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장자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인문

장자

낙천적 허무주의자의 독백
소장종이책 정가22,000
전자책 정가25%16,500
판매가16,500

장자작품 소개

<장자> 글항아리 동양고전 시리즈 11번째 책. <장자>로 박사학위를 받고 40년 가까이 장자와 도가를 연구해온 김갑수 교수가 펴내는 <장자> 완역본이다. 가능한 한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말을 주된 번역어로 쓰고, 간단명료한 문체로 내용을 분명하게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렇다고 원래 텍스트의 자구를 무시하거나 또 그것이 가지고 있는 의미에서 벗어나도록 허용한 것은 아니다. 텍스트에 충실하되 우리말의 어법에 맞아야 한다는 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했다.

머리말에서 역자는 장자를 낙천적 허무주의자라고 규정한다. 장자 철학의 핵심은 개인의 행복 추구에 있다. 장자가 생각한 행복한 삶이란 다른 것이 아니라 마음에 근심걱정이 없고, 몸이 편안한 것이다. 몸과 마음이 자유로운 사람을 장자는 지인, 진인, 신인 혹은 성인이라고 불렀다. 장자는 정신이 자유롭지 못할 때, 마음이 편치 못할 때 우리는 고통을 느끼며 행복이라는 이상적인 삶으로부터 멀어진다고 생각한 것이다.

<장자>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된 내용은 개인의 자유를 제약하는 모든 요소를 비판하면서 그로부터 벗어나는 길을 제시하는 것이다. 장자의 생각은 지나치게 이상적이고 실현 불가능한 꿈이 되어버렸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볼 때 그의 지적은 정확했고, 또 여러 가지 면에서 그의 주장은 여전히 유효하다. 장자를 포함한 우리 누구도 그가 제기한 이상적인 삶을 살 수는 없다. 적당한 선에서 현실과 타협하면서 반드시 지켜야 할 것을 최대한 지켜내는 것이 실질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출판사 서평

40년 장자를 읽은 전공자에 의한
새로운 장자 완역(내·외·잡편 완역)
음미할수록 흥미롭고 읽을 때마다 새로운 장자,
간단명료한 문체로 분명한 내용 전달

이 책은 『장자』를 우리말로 완역한 것입니다. 이 책이 의도하는 주요 독자는 학자가 아니라 일반인입니다. 가능한 한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말을 주된 번역어로 쓰고, 간단명료한 문체로 내용을 분명하게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렇다고 이 책의 번역이 원래 텍스트의 자구를 무시하거나 또 그것이 가지고 있는 의미에서 벗어나도록 허용한 것은 아닙니다. 고전이나 외국어로 된 글의 번역에서 내가 정한 원칙 가운데 첫 번째는 바로 텍스트에 충실하되 우리말의 어법에 맞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_머리말

이 책은 『장자』로 박사학위를 받고 40년 가까이 장자와 도가를 연구해온 명실상부한 국내 최고 전문가인 김갑수 교수가 펴내는 『장자』 완역으로 글항아리 동양고전 시리즈의 11번째 책으로 나왔다. 이 책이 의도하는 주요 독자는 학자가 아니라 일반인이며 가능한 한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말을 주된 번역어로 쓰고, 간단명료한 문체로 내용을 분명하게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렇다고 원래 텍스트의 자구를 무시하거나 또 그것이 가지고 있는 의미에서 벗어나도록 허용한 것은 아니다. 텍스트에 충실하되 우리말의 어법에 맞아야 한다는 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했다. 『장자』는 문장 자체도 해독이 까다롭고 때로는 진짜 무슨 의도로 썼는지 아무도 모르는 부분도 꽤 있다. 게다가 그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 역시 보통 우리의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 그래서인지 우리말 번역서 가운데 아무리 읽어도 도대체 무슨 뜻인지 말이 안 되는 문장이 자주 있다. 특정 문장이 우리말 어법에 전혀 안 맞거나, 무엇을 말하려고 하는지 불분명하거나, 문맥이 전혀 통하지 않거나 하는 치명적인 문제들이 대부분의 번역서에서 발견된다. 물론 이 책도 그러한 문제에서 완전히 자유롭다고 확신은 못하지만 먼저 우리말이 되게 하고, 하나하나의 문장이 전체 문맥의 흐름에 맞아서 그 문단이 무슨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지 충분히 알 수 있도록 하는 데 가장 중점을 두었다. 물론 그것은 『장자』의 원문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안에서라는 전제가 깔려 있다고 역자는 계속 강조한다.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번역이라 원문과 어려운 글자나 어구에 대한 풀이를 상세하게 곁들이지 않았고, 이런 학술적 내막은 차후에 전문 역주서를 통한 학술번역을 통해 해소할 생각이다.
이번 『장자』 완역본엔 역자 김갑수 교수의 오랜 연구 공력과 철학이 함께 담겨 있다. 머리말에서 그는 장자를 허무주의자라고 규정한다.

“장자는 허무주의자입니다. 혹은 자연주의자라고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예전에는 장자를 허무주의자, 불가지론자 등으로 규정하는 데 대하여 많은 거부감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장자』를 음미해보면 장자를 포함한 그의 추종자들은 대개 허무주의자이고 불가지론자들이라는 점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는 하지만 장자는 현실도피주의자는 아닙니다. 장자는 오히려 세상의 그 어떤 철학자보다 현실과 철저하게 마주했고, 현실을 꿰뚫어보면서 현실의 부정적인 면을 바로잡으려고 했습니다. 장자는 우리가 그냥 당연하다고 믿고 있는 모든 것에 대해 의심하고, 우리의 몸과 마음을 구속하는 것은 그것이 무엇이 되었든 부정하고 거부했습니다. 세상에서 나의 개인적인 생명보다 중요한 것은 없으며, 그 생명을 위한 최선의 삶은 그때그때 아무런 근심걱정 없이 즐겁게 사는 것뿐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장자에게 있어 돈이라든가, 명예라든가, 사회적 지위라든가 혹은 신이든, 국가든, 인류든 그 어떤 것도 나의 개인적인 생명보다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 따라서 세상에서 나의 생명과 바꿀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고, 나의 자유로운 삶을 제약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부정적으로 보았습니다.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없고, 세상에 자연 이외에 절대적인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는 점에서 장자는 허무주의자 혹은 자연주의자이고,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 개인이 즐겁고 행복하게 사는 것이고 또 이 세상은 그 자체로 아름다운 것이며 삶은 충분히 즐길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보았다는 점에서 낙천주의자입니다. 그래서 나는 장자를 낙천적 허무주의자로 규정합니다.”

장자의 전기

장자는 언제 어디서 태어났고 언제 죽었는지, 구체적으로 언제 어떤 일을 했는지 등의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서조차 명확한 것이 전혀 없다. 대개 장자의 성은 장莊이고 이름은 주周이며 자는 자휴子休라는 정도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장자에 대한 기록 가운데 가장 이른 것으로는 『장자』를 들 수 있다. 『장자』에는 장자가 대화에 직접 등장하는 문장이 있고, 장자에 대해 설명하는 문장이 있기도 하다. 특히 「천하」 편에는 장자의 사상적 특색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밖에 전국시대의 기록으로 『순자』와 『여씨춘추』 등에도 장자에 대하여 언급하거나 장자의 말을 인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기록들에는 장자가 언제 적 사람인지, 어디 출신인지, 어떤 일을 했었는지 등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언급이 없다. 체계적으로 장자의 전기를 쓰고자 한 시도는 사마천의 『사기』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이 가장 이르다. 그러나 공자를 제외한 다른 제자백가가 그렇듯이 장자에 대한 기록도 그렇게 분명한 것은 아니고 대략적인 추정치에 불과하다.
이제 『사기』의 기록을 따라가면서 장자의 전기와 관련된 것을 추적해보자. 사마천은 먼저 장자의 출신지와 활동 연대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장자는 몽蒙 지방 사람이고 이름은 주周다. 그는 일찍이 칠원리漆園吏를 지냈으며, 양梁나라 혜왕惠王, 제齊나라 선왕宣王 등과 같은 시대를 살았다.

사마천은 장자를 몽 출신이라고 했는데, 몽이 어디에 있는지, 어느 나라에 속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 역대로 『사기』의 기록 가운데 몽이라는 지명을 어디에 있는 땅으로 보느냐에 따라 장자의 출신 국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게 갈라졌다. 즉 송宋나라, 양梁나라, 초楚나라, 제齊나라, 노魯나라 등 여러 가지 학설이 있다. 유향劉向·고유高誘·반고班固·장형張衡 등은 장자를 송나라 사람이라고 주장했으며, 당대唐代의 학자들은 『한서』 「지리지」의 “양나라는 큰 현이 여덟 개 있었는데, 그 중 세 번째로 큰 것이 바로 몽이다”라는 기록에 의거하여 장자를 양나라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예를 들면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와 『경전석문經典釋文』 「장자서록莊子序錄」, 『사기회주고증史記會注考證』 등에서는 장자를 양나라의 몽현蒙縣 사람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밖에 송대宋代의 악사樂史(『태평환우기太平?宇記』), 주희朱熹(『주자어류朱子語類』) 등은 장자를 초나라 사람이라고 주장했고, 석지장釋智匠의 『고금악록古今樂錄』에서는 장자를 제나라 사람이라고 했으며, 마숙馬?, 염약거閻若? 등은 석지장의 주장에 반대하면서 노나라 사람이라고 했다. 특히 근대의 왕수롱王樹榮은 「장자는 바로 자막이다莊周卽子莫說」는 논문에서 『맹자』의 “자막子莫은 중中을 지켰다”는 기록의 자막子莫이 바로 장자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하면서 자막은 노나라 사람이며, 노나라에 몽이라는 지방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상의 여러 가지 학설 가운데 장자가 송나라 혹은 양나라 사람이라는 주장 외에 초나라, 제나라, 노나라 사람이라는 주장들은 근거가 부족하다. 다만 송과 양은 같은 나라이거나 동일한 지역에 대한 다른 명칭일 수 있다. 양샹쿠이楊向奎는 『사기』 「한세가韓世家」의 “문후文侯 2년에 (…) 한나라는 송나라의 도읍인 팽성彭城을 치고 송나라 임금을 붙잡았다”라는 기록을 인용하면서 송나라가 한韓나라의 침략으로 인해 천도한 뒤 몽 부근 상구商丘 일대가 양梁나라의 침략을 받았을 것이며, 따라서 장자가 태어난 시기에는 송나라는 이미 멸망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러나 몽이 양 나라의 땅으로 귀속되었을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하더라도 『장자』에서 송나라와 장자를 연계시키고 있는 기록이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오히려 장자가 송나라의 멸망을 직접 목격했을 것이라는 팡커方克의 주장이 더 타당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장자가 송나라 사람이었다는 점을 받아들이더라도 오늘날로 치면 구체적으로 어디쯤일까 하는 문제가 남는다. 크게 두 가지 주장이 있다. 하나는 허난 성 상추商丘라는 주장이고, 다른 하나는 안후이 성 멍청蒙城이라는 주장이 그것이다.
다음에 장자는 칠원리를 지냈다고 했는데, 칠원漆園이 지명인지 아니면 글자 그대로 옻나무밭인지도 분명하지 않지만 대개 당시에 옻나무를 나라에서 직접 경영했을 것이고, 장자는 관영 옻나무밭을 관리하는 말단관리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장자가 정식으로 밥벌이를 한 것은 이것이 전부였던 것 같다. 이 밖에는 다른 기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장자가 위나라를 찾았을 때 당시 위나라의 재상으로 있던 장자의 친구 혜시가 자기 자리를 빼앗길까 위협을 느꼈다는 이야기나, 장자가 먹을 것이 떨어져 구걸을 나갔다는 기록 등만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장자가 다른 일자리를 갖지 않았을 것이 확실한 것 같다.
사마천은 장자가 태어난 해나 죽은 해를 정확하게 알지 못했기 때문에 대략적인 활동 시기를 양나라 혜왕이나 제나라 선왕 등과 같은 시대라고 추정했다. 양나라 혜왕의 재위 기간은 기원전 370년부터 기원전 318년까지이고, 제나라 선왕의 재위 기간은 기원전 319년부터 기원전 301년까지다. 따라서 사마천의 추정에 따르면 장자는 기원전 370년에서 기원전 301년 사이에 살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근현대에 이르러 장자의 활동 연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학자마다 나름의 근거를 제시하면서 각기 다른 견해를 제시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학자로는 마쉬룬馬敍倫, 뤼전위呂振羽, 판원란范文瀾, 양롱궈楊榮國, 원이둬聞一多 등 다섯 사람을 들 수 있다. 이들 다섯 사람의 견해에 따르면 장자의 활동 연대는 아무리 소급하더라도 상한선이 기원전 375년(원이둬)을 넘지 않으며 하한선은 기원전 275년(뤼전위)을 벗어나지 않는다. 이는 기원전 370년에서 기원전 301년 사이에 살았을 것이라고 추정한 사마천의 견해에서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장자의 활동 시기를 빠듯하게 잡는다면 사마천의 견해에 따라 기원전 370년에서 기원전 301년의 약 70년 사이라고 할 수 있고, 좀 넉넉하게 잡으면 기원전 375년에서 기원전 275년의 100년 사이에 살았다고 확정하더라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장자』의 성립

우리가 보는 『장자』라는 책은 장자 한 사람의 손에 의해 완성된 것이 아니라 그와 그의 후계자들의 공동저작집이다. 『장자』는 70여 편이 전해져 왔었는데, 위진魏晉시대에 이르러 각 주석가들이 각기 자신들의 기준에 따라 편수나 편차를 다시 정비했다. 예를 들어 최선崔?은 27편으로 정리하여 주석했고, 상수向秀는 26편으로, 곽상郭象은 33편으로, 이이李?는 33편으로, 사마표司馬彪는 52편으로, 맹씨孟氏는 52편으로 정리하여 주석을 붙였다. 현재까지 온전하게 전해오고 있는 유일한 주석본은 진晉나라의 곽상郭象이 33편으로 정리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보통 『장자』라고 말하면 바로 이 곽상이 정리한 책을 말한다.
곽상은 『장자』를 크게 내편과 외편 그리고 잡편으로 분류했다.
내편에 속하는 것은 「소요유逍遙遊」 「제물론齊物論」 「양생주養生主」 「인간세人間世」 「덕충부德充符」 「대종사大宗師」 「응제왕應帝王」 등 7편이다.
외편은 「병무騈拇」 「마제馬蹄」 「거협??」 「재유在宥」 「천지天地」 「천도天道」 「천운天運」 「각의刻意」 「선성繕性」 「추수秋水」 「지락至樂」 「달생達生」 「산목山木」 「전자방田子方」 「지북유知北遊」 등 15편이다.
잡편은 「경상초庚桑楚」 「서무귀徐無鬼」 「칙양則陽」 「외물外物」 「우언寓言」 「양왕讓王」 「도척盜?」 「설검說劍」 「어부漁父」 「열어구列禦寇」 「천하天下」 등 11편이다.
이 가운데 내편에 속하는 7편은 장자의 직접적인 저작 혹은 그의 말이나 생각을 기록한 것이고, 외편과 잡편에 속하는 26편은 장자의 제자 혹은 그의 사상을 추종하는 후대인들이 지은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저자 소개

지은이 장주 莊周

성은 장莊이고 이름은 주周이며 자는 자휴子休라는 정도만 알려져 있다. 장자에 대한 기록 가운데 가장 이른 것이 『장자』다. 사마천은 장자의 출신지와 활동 연대에 대해 몽蒙 지방 사람이고 이름은 주周라고 말했다. 일찍이 칠원리漆園吏를 지냈으며, 양梁나라 혜왕惠王, 제齊나라 선왕宣王 등과 같은 시대를 살았다고 덧붙였다.
역대로 몽이라는 지명을 어디에 있는 땅으로 보느냐에 따라 장자의 출신 국에 대한 의견이 다양하게 갈라졌다. 즉 송宋나라, 양梁나라, 초楚나라, 제齊나라, 노魯나라 등 여러 가지 학설이 있었지만 초나라, 제나라, 노나라 등의 주장들은 근거가 부족하다. 다만 송과 양은 같은 나라이거나 동일한 지역에 대한 다른 명칭일 수 있다. 송나라가 양나라에 병합되었다는 주장이 있지만 대체적으로는 장자가 송나라의 멸망을 직접 목격했을 것이라는 견해가 더 설득력 있다.
칠원리에서 보듯 대개 장자가 관영 옻나무밭을 관리하는 말단관리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장자가 정식으로 밥벌이를 한 것은 이것이 전부였던 것 같다.
장자의 활동 시기는 양나라 혜왕이나 제나라 선왕 등과 같은 시대라고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대략 기원전 370년에서 기원전 301년 사이에 살았다고 할 수 있다. 근현대의 좀 더 세밀한 역사 추적에 따르면 상한선이 기원전 375년을 넘지 않으며 하한선은 기원전 275년을 벗어나지 않는다.
흔히 노자老子와 더불어 도가道家의 쌍벽으로 일컬어지는데, 특히 위진魏晉시대와 북송北宋 이후의 문사文士들에게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옮긴이 김갑수

성균관대에서 유학 및 동양철학을 공부하고 「장자 철학에서의 자연과 인간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민족문화추진회(현 한국고전번역원) 국역연수원에서 한학을 공부했다. 국민대, 경기대, 협성대 등에서 강의했고, 중국 산둥사범대 초빙교수,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전임연구원, 호서대 연구교수, 성균관대 겸임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 민족의학연구원 상임연구원, 호원대 겸임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현대중국의 도가연구 현황과 전망』, 『장자와 문명』, 『노자의 도덕경』, 『마음이 담긴 동양예술 산책』, 『예술, 인문학과 통하다』(공저), 『가치 청바지』(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집 잃은 개』(전2권), 『장자를 읽다』, 『중국이라는 새로운 국가모델론』, 『장자 멘토링』, 『동양의 자연과 인간 이해』, 『민주사강』, 『태평경 역주』(전5권, 공역), 『주역, 유가의 사상인가 도가의 사상인가』(공역), 『중국 고대철학의 세계』(공역)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해제

1. 장자의 전기
2. 『장자』의 성립
3. 장자의 사상과 지향
4. 『장자』에 나오는 주요 개념


제1부 내편內篇

제1편 소요유逍遙遊
제2편 제물론齊物論
제3편 양생주養生主
제4편 인간세人間世
제5편 덕충부德充符
제6편 대종사大宗師
제7편 응제왕應帝王


제2부 외편外篇

제8편 병무騈拇
제9편 마제馬蹄
제10편 거협胠篋
제11편 재유在宥
제12편 천지天地
제13편 천도天道
제14편 천운天運
제15편 각의刻意
제16편 선성繕性
제17편 추수秋水
제18편 지락至樂
제19편 달생達生
제20편 산목山木
제21편 전자방田子方
제22편 지북유知北遊


제3부 잡편雜篇

제23편 경상초庚桑楚
제24편 서무귀徐無鬼
제25편 칙양則陽
제26편 외물外物
제27편 우언寓言
제28편 양왕讓王
제29편 도척盜跖
제30편 설검說劍
제31편 어부漁父
제32편 열어구列禦寇
제33편 천하天下


리뷰

구매자 별점

5.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1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