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동양인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주변에 이웃처럼 독특한 영적 존재의 정수를 보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이 책 속의 이야기는 진정한 극동의 3대 종교인 도교, 불교, 유교의 사상을 느낄 수 있도록 영문 번역을 통해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밀알이 될 것입니다. 1년 전 <임방(任防)> 작가가 쓴 조선 민담 및 야담을 담은 오래된 필사본이 번역가의 손에 넣었고, 조선 후기 야담집 17세기 초 임방의 천예록(天倪錄), 초현실적인 상황에 기반한 기이한 이야기를 다량 수록하고 있다. 이제 이 책으로 인하여 동양(아시아)의 신비한 이야기 소위 말하는 미스터리에 대한 소재를 소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상과 풍습, 관례, 관습 등등을 역할을 수행할 계기가 되고 서양 세계에 널리 알릴 기회가 되었으면 하는 바입니다. 그들 중 몇몇은 정말 끔찍하고 사랑스럽지 않지만, 임방 작가 본인과 많은 과거 세대의 한국인들이 살아온 환경을 충실히 그리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하며 가치가 있는 글임을 명심해야 합니다. 이육의 단편 이야기 13편은 일본의 한 출판사가 지난해(1911년) 출간한 한국 고서적의 재판본에서 발췌한 것이며 중국 명나라에 사신으로 2차례 다녀온 뒤 보고 들은 내용을 토대로 쓴 일종의 견문 기록인 청파극담(靑坡劇談)이 유명한데, 3편의 익명의 이야기인 ‘풍수사, 임경업, 두 다리를 잃은 사람’을 추가로 수록하였습니다. 이 책에 수록된 작가의 전기와 약력은 대부분 <국조인물지, 國朝人物志)>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1913년 『Korean Folk Tales』 제임스 게일(James S. Gale)
<영문 한글 편역 A> ‘임방’의 필사본 《천예록(天倪錄)》을 ‘게임스 게일’ 영문으로 《Korean Folk Tales》 편역 하였다. 이것을 (가칭) ‘영문 한글 편역자’는 영문으로 소개된 조선 야담을 한글로 번역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조선 야담집》으로 한글 번역하면서 <천예록>의 지명과 인물 이름 등을 참고했고, <Korean Folk Tales>의 이야기 구조를 가져와 편역하였다.
둘째, <천예록>과 <Korean Folk Tales>을 참고하면서 한국 정서에 맞은 낱말과 어휘를 사용하였고, 한문을 병행했을 뿐만 아니라 한글로 번역시 직역, 의역, 삭제 등으로 번역하여 원문, 원전과 다를 수 있고, ‘영문 한글 편역자’에 의하여 각색되었다.
작가 소개
<임방(任防)> 작가 조선 후기 장령, 승지,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으로 『가행육선』·『당절회최』등의 저서를 남겼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1640년 도지사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렸을 때부터 매우 총명했고 공부를 좋아하여 위대한 학자가 되었다. 1660년 학교에 1등으로 입학 3년 만에 일찍 졸업했다. 1663년에 진사시에 합격했고, 성균관에 유학했다. 한국 최고의 작가 중 한 명인 송시열의 제자였다. 1719년 80살에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올랐고, 내각 비서관도 겸하였다. 1721년 후계자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고, 1722년 건저(建儲)에 얽힌 사건으로 노론 대신들이 모두 귀양을 가면서 북방 지역으로 유배당하여 그곳에서 85세를 일기로 죽었다.
<제임스 게일> 편역자 캐나다 장로교 선교사, 신학박사, 한국어 학자. 제임스 스카스 게일((James Scarth Gale)은 한국 이름이 '기일(奇一)이다. 캐나다 출생으로 1863년 2월 19일 ~ 1937년 1월 31일) 1928년 은퇴한 후 영국으로 건너가 74세로 사망했다. -1889년 황해도, 경상 전도, 대한성서공회 성서 한글 번역 -1890년 예수교 학당 영어 교사 -1897년, 한국 최초의 <한영 사전> <신·구약 성서>와 <천로 역정> 한국어로 발간 -1900년 종로 5가 <연동교회> 1대 담임목사 <춘향전> <구운몽> 등을 영역하여 한국의 언어·풍습 등을 세계에 널리 알리기도 하였다. #대표 영문 번역 《천로역정》 《구운몽》 《춘향전》 《Korean Folk Tales》
<영문 한글 편역 A> ‘임방’의 필사본 《천예록(天倪錄)》을 ‘게임스 게일’ 영문으로 《Korean Folk Tales》 편역 하였다. 이것을 (가칭) ‘영문 한글 편역자’는 영문으로 소개된 조선 야담을 한글로 번역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조선 야담집》으로 한글 번역하면서 <천예록>의 지명과 인물 이름 등을 참고했고, <Korean Folk Tales>의 이야기 구조를 가져와 편역하였다.
둘째, <천예록>과 <Korean Folk Tales>을 참고하면서 한국 정서에 맞은 낱말과 어휘를 사용하였고, 한문을 병행했을 뿐만 아니라 한글로 번역시 직역, 의역, 삭제 등으로 번역하여 원문, 원전과 다를 수 있고, ‘영문 한글 편역자’에 의하여 각색되었다.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