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언지록 상세페이지

언지록작품 소개

<언지록> 일본 리더들이 선택한 최고의 <처세의 명저> <불멸의 리더학>
사토 잇사이의 『언지록』 4부작 국내 첫 번역, 소개

일본 유학의 태두이자 거물로 꼽히는 사토 잇사이(佐藤一齊)의 『언지록』 4부작이 국내 처음으로 번역 소개되었다. 사토 잇사이는 ‘백세(百世)의 홍유(鴻儒)’라고 일컫는 유학자이며, 메이지 유신과 일본 근대화에 지대한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끼친 사상적 스승이다. 『언지록』은 그가 40년 동안 한 땀 한 땀 정성들여 쓴 책으로 자신의 마음공부와 사색, 자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당대의 유학자들은 물론이고, 고이즈미 준이치로, 오히라 마사요시 등 현대 일본을 좌우하는 정재계 인사들이 꾸준히 읽고 인용했던 책이다. 수천 년 동양 철학의 진수를 4권에 모은 아포리즘의 향연을 맛볼 수 있다.


출판사 서평

2500년 동양의 가장 위대한 지혜를 담은 최강의 인생 지침서
“중국에 『채근담』, 로마에 『명상록』, 프랑스에 『팡세』가 있다면
일본에는 『언지록』이 있다!”

앞에서 인용한 구절은 『언지록』 제60조 「삼학계(三學戒)」의 내용이다. 2001년 5월 고이즈미 전 총리가 교육 관련 법안을 중의원에서 심의하면서 인용한 걸로 유명하다. 그런가 하면, 메이지 유신의 리더 중의 한 명인 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 1828~1877년)는 젊은 시절 사토 잇사이의 학문에 경도되었다 한다. 물에 뛰어들며 자살을 기도하고 유배를 떠났던 불우한 시기에 그가 역경을 이겨내게 했던 책이 바로 『언지록』이었다. 사이고 다카모리는 『언지록』 4부작 중에서 총 101조를 따로 초록해 금과옥조의 좌우명으로 삼았다. 이렇듯 사토 잇사이의 말에는 시대를 뛰어넘는 보편적 울림이 있기에 오늘날까지 ‘불멸의 리더학’으로 사랑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사이토 다카시 교수(메이지대학)가 『언지록』을 경제경영과 기업 조직론적 관점에서 리라이팅한 『최강의 인생지침서(最強の人生指南書)』가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어린이를 위한 언지록』 등등 『언지록』에서 파생한 수많은 책들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큰 뜻, 짧은 말에 천하의 지혜를 담다

조선의 퇴계 이황이 1558년 58세에 인생 체험의 지혜가 우러나오는 『자성록』을 썼듯이, 사토 잇사이(佐藤一齊, 1772~1859년)가 42세부터 82세까지 장장 40년 동안 써내려온 1133조의 금언들을 모은 책인 『언지록』에는 어느 정도 인생을 살아낸 사람만이 통찰할 수 있는 ‘짧은 말, 큰 뜻(言志)’들로 수신, 제가, 치국, 평천하의 지혜가 가득 차 있다.
동양에서는 홍자성(洪自誠)의 『채근담(菜根譚)』이 수상록 분야에서 스테디셀러다. 그런데 일본에서는 『채근담』이 여성적 아포리즘인 데 반해 『언지록』은 동양적 예지가 풍부한 ‘동양 최고의 남성적 아포리즘 수신서’라고 한다. 사토 잇사이는 지행합일과 마음을 중시하는 양명학을 평생 동안 연구하며 장수를 한 덕분에 40년 동안 자신의 명상, 고백, 사색, 참회, 수신, 처세, 정치 등등에 대한 ‘남성적(웅대하고 힘찬) 뜻(志)’이 가득한 동양적 예지의 세계를 ‘시처럼 짧은 말(言)’로 후세에 펼쳐 보인 대작을 남겨주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뜻을 높이 세우고 지도자로서 마음가짐을 공부하는 데는 『언지록』이 최고”(일본 전 수상, 오히라 마사요시)라고 본다.
그렇다면, 왜 200년이 되도록 일본의 리더들은 『언지록』을 금과옥조처럼 여겨오며 “최강의 인생 지침서” “책상 맡에 두고 읽어야 할 좌우명의 책” “일본 어록의 백미”라고 부르는 것일까?


동양의 남성적 아포리즘의 절창을 토해내기 시작하다

저자 사토 잇사이는 ‘백세(百世)의 홍유(鴻儒, 위대한 유학자)’라고 일컫는 유학자이다. 에도 시대 도쿠가와 막부의 최고 학문 기관이자 직할 교육 기관인 쇼헤이코(昌平黌)의 최고책임자였다. 요즘으로 치면 국립 도쿄대학 총장에 해당하는 대학자였다.
그는 어린 시절, 밤에 유흥가로 나가 취객을 때리고 도망치거나 한 제법 난폭한 사무라이였다고 한다. 하지만 어른이 될 무렵 분연히 뜻을 세우고 수양에 전념하며 이른 장년기에 학문이 원만한 군자로 불리게 되었다. 『언지록』은 바로 그의 수양의 땀이 스민 잠언 어록이지 단순하게 머리로만 쓴 관념적인 수상록이 아니다. 사토 잇사이는 도쿠가와 막부 말기에 시문에 능한 문장가로서도, 동양 고전에 밝은 한학자로서도 이름을 크게 떨치며 저술과 교육에 온 힘을 기울이다 1859년 여름 무렵 병에 걸려 9월 23일 밤에 쇼헤이코 관사에서 향년 88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언지록』은 그의 나이 42세부터 82세 때까지 장장 40년 동안 자신의 마음공부와 사색, 자성(自省)을 마치 자수를 놓듯 한 땀 한 땀 기록한, 혼불과 같은 필생의 역작(lifework)이다. 그리하여 이 책은 사무라이가 살던 에도시대로부터 샐러리맨이 사는 지금까지 200년이란 세월의 더께를 초월하며, 독자들의 끊임없는 사랑을 받는 불후의 명저가 되었다.
그래서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사이고 다카모리(西鄕隆盛), 요시다 쇼인(吉田松陰)…… 시부사와 에이치(渋沢栄一) 그리고 오히라 마사요시(大平正芳) 일본 전 수상 등등. 메이지 유신 거물들과 일본의 리더들은 이 책에 심취했고, 오늘날에도 일본인들은 책상머리에 늘 꽂아두고 읽으며 좌우명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책의 주제:
마음공부가 학문의 원점, 먼저 참다운 인간이 되고자 하는 뜻을 세워라!

『언지록』의 요점을 간단히 정리하면 네 가지로 간추릴 수가 있다. 첫째 인간의 가치는 ‘남을 위해 어느 정도 사는가!’에 달려 있다. 둘째 지위와 명예 그리고 외관상의 성공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 셋째 남을 따스하게 대해주는 정(情)과 배려하는 서(恕) 그리고 ‘가진 자의 사회적 의무’가 우주만물을 하나로 만드는 ‘사회 통합의 주춧돌’이다. 넷째 그 무슨 일이든지 사람을 상대로 하지 말고, 하늘을 상대로 하라.
인간은 환경에 의해 변화를 하기도 하지만 그 환경을 좋은 쪽으로 바꾸기도 한다. 그것은 뜻(志)을 지닌 인간이기에 가능하다. 뜻이 있는 사람은 스스로의 운명을 개척하고, 훌륭한 스승과 친구를 찾아 은혜를 입고, 그리고 공부하며 한 번밖에 없는 인생을 의식적으로 창조할 줄 안다. 인생을 좋게 하는 것도 나쁘게 하는 것도 모두 이 ‘뜻’ 나름이라는 것을 『언지록』은 충분히 가르쳐주고 있다.
가령 『언지록』 제33조에서는 “뜻이 있는 사람은 예리한 칼날과 같아 사악한 것들이 꽁무니를 뺀다. 뜻이 없는 사람은 둔한 칼과 같아 어린 아이들도 업신여기고 깔본다.”라고 하였다. 이는 함석헌 선생이 50여 년 전 『사상계』에서 “뜻이 있으면 사람, 뜻이 없으면 사람 아니다. 뜻 깨달으면 얼, 못 깨달으면 흙, 전쟁을 치르고도 뜻도 모르면 개요 돼지다.”라고 하며 늘 강조하던 그 “뜻이 있는 백성이라야 산다.”라는 잠언을 떠오르게 한다.
『언지록』에는 ‘뜻(志)’이라는 말이 계속하여 등장한다. 여기서 말하는 뜻은 과연 무엇일까? ‘입신출세’라든가 ‘입신공명’ 혹은 ‘부자아빠 되기’ 등등, 세속적인 함의일까? 물론 뜻을 품고 한평생을 열심히 살다 보면 그 결과로서 입신출세를 하가나 부자아빠가 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 책이 말하는 ‘뜻(志)’의 본래 의미는 ‘마음(心)이 훌륭한 사람이 되고자 하는 의지(意志)’이다. 달리 말해 ‘존양(存養, 양심을 잃지 않도록 착한 성품을 기름)’, 거경(居敬, 늘 마음을 바르게 가져 덕성을 닦음), 함양과 체찰(體察, 성찰) 등등의 마음공부로 인격적으로 품위가 있는 사람이 되고자 하는 뜻을 일컫는다.

『언지록』이라는 책제목의 출전으로 생각되는 『논어』에서도, 자로가 공자에게 “선생님의 뜻을 듣고 싶습니다(愿聞子之志).”라고 하자, 공자는 “노인들은 편안하게 해주고, 벗들은 신의를 갖도록 해주고, 젊은이들은 감싸 보살펴 주고자 한다.”고 말하였다. 이처럼 『언지록』에서 ‘뜻’은 야망을 가져라, 대망을 품어라, 입신출세 하여라, 부자가 되어라 하는 풍으로 ‘명리와 금전 등에 관한 이기적 욕망’을 북돋는 말을 가리키는 게 아니라, ‘인간이라면 누구나 마땅히 몸소 실천해 이루어야만 하는 목표·목적·결심’ 등을 가리킨다. 기독교식으로 말하면 ‘사랑과 헌신’일 것이고 불교식으로 말하면 ‘자비와 해탈’일 것이며, 유교적 수신서인 『언지록』은 당연히 인의예지(仁義禮智)라든가, 덕(德), 경(敬), 성(誠), 충(忠), 효(孝), 신(信), 서(恕), 격물치지(格物致知) 등등을 가리킨다.
그래서 『언지록』에서 가장 출전이 많은 것이 사서(四書)에서는 『논어』, 『맹자』, 『중용』, 『대학』 순이고, 오경(五經)에서는 『역경』, 『서경』, 『시경』, 『예기』 순이다. 이 밖에 병가와 도가의 책들도 거론되는 등 백가제자의 설이 모두 인용되고 있다. 저자의 학문세계는 유학을 주로 하고 그 밖에 제자백가의 학설에까지 미치고 있다. 전체를 통틀어 가장 많이 인용된 동양 고전은 『논어』이고 그 다음으로 『맹자』, 『역경』, 『서경』, 『중용』 등이다. 또한 『역경』에 정통하여, 이 책의 곳곳에서 역리로 사람의 처세에 관한 지혜를 깨닫게 해준다.
특히 저자는 ‘양주음왕(陽朱陰王, 양명학陽明学을 신봉하면서 표면적으로 주자학자인 척함)’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언지록』은 지행합일 즉 ‘앎과 행동은 함께 굴러가는 두 바퀴’라는 것을 특히나 강조하는 왕양명의 학문과 사상에 관한 내용이 적지 않다. 위에서 열거한 고전 외에 송·원·명·청 시대의 유학과 중국사, 게다가 일본의 유학 등도 언급하며 활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언지록』은 짧은 잠언 형식으로 쓴 동양의 거의 모든 사상사에 대한 수상록이자 명상록 그리고 주석집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책의 내용:
생사·우주·정치·충효·학문·인생·인간·문학·도덕·치세·경영·수양·교육·직업·대인관계·리더의 조건

『언지록』은 수양의 양식이자, 처세와 교육의 깨달음을 주는 감명 깊은 마음의 책이자 조언의 모음집이다. 유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교훈의 말과 사토 잇사이의 인생 체험에서 우러난 의미 깊은 말들로 가득 차 있다.
“동양의 도덕과 서양의 예(藝, 기술)가 일치해야 한다”고 말한 이는 사토 잇사이의 제자인 사쿠마 쇼잔이다. 이는 학문에는 도(道)와 예(藝)가 있다는 말인즉, 도는 자신의 마음을 수련해 얻는 ‘사람 됨됨이(인격)’이고 예는 먹고 사는 데 필요한 ‘생존의 기술’을 뜻한다. 도는 철학·사상·문학으로 인간과 인생을 탐구하게 학문이고, 예는 법률·의학·과학 등 지식을 파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가 양립하는 게 본래의 학문이었고 이 두 가지를 병행해 가르치는 게 이른바 전인교육이다.
그래서, 『언지록』이 담고 있는 내용은 실로 방대하다. “지식은 그것을 배우는 자의 마음에 동화가 되고 또한 그 사람의 인격에 반영되어 나타나야 참된 지식이다”라고 한다. 하지만 현대는 갈수록 물질만능주의에 젖어 생존의 기술로서의 지식만을 배울 뿐 마음(인격)을 닦는 배움은 내팽개쳐버린 실정이다. 취업의 편리를 위해 기술의 학문만을 배우며, 인덕을 닦는 도의 학문은 잃어버렸다. 퇴계 이황의 『자성록』이나 『언지록』이 공히 중요시하는 공부론인 인성교육 즉 ‘인간의 마음을 닦는 학문(德育)’이 완전히 사라져버린 탓에 매스미디어에는 연일 비인간적인 사건이 보도되고, 최고지도층은 공공연하게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한 부정과 불공정을 저지르며 사회적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상실해버린 것이다.
공자의 『논어』가 2500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오랫동안 널리 사랑을 받고 있는 까닭은 정보가 아니기 때문이다. 『논어』에 나오는 말은 사람이 사람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기 위해 평생을 거쳐 몸소 실천해야만 하는 덕목을 가르쳐주고, 또한 단순히 지식 차원이 아니라 인간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가르쳐주며 인생의 지혜를 주는 책이기 때문에 후세에 전해주고 잠언으로 널리, 그리고 영원히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이다. 자신의 마음가짐을 수양하게 해주는 인생의 나침반 즉 인간성의 기둥이 『논어』에 오롯이 세워져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논어』는 단순히 정보가 아니라 인간의 본질이기에 현대의 개인주의의 병폐를 치유하는 책으로 아직도 널리 읽히며 동양 최고(最古)의 스테디셀러로 각광을 받고 있는 셈이다.
사토 잇사이는 『논어』가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는 원동력은 그것이 잠언으로서 생명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걸 알았다. 때문에 그 역시도 『논어』처럼 영원불멸한 잠언을 남기기 위해 동양의 지혜가 축적된, 즉 생사·우주·정치·충효·학문·인생·인간·문학·도덕·치세·경영·수양·교육·직업·대인관계·리더의 조건 등등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원리원칙과 인생의 지침이 가득한 『언지록』을 저술하였을 것이다.

기획의 변(서문 중에서):

아무쪼록 칼날처럼 예리한 잠언이 가득한 『언지록』이 『논어』처럼 참된 마음을 가는 숫돌이 되어 한국의 독자들의 일상생활에서도 ‘정신의 균형 감각’을 길러주는 마음의 저울추 역할을 하기 바란다. 이 책을 자신의 마음속에서 발효시켜 삶의 나침반으로 삼는 것은 독자의 몫일 터이지만, 『언지록』 전체는 굳이 처음부터 읽을 필요도 없고, 후드득 읽으면서 마음에 드는 조항부터 잠들기 전에 하루에 한 조항씩 마음에 새기면서 실제의 삶에서 조금씩 실천하다 보면 우리의 인생이 좀 더 풍요롭고 인간의 본질에 한발 더 다가설 수 있지 않을까 하고 기대해본다. 사족이지만, 동아시아의 언어와 역사, 문화를 공부해오던 옮긴이로서 『언지록』이 어떤 책인가를 개인적 소감 차원에서 간단히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마음이 어지럽고 하루하루의 행동거지가 흔들릴 때 하나의 길을 열어줄 책, 마음을 풍성하게 하기 위해서, 마음의 위기를 넘기 위해, 자신의 벽을 돌파하기 위해서, 주위 사람을 행복하게 해주기 위해서, 사람을 움직이는 참된 리더가 되기 위해서, 행복한 가정을 꾸리는 가장이 되기 위해서…… ‘매일 읽는 최강의 자기경영서이자 인생지침서’이다. (옮긴이 노만수)

책이름(書名)에 관하여: 큰 뜻, 짧은 말로 천고의 심금을 울리다

『언지사록』은 『언지록(言志錄)』(1830년 간행)과 『언지후록(言志後錄)』(1837년 탈고), 『언지만록(言志晩錄)』(1850년 간행), 『언지질록(言志耋錄)』(1854년 간행)이라는 한문으로 쓰인 네 권의 수상록(隨想錄)을 훗날 합쳐 부른 이름이다. 수상록은 일정한 계통이 없이 그때그때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기록한 책이다. 때문에 『언지사록』 1133조항은 각 조항간의 연관성은 없다. 이 1133조항은 사토 잇사이 그 자신의 삶이 원숙해진 후반생 동안 쓴 짧은 잠언으로 이렇게 42세부터 82세 때까지 40년이라는 기나긴 세월 동안 쓰인 어록은 비근한 다른 예를 찾아볼 수가 없다.

1권 언지록(言志錄)
생사·우주·정치·충효 등에 관한 사색이 총 246조로 이루어져 있다. 제1조에 “분카(文化) 10년(1813년), 5월 26일 기록, 42세”라고 쓰여 있다. 에도 막부 제11대 쇼군인 도쿠가와 이에나리(徳川家斉)가 다스리던, 사토 잇사이가 42세이던 1813년 5월 26일부터 『언지록』을 쓰기 시작했다는 말이다.

2권 언지후록(言志後錄)
학문·인생·인간·문학·도덕 등에 대해 머리에 떠도는 수상을 전체 255조항에 걸쳐 서술한 것으로 양명학적 견해도 조금 엿보인다. 제1조에 “분세이(文政) 11년(1828년) 9월 9일 사토 잇사이 57세에 쓰기 시작하다.”라는 기술이 있다.

3권 언지만록(言志晩錄)
학문·전술·정치·치세·경영 등에 관한 수상을 292장으로 나누어 적었다. 『언지만록』 서(序)에 “덴포(天保) 9년(1838년) 67세 정월부터 가에이(嘉永) 2년(1849년) 78세 2월까지 썼다.”라고 하였다. 대략 12년간 쓴 셈이다.

4권 언지질록(言志耋錄)
우주·생사·수양·교육 등에 관한 수상을 340조로 나누어 기록하였다. 서(序)에서 “나는 올해로 80세가 되었지만 귀와 눈도 아직 심하게 쇠하질 않았다. 어찌 행복한 일이 아니겠는가. 단 한 숨일지라도 학문을 멈출 수가 없다. 한 구절씩 쓴 게 한 권이 되니 이를 『질록(耋錄)』이라고 부른다. 가에이(嘉永) 4년(1851년), 사토 잇사이 80세 5월 5일에 쓰기 시작하다.”라고 하였다. 저자는 여든이 넘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총명하고 필력이 쇠하지 않았으며, 학구열이 왕성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덧붙여 말하면 『언지질록』의 ‘늙은이 질(耋)’자는 늙은이라는 의미로 여든 살이나 혹은 일흔 살을 가리킨다. 1853년에 간행되었으니, 대략 2년 채 못 되어서 탈고를 한 셈이다.

추천의 글

“뜻을 높이 세우고 지도자로서 마음가짐을 공부하는 데는 『언지록』이 최고다.”
─오히라 마사요시(일본 전 수상)

“사카모토 료마, 사이고 다카모리, 요시다 쇼인…… 메이지 유신 거물들과 일본의 리더들은 왜 이 책에 심취한 것일까? 『언지록』은 최강의 인생 지침서다.”
─사이토 다카시(『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 가지 힘』의 저자, 메이지 대학 문학부 교수)

“『언지록』은 수양의 양식으로써, 또한 처세와 교육의 깨달음으로써도 『채근담』처럼 감명 깊은 마음의 책이자 조언의 모음집이다. 간명하고 진솔하게 사람의 폐부를 찌르는 멋이 있다. 일본 어록의 백미이다.”
─구스모토 분유(니혼후쿠시 대학 교수)

“유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교훈의 말과 사토 잇사이의 인생 체험에서 우러난 의미 깊은 말들로 가득 차 있다.”
─ 마쓰무라 아키라(도쿄대 문학부 교수)



저자 소개

일본 유학의 대성자로 일컬어지는 ‘백세(百世)의 홍유(鴻儒)’ 사토 잇사이는 에도 시대 최고 학문 기관인 쇼헤이코(昌平黌)의 최고 책임자였다.
그는 어린 시절, 밤에 유흥가로 나가 취객을 때리고 도망치거나 한 제법 난폭한 사무라이였다고 한다. 하지만 어른이 될 무렵 분연히 뜻을 세우고 수양에 전념하여 이른 장년기에 학문이 원만한 군자로 불리게 되었다. 나이 70세였던 1841년 11월 쇼헤이코의 주칸이 되었고, 그의 학덕은 날로 높아져 세상의 태산북두로 불리며 경앙하지 않은 이가 없었다.
이 무렵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德川家慶)에게 「역경」을 강의하였다. 또한 그에게 강설을 청하는 다이묘들이 수십 명에 달했다. 막부의 요청으로 시무책을 올리기도 하였고, 1854년 미일화친조약이 체결될 때에는 하야시 후쿠사이를 보좌해 외교문서를 작성하기도 하였다. 저서로는 그가 살아 있을 적에 출판되어 대중들이 접할 수 있었던 「언지록」과 문집 「애일루문시」를 비롯해 90여 권이 있다. 1859년 여름 무렵 병에 걸려 9월 23일 밤에 쇼헤이코 관사에서 향년 88세의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목차

【서문】 『언지록』 한국어판 첫 출간에 부쳐
짧은 글, 큰 뜻으로 천고의 심금을 울리다

제1부『언지록』
생사·우주·정치·충효 등에 관한 사색이 총 246조로 이루어져 있다. 사토 잇사이가 42세이던 1813년 5월 26일부터 『언지록』을 쓰기 시작하여, 이후 10여 년간 수시로 쓰다가 1824년에 간행하였다.

제2부『언지후록』
학문·인생·인간·문학·도덕 등에 대해 머리에 떠도는 수상을 255조항에 걸쳐 서술하였다. 1828년 9월 9일 사토 잇사이 57세에 쓰기 시작하여, 이후 대략 10년간 썼고, 다음 권인 『언지만록』과 함께1 850년에 간행하였다.

제3부『언지만록』
학문·전술·정치·치세·경영 등에 관한 수상을 292장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1838년 67세 정월부터 1849년 78세 2월까지 썼다. 대략 12년간 쓴 셈이다.

제4부『언지질록』
우주·생사·수양·교육 등에 관한 수상을 340조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1851년, 80세 5월 5일에 쓰기 시작하였고, 1853년에 간행되었으니, 대략 2년 채 못 되어서 탈고를 하였다.

【옮긴이 해제】
거의 모든 동양의 지혜를 아포리즘화한 좌우명의 절창

【부록】 리더를 위한 일본 최고의 인재 활용 비서秘書
중직심득개조重職心得箇條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