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역사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

강화도 조약에서 북미 정상회담
소장종이책 정가20,000
전자책 정가30%14,000
판매가14,000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작품 소개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 실시간으로 뉴스를 접할 수 없었던 과거에는 대형 사건이 터지면 호외를 발행해 급한 소식을 전했다. 호외를 뿌리던 신문 배달 소년들의 모습과 한 장씩 뿌려진 호외를 집어 들고 '오늘 또 무슨 큰일이 터졌구나!' 하고 놀라던 시민들의 모습은 이제 옛 사진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이 되었다.

오늘날에도 빈도는 줄어들었지만 종종 호외가 발행되곤 한다. 호외는 중요한 사건을 좀 더 빨리 보도한다는 의미만 갖는 것이 아니다. 호외는 우리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대사건들을 가장 먼저 기록한 것으로, 호외의 역사는 지난 역사 속 대사건들의 색인과 마찬가지다. 일제 치하에서는 나라 잃은 설움과 저항의 역사를, 해방 후 지난 70년간은 정치·사회적 격동기의 굵직한 사건들을 기록해온 것이 바로 호외다. 따라서 이를 정리하는 것은 우리 역사를 되짚어보고 고찰하는 의미 있는 한 걸음이 될 것이다.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는 150년의 한국 근현대사와 함께한 호외를 통해 우리 역사의 격동의 순간들을 다시 읽는 책이다. 저자는 그간 수집한 호외를 토대로 1997년에 <호외, 백 년의 기억들>이라는 책을 펴낸 바 있다. 이후 20여 년의 세월 동안 새로 발행된 호외들을 추가해 개정 출간한 것이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다.


출판사 서평

‘호외사’는 우리 역사의 ‘사건사’
한국 현대사의 격동의 순간들을 다시 읽는다!

실시간으로 뉴스를 접할 수 없었던 과거에는 대형 사건이 터지면 호외를 발행해 급한 소식을 전했다. 호외를 뿌리던 신문 배달 소년들의 모습과 한 장씩 뿌려진 호외를 집어 들고 ‘오늘 또 무슨 큰일이 터졌구나!’ 하고 놀라던 시민들의 모습은 이제 옛 사진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이 되었다.
오늘날에도 빈도는 줄어들었지만 종종 호외가 발행되곤 한다. 호외는 중요한 사건을 좀 더 빨리 보도한다는 의미만 갖는 것이 아니다. 호외는 우리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는 대사건들을 가장 먼저 기록한 것으로, 호외의 역사는 지난 역사 속 대사건들의 색인과 마찬가지다. 일제 치하에서는 나라 잃은 설움과 저항의 역사를, 해방 후 지난 70년간은 정치·사회적 격동기의 굵직한 사건들을 기록해온 것이 바로 호외다. 따라서 이를 정리하는 것은 우리 역사를 되짚어보고 고찰하는 의미 있는 한 걸음이 될 것이다.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는 150년의 한국 근현대사와 함께한 호외를 통해 우리 역사의 격동의 순간들을 다시 읽는 책이다. 저자는 그간 수집한 호외를 토대로 1997년에 『호외, 백 년의 기억들』이라는 책을 펴낸 바 있다. 이후 20여 년의 세월 동안 새로 발행된 호외들을 추가해 개정 출간한 것이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다.

강화도 조약부터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까지,
한국 호외의 역사를 돌아보다!

이 땅에서 발행된 최초의 호외는 1894년 당시 인천에서 발행되던 일본계 신문 「조선신보」가 청일전쟁이 임박해서 발행한 호외다. 한글로 된 호외가 발행된 것은 이보다 3년 뒤의 일이다. 1897년 미국인 선교사 언더우드가 창간한 「그리스도신문」은 그해 8월 22일 고종 황제의 탄신일을 맞아 고종 황제의 사진을 석판으로 인쇄해 호외로 배포했다. 이 호외는 속보성 호외라기보다는 부록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위의 두 호외는 나름대로 의의는 있지만 명실상부한 이 땅의 첫 호외라고 보기는 어렵다. 한국 신문계의 첫 호외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은 1898년 2월 19일 「독립신문」이 발행한 호외다. 그 이유는 이 신문이 한국인에 의해 발행되었고, 취급한 기사가 전형적인 속보성 기사라는 점 때문이다. 이날 이 신문은 미국 군함 메인호가 하바나항에서 폭침된 사실을 속보로 전달하기 위해 호외를 발행했다.
호외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속보성 기사를 다룬 전형적인 호외로, 크기가 본판보다 작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편집 역시 본판의 기본 형식을 따르지 않은 경우도 더러 있다. 이에 반해 크기가 본판과 같고 편집 형태 역시 제대로 갖추고 있으면서 호수(號數) 없이 발행된 호외도 상당수 있다. 바로 이것이 일제의 언론 탄압의 한 사례다. 일제 강점기에 총독부는 이미 호수가 매겨져 발행된 신문이라도 검열 과정에서 문제가 발견되면 압수하거나 배포를 금지했다. 이런 경우 신문사는 문제가 된 기사를 빼고 다시 신문을 발행했다. 이때 하루에 호수를 두 번 부여할 수는 없으므로 결국 호외의 형태로 발행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 같은 형태의 호외는 항일 민족지에서만 그 사례를 찾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3·1 운동을 전후해 국내외에서 활발한 활동을 보인 항일 지하신문의 호외는 1920년 조선총독부가 민간 상업지를 허가하는 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이들 항일 지하신문을 색출·압수하는 데 지친 일제가 결국 이들을 제도권 내로 끌어들이면서 조선 민중에게 언로를 열어주는 듯한 효과를 내기 위해 민간 상업지를 허용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민간 상업지 등장 이후,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한 호외가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면서 호외 발행이 정착되기 시작한다.
해방과 함께 시작된 미군정, 좌우 대립 등 정치 격변기를 거치면서 크고 작은 정치 사건들이 많았지만, 이 기간에 발행된 호외는 그리 많지 않다. 오히려 해방 직후 창간된 좌익 신문들의 호외 발행이 두드러졌다. 한국 신문계에서 호외가 제2의 전성기를 누리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들어서부터다. 너무 많은 호외가 발행되자 한국 신문협회가 자율적으로 호외 발행을 자제할 정도였다. 1970년대에는 ‘올림픽 호외’도 등장했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호외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2000년대 들어서도 호외는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속보 매체로서의 기능은 거의 상실한 상태다
지난 역사 속에서 호외는 사건과 함께 성장해왔다. 그러나 이제 우리 사회에서 호외는 서서히 그 존재 가치를 상실해가면서 발행 자체도 현저히 줄었다. 하지만 호외가 사라진다고 해서 사건마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호외보다 속보 기능이 우수한 새로운 매체들이 이를 대신할 뿐이다.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가 전하는
생생한 호외 이야기들

호외는 시대를 반영하는 거울이자 역사의 생생한 기록이다. 우리가 걸어온 150년의 역사가 그 속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는 150년의 한국 근현대사와 함께한 다양한 호외들을 통해 우리 민족이 겪은 기쁨과 애환, 전율과 흥분의 순간들을 살펴본다.
강화도 조약, 을사늑약 등을 통해 일제하 치욕의 역사를 보여주기도 하고, 민족의 자긍심을 높인 안중근·나석주·윤봉길 의사의 의거 소식을 전하기도 했으며, 4·19 혁명, 6·29 선언 등 민주 사회를 위한 시민들의 열망과 함께하고, 성수대교·삼풍백화점 붕괴, 서해페리호 침몰 등 온 국민을 눈물짓게 한 아픔을 전하기도 했던 호외. 최근 들어 가장 큰 이슈인 박근혜 탄핵, 남북 정상회담, 북미 정상회담 등에 이르기까지 호외는 새로운 역사를 열어가는 발걸음 하나하나를 전하는 매체로서 충실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호외에 관한 꼼꼼한 기록과 해설, 호외 발행 당시의 사진들, 호외 발행에 얽힌 이면의 이야기들을 생생하게 전하고 있는 『호외로 읽는 한국 현대사』는 호외를 주워 들던 그때의 전율과 흥분, 기대와 두려움과 함께 150년의 한국 역사를 눈앞에 생생하게 보여줄 것이다.


저자 소개

정운현
1959년 경남 함양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와 고려대 언론대학원(석사)을 졸업했다. 1984년 중앙일보 입사를 시작으로 언론계에 입문하여 서울신문 차장, 오마이뉴스 편집국장 등을 지내며 20여 년간 기자로 활동했다. 1980년대 말부터 친일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자료 수집과 취재를 해왔으며, 이런 인연으로 참여정부 시절 ‘제2의 반민특위’로 불린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의 사무처장을 지냈다. 한국언론재단 연구이사, 상지대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 국무총리 비서실장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실록 군인 박정희』, 『풀어서 본 반민특위 재판기록』(전 4권), 『임종국 평전』, 『친일파는 살아 있다』, 『조선의 딸, 총을 들다』, 『안중근家 사람들』, 『묻혀 있는 한국 현대사』, 『친일파의 한국 현대사』, 소설집 『작전명 녹두』(전 2권), 『혜주: 실록에서 지워진 조선의 여왕』, 대담집 『쓴맛이 사는 맛』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짧게 읽는 호외사

1. 강화도 조약, 1876년 2월 27일
2. 임오군란, 1882년 7월 23일
3. 갑신정변, 1884년 12월 4일
4. 일본군의 경복궁 급습 사건, 1894년 7월 23일
5. 영일동맹, 1902년 1월 30일
6. 한일의정서 체결, 1904년 2월 23일
7. 을사늑약, 1905년 11월 17일
8. 헤이그 밀사 사건, 1907년 7월
9. 안중근 의사 의거, 1909년 10월 26일
10. 한일병탄조약, 1910년 8월 22일
11. 고종 황제 승하, 1919년 1월 22일
12. 한성임시정부 수립, 1919년 4월 23일
13. 김상옥 의사 투탄 의거, 1923년 1월 17일
14. 관동 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1923년 9월 1일
15. 순종 황제 승하, 1926년 4월 25일
16. 나석주 의사 의거, 1926년 12월 28일
17. 광주 학생 항일 의거, 1929년 11월 3일
18. 윤봉길 의사 의거, 1932년 4월 29일
19. 손기정 마라톤 우승과 일장기 말소 사건, 1936년 8월 9일(마라톤 우승), 8월 25일(일장기 말소)
20. 조선교육령 개정, 1938년 4월 1일
21. 반민특위와 친일파 처단, 1948년 9월 22일
22. 여순 사건, 1948년 10월 19일
23. 김구 선생 서거, 1949년 6월 26일
24. 한국전쟁 발발, 1950년 6월 25일
25. 포로 교환 협정, 1953년 6월 8일
26.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1953년 8월 8일
27. 국가보안법 개정안 날치기 통과, 1958년 12월 24일
28. 「경향신문」 폐간 사건, 1959년 4월 30일
29. 3·15 부정선거와 마산 사태, 1960년 3월 15일
30. 4·19 혁명, 1960년 4월 19일
31. 이기붕 일가 변사 사건, 1960년 4월 28일
32. 5·16 군사 쿠데타, 1961년 5월 16일
33. 6·3 사태, 1964년 6월 3일
34. 월남 파병, 1964년 9월 11일
35. 한일협정 조인, 1965년 6월 22일
36. 한국비료 사건과 김두한 의원 오물 투척 사건, 1966년 9월 22일
37. 예산안 날치기 통과 파동, 1967년 12월 28일
38. 1·21 사태, 1968년 1월 21일
39. 푸에블로호 납치 사건, 1968년 1월 23일
40. 국민복지회 사건과 김종필 공화당 탈당, 1968년 5월 30일
41. 3선 개헌안 날치기 통과, 1969년 9월 14일
42. KAL기 납북 사건, 1969년 12월 11일
43. 대연각호텔 화재 사건, 1971년 12월 25일
44. 7·4 남북 공동성명, 1972년 7월 4일
45. 8·3 조치, 1972년 8월 3일
46. 남북 적십자회담 개최, 1972년 8월 30일
47. 10월 유신 선포, 1972년 10월 17일
48. 육영수 여사 서거, 1974년 8월 15일
49. 대통령 긴급조치 9호 선포, 1975년 5월 13일
50. 10·26 사건, 1979년 10월 26일
51. 5·17 비상계엄 확대, 1980년 5월 17일
52. 최규하 대통령 사임, 1980년 8월 16일
53. 언론 통폐합, 1980년 11월
54. 미얀마 아웅산 테러 사건, 1983년 10월 9일
55. 신민당, 제1야당으로, 1985년 2월 12일
56. ‘김일성 사망’ 오보 소동, 1986년 11월 17일
57. 노태우 ‘6·29 선언’, 1987년 6월 29일
58. 오대양 집단 자살 사건, 1987년 8월 29일
59. 김현희 KAL기 폭파 사건, 1987년 11월 29일
60. 5공 청산과 전두환 전 대통령 국회 증언, 1989년 12월 31일
61. 3당 합당, 1990년 1월 22일
62. MBC 파업 사태, 1992년 9월 2일~10월 21일
63. 부산 초원복집 사건, 1992년 12월 11일
64. 제14대 대통령에 김영삼 후보 당선, 1992년 12월 19일
65. 금융실명제 전격 실시, 1993년 8월 12일
66. 서해페리호 침몰 사고, 1993년 10월 10일
67. 북한 김일성 주석 사망, 1994년 7월 8일
68. 성수대교 붕괴, 1994년 10월 21일
69. 대구 지하철 도시가스 폭발 사고, 1995년 4월 28일
70. 민선 서울시장에 조순 씨 당선, 1995년 6월 27일
71.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1995년 6월 29일
72. 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1995년 11월 16일
73. 전두환 전 대통령 구속, 1995년 12월 3일
74. 제15대 대통령에 김대중 후보 당선, 1997년 12월 19일
75. 남북 정상회담, 2000년 6월 13~15일
76. 월드컵 4강 신화, 2002년 6월
77. 제16대 대통령에 노무현 후보 당선, 2002년 12월 19일
78. 노무현 대통령 탄핵안 국회 가결, 2004년 3월 12일
79.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2009년 5월 23일
80. 연평도 포격 사건, 2010년 11월 23일
81. 북한 김정일 위원장 사망, 2011년 12월 17일
82. ‘박근혜 세월호 7시간’과 「산케이신문」 서울 지국장 명예 훼손 사건, 2015년 12월 17일
83. 사드 배치 논란, 2016년 7월 8일
84. 박근혜 대통령 파면, 2016년 12월 9일(탄핵안 가결), 2017년 3월 10일(헌재 파면 결정)
85. 문재인-김정은 제3차 남북 정상회담, 2018년 4월 27일
86.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 2018년 6월 12일


리뷰

구매자 별점

1.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1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