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돌아보면 아름다운 날들 2. 상세페이지

돌아보면 아름다운 날들 2.

  • 관심 0
셀렉트
리디셀렉트에서 바로 볼 수 있는 책입니다!
소장
전자책 정가
2,500원
판매가
2,500원
출간 정보
  • 2023.01.10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1.4만 자
  • 9.2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90204156
ECN
-
돌아보면 아름다운 날들 2.

작품 정보

돌아보면 세상을 살아간다는 것은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지, 암울한 일제 강점기에도 낭만과 즐거움이 있었고, 자유롭고 행복한 삶도 있었다. 과거가 아닌 현재를 사는 우리들도 쉽지 않은 삶을 살고 있다. 그러나 돌아보면 또 다른 아름다운 날들이 있었음을 느낄 것이다.
이 책은 1900년대 초ㆍ중반의 근대문학의 대표적 작가들이 어두운 시대의 우울함 속에도 주위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일을, 즐거움과 웃음 슬픔과 고뇌가 있는 자유롭고 솔직한 생각을 에세이로 엮었다.

작가 소개

강경애(姜敬愛)
일제 강점기 여성 소설가 겸 시인, 페미니스트 운동가인 그는 1920년 평양 숭의여학교에 입학, 당시 평양의 학생운동 조직인 「친목회」, 「독서조」 등에 참여하였다. 1924년 잡지 「금성」에 ‘강가마’라는 필명으로 작품을 발표, 그무렵 무산 아동을 위한 흥풍 야학교를 개설해 학생과 농민을 지도했다.
1931년 단편소설 『파금(破琴)』으로 문단에 데뷔, 1934년 동아일보에 연재한 장편 『인간문제』가 히트를 쳐서 명성을 얻기도 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장편 소설 『어머니와 딸』 단편소설 『부자(父子)』 『채전(菜田)』 『소금』 등을 발표, 특히 『인간 문제』와 『지하촌』은 강경애를 새롭게 주목하게 된 문제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김남천(金南天)
본명은 김효식(金孝植), 평양고등보통학교 재학시 잡지 『월역(月域)』의 발간에 참여하였고, 호세이대학 재학 중 KAPF동경지회(支會)에 가입,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하며 카프의 소장파 평론가로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장편소설 「대하」외에 창작집 『소년행』, 『삼일운동』, 『맥』 등이 있다. 비평으로는 「영화운동의 출발점 재음미」, 「세태와 풍속」, 「시대와 문학의 정신」, 「소설의 운명」, 「소설의 장래와 인간성 문제」, 「민족문학 건설의 기본임무」, 「조선문학의 재건」등을 들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종전 직후 좌익 활동을 시작 월북했고, 조선문학예술총동맹 서기장까지 올랐다.

나도향(羅稻香)
본명은 나경손(慶孫)이며 필명은 나빈(彬)이다. 1922년 『백조』의 창간호에 소설 『젊은이의 시절』을 발표하여 문단에 등장하였다. 이상화, 현진건, 박종화 등과 함께 백조파 불리는 낭만파를 이루었다.
1925년 『여명』 창간호에 『벙어리 삼룡이』를 발표하였는데, 한국 근대 문학사상 가장 우수한 단편 중의 하나로서 평가받고 있다. 그는 날카로운 필치로 많은 작품을 써서 천재 작가로 알려졌다. 주요작품으로 『물레방아』, 『뽕』, 『벙어리 삼룡이』, 『별을 안거든 울지나 말걸』,등이 있다.

노천명(盧天命)
본명은 노기선인데 어릴 때 병으로 사경을 헤맨 뒤 천명으로 개명하게 되었다. 이화여전 재학 중 이화여전 교수이며 시인인 김상용의 추천으로 시 「밤의 찬미」, 「포구의 밤」 등이 신동아 지에 발표되면서 명성을 얻었다.
1935년 잡지 『시원(詩苑)』 동인으로 활동 창간호에 「시 내청춘의 배」는 등을 발표하였다. 1937년 조선중앙일보사를 사직하고 잡지 『여성(女性)』(조선일보사 발생)의 편집을 담당했다. 1938년 대표작인 「사슴」을 비롯한 「자화상」 등이 실린 시집 『산호림(珊瑚林)』을 출간했고, 잡지 『신세기(新世紀)』 창간에 참여했다.
해방 이후에는『매일신보』의 후신인 『서울신문』에서, 부녀신문사의 편집차장으로 근무했고,수필집으로 『산딸기』 『나의 생활백서(生活白書)』 등이 있다. 널리 애송된 그의 대표작 『사슴』으로 인하여 ‘사슴의 시인’으로 애칭되었다.

방정환(方定煥)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아동문화운동가, 어린이 교육인, 사회운동가이며 어린이날의 창시자이고, 호는 소파(小波)이다.
동학의 평등사상과 인내천주의를 바탕으로 한 어린이운동을 실천해 나가고, 천도교 소년회를 조직하고 전국 소년회 운동을 전개 하였다. 1922년 5월 1일을 어린이의 날 창설하고,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 발전시켰다. 1923년 3월 소년소녀 문예잡지 『어린이』를 창간하고, 동요, 동화, 도화극, 아동자유화, 세계어린이 예술전람회 등 어린이를 위한 문학과 예술의 가치를 부흥시켰다. 같은 해 우리나라 최초의 어린이 문제 연구 색동회를 창립한다.
그의 대표 작품은 동요 ‘형제별’(번안), 동화『사월그믐밤』 소년소설『만년샤쓰』, 『탐정소년소설』, 『칠칠단의 비밀』, 『어린이 독본』등이 있다.

이 상(李箱)
본명은 김혜경(金海卿)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를 졸업하고 총독부 내무국 건축과 기사로 근무, 건강악화로 기사의 직을 버리고 황해도 배천(白川) 온천에 요양 갔다가 돌아온 뒤 종로에서 다방 ‘제비’를 차려 경영하였다. 이곳에 이태준·박태원·김기림·윤태영·조용만 등이 출입하여 이상의 문단 교우가 시작되었다.
1934년에 구인회(九人會)에 가입하여 특히 박태원과 친하게 지내면서 그의 소설 「소설가 구보씨(小說家仇甫氏)의 1일(一日)」에 삽화를 그려주기도 하였다.
1930년 『조선』에 첫 장편소설 「12월 12일」을 연재하면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 『월간매신(月刊每申)』에 「보통기념」·「지팽이 역사(轢死)」를, 『조선중앙일보』에 국문시 「오감도(烏瞰圖)」 등 다수의 시와 「날개」(1936)·「지주회시(蜘蛛會豕)」·「동해(童骸)」등의 소설도 발표하였다.

채만식(蔡萬植)
일제 강점기의 소설가 호는 백릉(白菱), 채옹(采翁)이다. 1924년 단편 「새길로」를 『조선문단』에 발표하여 문단에 데뷔한 뒤 290여 편에 이르는 장편 · 단편소설과 희곡 · 평론 · 수필을 썼다.
그의 작품세계는 처음에는 당시의 현실반영과 비판에 집중하는 사회주의 운동에 동조하는 경향의 작품을 썼지만, 차차 풍자적인 성향의 작품을 발표했다.
작품 기법에 있어 매우 다양한 시도를 했는데, 대표작으로는 『레디메이드 인생』, 『탁류(濁流)』, 『태평천하(太平天下)』, 『치숙(痴叔)』, 『여인전기(女人戰紀)』, 『미스터 방』 등이 있다.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돌아보면 아름다운 날들더보기

  • 돌아보면 아름다운 날들 1. (계용묵, 김남천)

에세이 베스트더보기

  • 빛과 실 (한강)
  • 단 한 번의 삶 (김영하)
  • 혹시, 돈 얘기해도 될까요? (주언규)
  • 개정판 | 쓸 만한 인간 (박정민)
  • 책임지는 기쁨 (김리현)
  • 순간을 달리는 할머니 1 (엄유진)
  • 개정판 | 빅터 프랭클의 죽음의 수용소에서 (빅터 프랭클, 이시형)
  • 붙잡지 않는 삶 (에크하르트 톨레, 루카)
  • 이 지랄맞음이 쌓여 축제가 되겠지 (조승리)
  • 사랑의 기술(5판) (에리히 프롬, 황문수)
  • 비효율의 사랑 (최다은)
  • 순간을 달리는 할머니 2 (엄유진)
  •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에크하르트 톨레, 류시화)
  • 인생 녹음 중 (인생 녹음 중 부부)
  • 너무 오래 오타쿠로 살아서 (쑨디)
  • 길 위의 뇌 : 뇌를 치료하는 의사 러너가 20년 동안 달리면서 알게 된 것들 (정세희)
  • 제철 행복 (김신지)
  • 아무튼, 여름 (김신회)
  • 오래 준비해온 대답 (김영하)
  • 우울증 가이드북 (오지은, 반유화)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