀와 하룻밤을 지내며 서로 시를 주고받으며 정신적인 정회를 나누다 날이 새자 그 선녀는 승천하고, 홍생은 집으로 돌아와 그 선녀를 생각하며 사모하던 끝에 병에 걸려 자리에 눕는다.

그러던 어느 날 선녀의 시녀가 나타나 “우리 아가씨가 상제께 아뢰어 그대를 견우성 막하의 종사로 삼았으니 올라오라.”고 일러주는 꿈을 꾸고 난 뒤, 목욕하고 옷을 갈아입은 후, 분향하고 누웠다가 세상을 떠난다. 그런데 홍생의 시신은 빈장(嬪葬)한 지 몇 달이 지나도 안색(顔色)이 변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이 작품도 기본 바탕은 선녀에 대한 절의(絶義)를 지키는 삶이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는 좀 더 거세게 세조를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소설 <취유부벽정기>에서 여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선녀는 고대 기자가 다스리던 고조선의 공주였다. 그런데 위만이 나타나서 고조선의 왕위를 찬탈한 것이다.

여기까지 읽다보면 독자들은 자신도 모르게 떠오르는 생각 때문에 웃음이 나올 것이다. 바로 단종의 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의 이야기를 위만을 빗대어 풍자한, <취유부벽정기>란 소설은 바로 작가의 우의(寓意)가 드러나는 작품인 것이다.

작가

김시습
국적
대한민국
출생
1435년
사망
1493년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김시습·서경덕 : 조선사상의 새 지평 (김시습, 서경덕)
  • 금오신화 (김시습)
  •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 금오신화 3권 ('김시습' 최초 한문소설 효시 - 원문 읽기) (김시습)
  •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 : 금오신화 2권 ('김시습' 최초 한문소설 효시 - 원문 읽기) (김시습)
  •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 금오신화 5권 ('김시습' 최초 한문소설 효시 - 원문 읽기) (김시습)
  •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 : 금오신화 1권 ('김시습' 최초 한문소설 효시 - 원문 읽기) (김시습)
  •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 금오신화 4권 ('김시습' 최초 한문소설 효시 - 원문 읽기) (김시습)
  • 금오신화(金鰲新話) 전집 (1~5권) : '최초 한문소설' - <김시습> 한문 원문 읽기! (김시습)
  • 이생규장전 (김시습, 웃는달)
  • 김시습 시선 (김시습, 이승수)
  • 새롭게 읽는 좋은 우리 고전 13권. 금오신화 (김시습, 정병식)
  •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 남염부주지 (김시습)
  • 이생규장전 (김시습)
  •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 취유부벽정기 (김시습)
  • 용궁부연록 (김시습)
  • 용궁부연록 (김시습)
  • 남염부주지 (김시습)
  • 취유부벽정기 (김시습)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OLIN 스마트 고전소설더보기

  • 강도몽유록 (서동익)
  • 달천몽유록 (윤계선, 서동익)
  • 안빙몽유록 (신광한, 서동익)
  • 원생몽유록 (임제, 서동익)
  • 수성궁몽유록 (서동익)
  • 만복사저포기 (김시습)
  • 이생규장전 (김시습)
  • 남염부주지 (김시습)
  • 용궁부연록 (김시습)

다른 출판사의 같은 작품더보기

  • 취유부벽정기 (김시습)

한국소설 베스트더보기

  • 2025 제1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백온유, 강보라)
  • 소년이 온다 (한강)
  • 파과 (구병모)
  • 홍학의 자리 (정해연)
  • 개정판 | 채식주의자 (한강)
  • 살인 택배 (정해연)
  • 혼모노 (성해나)
  • 퇴마록 : 국내편 세트 (전2권) (이우혁)
  • 작별하지 않는다 (한강)
  • 탄금 - 금을 삼키다 (장다혜)
  • 개정판 | 흰 (한강)
  • 급류 (정대건)
  • 개정판 | 퇴마록 국내편 1 (이우혁)
  • 시화공단 지구방위대 (이서영)
  • 텔 미 모어 마마 (김준녕)
  • 너의 유토피아 (정보라)
  • 구의 증명 (최진영)
  • 하품 대소동 (이나경)
  • 파쇄 (구병모)
  • 칵테일, 러브, 좀비 (조예은)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