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한국 근대문학단편소설 모음집 (14인 229편) 상세페이지

한국 근대문학단편소설 모음집 (14인 229편)

  • 관심 0
셀렉트
리디셀렉트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책입니다!
소장
전자책 정가
15,800원
판매가
15,800원
출간 정보
  • 2017.10.13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321.6만 자
  • 7.7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
ECN
I410-ECN-0111-2016-800-000662819
한국 근대문학단편소설 모음집 (14인 229편)

작품 정보

한국 근대문학단편소설 모음집 (14인 229편) 김동인 작품 48선 현진건 작품 28선 나도향 작품 20선 계용묵 작품 8선 김유정 작품 19선 이효석 작품 5선 채만식 작품 18선 염상섭 작품 1선 이광수 작품 13선 안국선 작품 2선 최서해 작품 22선 이인직 작품 3선 이 상 작품 17선 이익상 작품 25선 * 현진건 출생 - 사망 1900. 8. 9. ~ 1943. 4. 25. 호는 빙허(憑虛). 1900년 8월 9일(음력) 대구 출생. 서당에서 한문을 수학하다가, 1912년 일본의 세이조중학(成城中學)에 입학하여 1917년에 졸업하였다. 이에 앞서 1915년에 이상화‧백기만‧이상백 등과 함께 동인지 『거화(巨火)』를 발간했다. * 이효석 소설가. 강원도 평창(平昌) 출생. 호는 가산(可山)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거쳐 1930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25년『매일신보』 신춘문예에 시 「봄」이 선외 가작(選外佳作)으로 뽑힌 일이 있으나 정식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한 것은 「도시와 유령」(1928)부터이다. * 김유정 1908년 01월 11일 강원도 춘성 출생 1929년 휘문고보 졸업, 연희전문 문과 중퇴 1935년 <소낙비>가 조선일보 신춘문예 당선, <노다지>가 조선중앙일보에 당선 1935년 구인회 회원으로 활동 1937년 03월 29일 사망 * 김동인 호는 금동(琴童), 필명은 춘사(春士) 혹은 김시어딤. 1900년 10월 2일 평남 평양 출생. 일본 메이지학원(明治學院) 중학부와 가와바다미술학교(川端畵學校)에서 수학하였다. * 계용묵 1904년 9월 8일 평북 선천군 남면 출생 1919년 상봉공립보통학교 졸업 1920년 소년지 [새소리]에 시 <글방이 깨어져> 당선 * 채만식 1902년 6월17일 전북 옥구군 임피면 읍내리 출생, 경성 중앙고보 졸업 1923년 일본 와세다대학 영문과 졸업, 동경 대지진으로 귀국 이후 동아일보, 조선일보, 개벽사 기자 역임 * 이상 본명은 김해경(金海卿). 1910년 서울 태생. 서울 누상동에 있는 신명학교를 졸업하고 동광학교(중학과정)에 입학했으나 1922년 동광학교가 해체되면서 보성고보에 편입했다. 1929년 12월 조선건축회지 『조선과 건축』 표지 도안 현상 모집에 1등과 3등으로 당선되었다. * 이광수 호 춘원(春園). 평안북도 정주(定州) 출생. 소작농 가정에 태어나 11세인 1902년 콜레라로 부모를 여의고 고아가 된 후 동학(東學)에 들어가 서기(書記)가 되었으나 관헌의 탄압이 심해지자 1904년 상경하였다. 이듬해 친일단체 일진회(一進會)의 추천으로 유학생에 선발되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대성중학을 다니며 만난 홍명희, 문일평과 함께 소년회(少年會)를 조직하고 회람지 《소년》을 발행하는 한편 시와 평론 등을 발표하기 시작했다. * 염상섭 본명은 상섭(尙燮), 호는 횡보(橫步). 1897년 8월 30일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보성소학교를 거쳐 일본 게이오대학(慶應大學) 문학부에서 수학하였다. 1920년 2월 『동앙일보』 창간과 함께 진학문(秦學文)의 추천으로 정경부 기자로 활동하였다. 1920년 7월 김억(金億)‧김찬영(金瓚永)‧민태원(閔泰瑗)‧남궁벽(南宮璧)‧오상순(吳相淳)‧황석우(黃錫禹) 등과 함께 동인지 『폐허』를 창간하고, 김환(金煥)의 「자연의 자각」에 대한 평가를 둘러싸고 김동인(金東仁)과 논쟁을 벌였다. 1921년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발표하며 소설가로 등단한 이후 「암야」, 「제야」 등을 발표했다. * 나도향 1902년 03월30일 서울 청파동 출생 1919년 배제고보 졸업, 경성의전에 입학후 도일, 귀국후 경북 안동에서 1년간 보통학교 교원 근무 1921년 <배재학보> 2호에 <출학>발표 * 최서해 본명은 학송(鶴松), 아호는 서해(曙海)·설봉(雪峰) 또는 풍년(豊年). 함경북도 성진 출생. 소작농의 외아들로 출생한 그는 1910년 아버지가 간도 지방으로 떠나자 어머니의 손에서 유년시절과 소년시절을 보내었다. 유년시절 한문을 배우고 성진보통학교에 3년 정도 재학한 것 외에 이렇다 할 학교교육은 받지 못하였다. 소년시절을 빈궁 속에 지내면서 ≪청춘 靑春≫·≪학지광 學之光≫ 등을 사다가 읽으면서 문학에 눈을 떴고, 그때부터 이광수(李光洙)의 글을 읽으면서 사숙(私淑)하기 시작하였다. * 이인직(李人稙) 이인직은 최초의 신소설 작가로서 고소설과 근대소설로 이어지는, 소설의 전통적 연결을 시도하고 학립한 주요작가이다. 물론, 계몽주의 사상을 기저에 깔고 있으면서 제국주의적 국가관을 암암리에 담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는 많지만, 문장에서 입말체와 묘사체 시도의 효시를 보이며, 객관묘사와 심리묘사의 뛰어난 기량 등 신소설 최고의 작가로 평가된다. * 이익상 - 1922년 니혼대학 사회과 졸업 - 조선일보기자, 동아일보 학예부장 - 매일신보 편집국장역임 - 1923년 <파스큐라>에 가담 - 1925년 카프 조직에 가담

작가

김동인
국적
대한민국
출생
1900년 10월 2일
사망
1951년 1월 5일
학력
가와바타 미술학교
일본 메이지학원 중학부
경력
조선문인보국회 간사
조선일보 학예부장
1919년 동인지 '창조' 창간
데뷔
1919년 소설 `약한 자의 슬픔`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중고등학생이 꼭 읽어야 할 한국단편소설 34選 (현진건, 강경애)
  • 한국단편문학선 1 (김동인, 김유정)
  • 감자 (김동인)
  • 발가락이 닮았다 (김동인)
  • 광염 소나타 (김동인)
  • 운현궁의 봄 (김동인)
  • 한국단편소설선 (김동인, 현진건)
  • 약한자의 슬픔 (서지윤, 김동인)
  • 수평선 너머로 (서지윤, 김동인)
  • 어머니 (서지윤, 김동인)
  • 송동이 (꼭 읽어야 할 한국 대표 소설 194) (김동인)
  • 새벽빛 아래 (현진건, 이해조)
  • 꽃으로 피어나 바람에 지다 (김동인)
  • 꿈과 인생 (나도향, 김동인)
  • 장편으로 마무리하기 (김동인)
  • 김연실전 외 (김동인)
  • A Korean short story 01 (현진건, 강경애)
  • 수양대군(김동인 장편소설) (김동인)
  • 중고생 논술실력 키워주는 한국 근대문학 모음집 (김동인, 김유정)
  • 중고생 국어실력 키워주는 현대문학소설 (김동인, 김유정)

리뷰

4.0

구매자 별점
1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 교정이 안 된 건가요. 원문을 따른 건가요? 띄어쓰기가 좀 이상하네요. 감안하고 구매하세요.

    ksh***
    2024.12.17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한국소설 베스트더보기

  • 혼모노 (성해나)
  • 안녕이라 그랬어 (김애란)
  • 소년이 온다 (한강)
  • 개정판 | 채식주의자 (한강)
  • 홍학의 자리 (정해연)
  • 파과 (구병모)
  • 메스를 든 사냥꾼 (최이도)
  • 토막 난 우주를 안고서 (김초엽, 김혜윤)
  • 퇴마록 세계편 1 (이우혁)
  • 개정판 | 작은 땅의 야수들 (김주혜, 박소현)
  • 대온실 수리 보고서 (김금희)
  • 2025 제16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백온유, 강보라)
  • 일억 번째 여름 (청예)
  • 급류 (정대건)
  • 저주토끼 (정보라)
  • 작별하지 않는다 (한강)
  • 종의 기원 (정유정)
  • 두고 온 여름 (성해나)
  • 퇴마록 외전 1 (이우혁)
  • 천 개의 파랑 (천선란)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