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제
동북아역사재단 책임연구위원이다. 『譯註 中國正史 東夷傳 2 晉書 ~ 新五代史 高句麗ㆍ渤海』 (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0), 「榮留王의 王權 강화와 淵蓋蘇文 政變-高乙德 일가의 官歷을 통해 본 영류왕대 政局-」(『韓國古代史硏究』 104, 2021), 「唐 高宗의 泰山 封禪과 高句麗의 對應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 (『高句麗渤海硏究』64, 2019), 「褥薩의 大城ㆍ王都 5部 駐在와 그 職任」 (『韓國古代史硏究 』 92, 2018)
이동훈
(주)동북아역사문화연구소 연구소장
『서울의 집성촌』(공저, 서울역사박물관, 2022), 『구미학계의 중국사 인식과 한국사 서술 연구』(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1), 『고구려 중·후기 지배체제연구』(서경문화사, 2019), 「唐宋史料筆記에 보이는 고구려 관련 기록 연구」(『백산학보』 129, 2024), 「高句麗 貴族姓 淵氏와 蓋氏 硏究」(『고조선단군학』 49, 2022)
정원주
한국교통대학교 교양학부 강사
「고구려 멸망에서 발해 건국으로의 계기와 연속성」(『한국사상사학』 76, 2024), 「666년~668년 전쟁에서 淵男生의 鄕導 역할에 대한 考察」(『역사와 담론』 107, 2023), 「唐의 고구려 지배정책과 安勝의 行步」(『한국고대사탐구』 29, 2018), 「7세기 고구려의 서계(西界) 변화: 고구려의 요서(遼西) 진출과 당의 대응」(『영토와 해양』 8, 2014), 「男生의 失脚 배경과 그의 行步」(『한국고대사연구』 75, 2014)
김강훈
사동중학교 교사
『삼국시대 한강유역의 관방체계와 전쟁』(공저,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23), 『고대 군사사, 어떻게 볼 것인가』(공저, 역사산책, 2023), 『고구려부흥운동 연구』(학연문화사, 2022), 「고구려 영류왕 후기 대외정책의 변화와 연개소문의 정변」(『역사학보』 249, 2021), 「618~629년 영류왕의 대외정책과 고구려-당·신라 관계의 변화」(『고구려발해연구』 66, 2020)
이준성
경북대학교 사학과 조교수
『안시성 기록과 기억』(공저, 역사공간, 2023), 『『한원』번이부의 세계』(공저, 학연문화사, 2022), 『경계를 넘어서는 고구려-발해사 연구』(공저, 혜안, 2020),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고구려사 연구 동향」(『고구려발해연구』 79, 2024), 「동원과 연화, 통제와 교섭: 1~2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전쟁」(『한국 고대사연구』 112, 2023)
박경철
전 강남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한국 고대사의 재인식』(서경문화사, 2018), 『고구려의 정치와 사회』(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7), 「집안 고구려고분군에 대한 통계적 접근 시론」(『한국사학보』 59, 2015),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연구쟁점과 대외교류』(공저, 학연문화사, 2015), 「압록강 상류 임강~장백지역 적석총축조집단의 존재양태」(『歷史文化硏究』 38, 2011), 「부여의 국세변동상 인식에 관한 시론」(『高句麗渤海硏究』 39, 2011), 「여당전쟁의 재인식」(『동북아역사논총』 15, 2007), 「고구려 변방의 확대와 구조적 중층성」(『韓國史學報』 19, 2005)
장병진
경상국립대학교 역사교육과 조교수
『한사군 연구』(공저, 서경문화사, 2022), 「서북한 지역 전축분 연대의 하한 재검토-기년명전을 중심으로」(『박물관과 연구』 1, 2024), 「부여풍은 백제 의자왕의 태자인가?」(『백제학보』 48, 2024), 「5세기고구려의 영남 북부 지역 지배에 관한 새로운 접근-영남 북부 ‘本 高句麗 郡縣’ 기록의 이해-」(『고구려발해연구』 72, 2022), 「고구려 전기의 지배세력 재편과 관등제」(『한국고대사연구』 99, 2020)
김수진
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강사
『한국고대사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문헌, 문자, 물질』(공저, 진인진, 2021), 「고구려 유민 묘지명의 撰者 선정과 ‘王言’의 기록」(『한국문화』 102, 2023), 「고구려 유민의 折衝府 복무 특징과 변화 양상」(『韓國史學史學報』 47, 2023), 「8세기 전반 泉氏 가문의 정치·사회적 復元과 婚姻」(『奎章閣』 61, 2022), 「泉毖의 장인, 太原公 王暐의 출자에 대한 새로운 이해」(『高句麗渤海硏究』 74, 2022)
금경숙
동북아역사재단 명예연구위원
『위성사진으로 보는 고구려 도성』(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7), 『고구려의 정치와 사회』(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7), 『다시 보는 고구려사』(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7), 『고구려 문명 기행』(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7), 『만주-그 땅, 사람 그리고 역사』(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07), 『고구려 전기 정치사 연구』(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4), 「고구려 건국 신화의 형성과 변용」(『국학연구』 28,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