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꽃제비 영대 상세페이지

꽃제비 영대작품 소개

<꽃제비 영대> 살아남기 위해 꽃제비가 된 소년 영대
유일한 가족, 누나를 만나기 위해 두만강을 건너다
1990년대 북한의 “고난의 행군” 시절을 소설로 재현
평범한 소년이 꽃제비, 죄수, 탈북자가 되기까지 과정을 생생히 그려내다
지금,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북한 어린이들의 인권 실태

내용요약

1990년대 중반 북한의 식량난이 극심하던 시절, 부유하지는 않지만 오순도순 살아가던 영대네 가족도 위기를 겪는다. 원자재가 부족해 공장이 돌아가지 않자, 아버지는 일자리를 잃고, 엄마와 누나는 장마당에서 살림살이를 내다 팔아 근근이 식량을 마련한다. 영대와 여동생 영옥이는 학교에 의무적으로 내야 하는 ‘꼬마과제’를 채우지 못해 쩔쩔맨다. 결국 누나는 ‘이밥’도 먹게 해주고 돈도 벌게 해준다는 사람을 따라 중국으로 건너가고, 아버지는 아픈 영옥이를 위해 절벽에 있는 버섯을 따다가 부상을 당해 목숨을 잃는다. 영대는 누나가 떠나기 전 사준 공책에 편지를 쓰며 힘든 나날을 버텨낸다. 그러던 중 설상가상으로 어머니마저 식량창고에서 식량을 빼돌린 죄로 감옥에 끌려가고, 순식간에 부모를 잃고 혼자가 된 영대와 영옥이는 살아남기 위해 장마당에서 구걸하는 꽃제비가 된다. 고향 친구 남식이의 도움으로 꽃제비 생활에 적응하며 살아가던 중, 배고픔과 추위를 이기지 못해 동생 영옥이마저 숨을 거두자, 영대는 살아남은 유일한 가족인 누나를 찾아 무작정 두만강을 건넌다. 조선족 할아버지의 도움으로 누나의 행방에 대한 실마리를 찾게 된 영대는 왕청으로 향하지만, 그곳에 누나는 없었다. 오히려 집주인에게 발각된 영대는 공안에게 붙들리게 되고, 3년 반 동안 수용소에 갇혀 온갖 모진 고문을 받는다. 영대는 석방 후 고향집에 찾아가 중국 심양에 있다는 누나의 소식을 듣게 된다. 영대는 이제 목숨을 걸고 누나를 만나기 위해 다시 한 번 두만강을 건넌다.


출판사 서평

[지금, 이 소년에 주목하라]

북한 인권 문제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2013년 5월, 탈북 청소년 9명이 라오스에서 강제 추방된 사건이 있었다. 생사의 갈림길에 선 아이들은 국제사회의 구호 요청에도 불구하고 북송되어 현재 언론을 통해 체제선전에 이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들이 북한에 가서 어떤 취급을 받았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가장 보호받아야 할 어린이들마저 제대로 인간 대우를 받지 못하는 곳이 바로 북한이다. 북한 문제는 아이러니하게도 한국보다 국제사회에서 더 주목받고 있다. 2013년 3월 2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이사회에서 북한 인권 사실조사위원회 설치가 통과됐다. 점점 더 많은 국가들이 북한에 관심을 기울고 개선을 촉구하고 있지만, 우리가 보여주고 있는 노력은 아직 미약하다. <꽃제비 영대>는 지금 당장, 우리가 도움의 손길을 내밀어야 할 어린 소년들의 고통스러운 나날을 그리고 있다.

[고난의 행군 시절, 평범한 소년은 어떻게 꽃제비가 되었나]

1990년대 중후반 북한은 식량난이 극에 달한 “고난의 행군”을 겪었다. 온 나라에 물자가 부족해 못 먹고, 못 입고, 가족과 사회가 모두 붕괴되던 시절, 평범한 생활을 누리던 영대네 가족에게도 위기가 닥친다. 부모를 모두 잃고 반동으로 몰리게 된 영대에게 살아남기 위한 선택은 단 하나, 고향을 떠나 장마당 꽃제비가 되는 길뿐이었다. 어린 영대와 동생 영옥이에게 꽃제비 생활은 험난하기만 했다. 꽃제비들은 자신들을 ‘쓰레기’라 부르며, 살기 위해 땅에 떨어진 음식도 주워 먹고, 죽은 사람에게서 옷을 벗겨가며, 훔친 떡을 먹고 달아나다가 목에 걸려 죽기까지 한다. 그러면서도 “쟤는 찰떡 먹다 죽었으니 원은 없겠다”며 냉정하게 돌아서는 것이 꽃제비였다. 곁에 있던 동생마저 생을 마감하자, 영대는 하나뿐인 누나를 찾아 두만강을 건너 중국으로 향한다. 한 평범한 아이가 어떻게 모든 것을 잃고 꽃제비가 되고 국경을 넘는지, 탈북자들의 수기가 아닌 문학을 통해 이토록 생생히 묘사한 것은 <꽃제비 영대>가 최초라고 할 수 있다.

[지금도 북한에는 제2, 제3의 영대들이 울고 있다.]

책의 저자 문영숙은 일제강점기, 남북 문제 등 우리 민족의 굴곡진 근현대사를 주로 그려온 작가다. 전작 <에네껜 아이들>(2009), <검은 바다>(2010), <까레이스키, 끝없는 방랑>(2012) 등을 통해 역사적 사건을 생생하게 소설로 엮어내는 필력을 보여준 바 있다. 저자는 2011년 압록강 탐사를 다녀와 북한을 가까이에서 보고 느꼈고, 조선족 가이드를 통해 고난의 행군 시절 북한 사람들이 겪은 참상을 전해 들으며 참을 수 없는 분노와 아픔을 느꼈다고 한다. 이후 탈북자들이 쓴 수많은 수기를 읽고, 북한에서 망명한 작가들을 만나 많은 대화를 나누며 <꽃제비 영대>의 주인공 영대를 탄생시켰다. 그래서 이 책에 나온 상황은 사실상 거의 실화에 가깝다. 고난의 행군으로부터 20여 년이 흐른 지금, 북한의 식량 사정은 그다지 나아진 것이 없다고 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배고픔에 허덕이는 아이들이 집 밖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 책은 제2, 제3의 영대들이 생겨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시작됐으며, 올해 말 영문판으로도 번역 출간되어 아마존(Amazon), 인그램(Ingram) 등 서울셀렉션의 해외 배급망을 통해 전 세계 독자들을 찾아갈 예정이다.


저자 프로필

문영숙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2008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 경력 2011년 한국작가회
    2010년 푸른아동문학회 회장
    한국안동문학인 협회 회원
    한국문인협회
  • 데뷔 2000년 월간 문학 등단.
  • 수상 2005년 제6회 문학동네 어린이 문학상
    2004년 제2회 푸른문학상
    2000년 월간 문학 수필부문 신인상
    1999년 문학시대 시부문 신인상
  • 링크 블로그

2022.02.0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문영숙: 1953년 충남 서산 출생. 2004년 제2회 ‘푸른문학상’과 2005년 제6회 ‘문학동네어린이문학상’을 수상하며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고, 2012년 서울문화재단 창작지원금을 받았다. 잊지 말아야 할 우리 민족의 역사를 어린 독자들에게 알리는 소설을 주로 쓰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청소년 역사소설 <에네껜 아이들>, <까레이스키, 끝없는 방랑>, 장편동화 <무덤 속의 그림>, <검은 바다>, <궁녀 학이>, <색동저고리>, <아기가 된 할아버지>, <개성빵> 등이 있다.

목차

추천의 말
작가의 말

1장. 얼어붙은 국경
2장. 꼬마과제
3장. 누나
4장. 이상한 주먹밥
5장. 엄마
6장. 외할머니 댁
7장. 수남시장
8장. 꽃제비
9장. 영옥아, 미안해
10장. 무산으로
11장. 한밤의 도강
12장. 침쟁이 할아버지
13장. 왕청에 가다
14장. 나라 밖 수용소
15장. 나라 안 수용소
16장. 다시, 고향 집으로
17장. 굴속의 사람들
18장. 심양의 수원 왕갈비
19장. 서탑거리
20장. 재회
21장. 누나의 상처
22장. 메이양의 작은 손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