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문일평 수필선집 상세페이지

문일평 수필선집작품 소개

<문일평 수필선집> ‘한국수필선집’은 지식을만드는지식과 한국문학평론가협회가 공동 기획했습니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는 한국 근현대 수필을 대표하는 주요 수필가 50명을 엄선하고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를 엮은이와 해설자로 추천했습니다. 작고 작가의 선집은 초판본의 표기를 살렸습니다.

문일평(1888∼1936)은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시기의 언론인이자 역사가, 교육자였다. 500년 조선 왕조가 역사의 수레바퀴 속으로 무너져 가고 일제에 의한 한민족 약탈과 침탈의 과정을 목도하면서 그는 한국의 외교와 정치사, 과거 서적들과 문화 등에 대한 광범위한 관심을 가지게 된다. 만주와 국내에서의 독립운동에 참여하면서 자연스럽게 민족의식과 민족정신에 대한 관심하에 많은 글을 썼다. 그는 민족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우리의 역사에 녹아 있는 민족정신의 탐구에 평생을 바친다. 그게 그의 독립운동 방식이었다.
그는 민족정신의 정수가 드러난 역사적 사실, 인물, 대상은 그 어떤 것이라도 상관하지 않고 일관되게 평가하고 그 의미를 추출하려 애썼다. 때문에 역사적 사실에 대한 그의 접근은 역사적 사실 자체의 문헌학적, 고증의 태도가 아니라 역사에서 우리 민족의 정신적 특징과 정수를 찾아내고 이것이 지금의 상황에서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는지 등에 보다 중심을 둔 접근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역사학을 위한 역사학이 아니라 일제 강점기의 시대 현실 극복의 방안으로서의 역사학이었던 셈이다. 역사를 고루한 골방에서의 작업으로 한정 짓기를 거부했으며 이를 위해 그는 다양한 주제를 쉽고 평이한 문체로 짧은 문장으로 구성해서 대중적으로 소개하는 데에 주력했다.
그의 작품 세계는 역사적 편린들에서 식민지 조선의 운명을 바꾸어 낼 교훈과 깨달음을 찾기 위해 우리가 간과하기 쉬운 역사적 지층의 가장 아래에 있는 두터운 먼지를 털어 내는 작업과도 유사하다. 세세한 풍속과 인물사는 그의 손을 거쳐 기록으로 남겨지고 쌓여 그 합당한 가치를 드러낼 시간을 기약했다.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호암(湖岩) 문일평은 1888년에 평안북도 의주, 아버지 문태두와 어머니 해주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1899년 열두 살 때에 결혼하고 17세까지는 의주에서 주로 한학을 공부한다. 그리고 18세가 되던 해에 일본 도쿄로 가서 아오야마학원 중학부에 1학년 청강생으로 들어갔지만 곧 그만두고 간이 강습소에 다니면서 공부를 한다. 그 후 1906년 10월에 <자유론>이란 글을 ≪태극학보≫ 3월호에 처음 발표한다. 이어서 1907년 7월에는 같은 ≪태극학보≫ 11호에 <진보의 삼단계>를, ≪태극학보≫12호에는 <한국의 장래 문명을 논함> 등을 차례대로 발표한다. 그는 1908년 귀국해서 평양의 대성학교, 서울의 경신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았으나 1910년 한일 합병이 되자 1911년에는 다시 일본으로 건너간다. 그곳에서 와세다대학교 정치학과에 입학해 공부한다.
1912년이 되자 그는 중국 상하이로 가서 신규식 등이 국권 회복을 위해 조직한 단체인 동제사(同濟社)에서 독립운동에 가담한다. 1914년에는 다시 귀국해 농사를 지으면서 집안을 돌보거나 독서 등을 하며 지낸다. 그러다가 그는 1919년 3월 12일에 독립 선언서를 만들어 보신각에서 낭독하는 일을 벌이고 이로 인해 징역 8개월을 선고받고 복역한다. 1920년 서른세 살이 되던 해, 복역을 마치고 출옥한 뒤에 동아일보에 한시 <삼각산>을 발표하고, 9월에는 <이충무전>을 번역해 잡지 ≪서울≫에 게재한다. 1920년대 문일평은 신간회나 조선 물산 장려회에서 활동을 하면서 다양한 정치적 관심을 보여 준다.
그러다가 1920년대 후반부터는 조선일보에서 근무하면서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대중화해 소개하는 글을 집중적으로 쓰기 시작한다. 1929년 조선일보에 <조선인과 국제안>을 17회에 걸쳐 연재하며 6월에는 역사 사설 <천고비극의 주인공 백제 의자왕의 최후>를 ≪삼천리≫에 발표하고 논설 <여성의 사회적 지위>, <조선사에 나타난 국제적 결혼과 정략>, <조선 문화에 대한 일고찰>, <예술과 로맨스> 등을 차례대로 발표한다. 그는 1931년에 조선일보사를 사임하고 중앙고보에 역사 교사로 부임하지만 오래 하지는 않고 1933년 4월에 다시 조선일보사에 편집 고문으로 재입사하게 되고 이후 타계할 때까지 그의 주요한 글들을 대거 집필한다.
1933년에 조선일보에 <사안으로 본 조선>을 9회에 걸쳐 연재하며 <세계문화의 선구>, <사외이문> 등을 발표하고 1934년에는 외교 사설 <한미 관계 50년사>를, 1935년에는 마찬가지로 조선일보에 <사상에 나타난 예술가의 군상>, 수필 <나의 반생>, <고증학상으로 본 정약산>을 쓴다. 이어서 1938년에는 <조선 문화사의 별항>, <문화적 발굴> 등을 집필한다. 열정적으로 집필 활동을 진행하던 중 문일평은 1939년 4월 3일, 갑자기 급성 단독으로 사망하고 만다.
그가 사망한 후에 1939년 ≪호암사화집≫이 이원조의 도움으로 전집에 앞서 인문사에서 출간되고 이어서 조선일보 출판부에서 ≪호암전집≫ 전 3권이 나온다. 그리고 1940년에는 조광사에서 ≪호암전집≫이 재간행되고 ≪소년 역사 독본≫이 이어서 간행된다. 그리고 해방 이후 1948년이 되어서는 일성당서점에서 증보 발행된다.

목차

丁卯胡亂
史眼으로 본 朝鮮
李朝 文化史의 別貢
丙子를 通해 본 朝鮮
文化的 發掘
담배 考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한국수필문학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