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량스추 梁實秋

    량스추 프로필

  • 국적 중국
  • 출생-사망 1903년 1월 6일 - 1987년 11월 3일
  • 학력 하버드대학교 대학원 영문학 석사
    콜로라도대학교 영문과 학사
  • 경력 타이완사범대학교 교수

2024.03.28.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1903년 1월 6일 중국 베이징(北京)에서 11남매 중 넷째로 태어났다. 원명(原名)은 량즈화(梁治華)이며, 자(字)가 스추(實秋)다. 그의 부친인 량센시(梁咸熙)는 청나라 말 최초의 관립(官立) 외국어전문학교인 경사동문관(京師同文館)의 첫 입학생으로, 졸업 후 경사(京師)경찰청에서 근무했다. 그의 부친은 신문물의 수용에 매우 적극적이었을 뿐 아니라 중국 전통 문화를 중시했으며, 특히 금석학(金石學)과 소학(小學)에도 조예가 깊었다. 전통과 현대를 모두 중시하던 부친의 태도는 량스추의 어린 시절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량스추는 유년 시절 학당에서 정통 유학 교육을 받았고, 1915년 여름 오늘날 칭화대학(淸華大學)의 전신인 칭화학교(淸華學校)에 입학해 신식 교육을 받으며, 8년 동안 미국 유학 준비 과정을 거쳤다. 그가 칭화학교에 재학하던 1919년에 근대 시민운동인 5·4운동이 일어났고, 당시 그는 적극적으로 신문학(新文學) 활동에 참여했다. 그는 칭화학교에 다니면서 활발한 문학 활동을 하며, 다양한 벗과 교류했다. 그중에서도 특히 한 학년 선배였던 원이둬(聞一多)는 량스추가 건강과 존엄을 중시하는 문학 관념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 훗날 그는 원이둬와 함께 《창조주보(創造週報)》, 《창조월간(創造月刊)》에 시와 소설을 발표했다.
1923년 여름에 미국 유학길에 오른 량스추는 콜로라도대학교 영문과를 거쳐 하버드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해 영문학과 문예이론을 전공했다. 그는 그곳에서 어빙 배빗(Irving Babbitt) 교수의 ‘16세기 이후 문예 비평’을 수강하면서 해박한 지식에 탄복하고, 그의 신인문주의 사상을 접하게 된다. 량스추는 5·4신문학운동에 대해 이성이 결핍됐고, 감정을 무절제하게 추구했다고 비판했는데, 이러한 관점은 이전의 문학관과 확연히 달라졌다. 1926년 그는 약혼녀 청지수(程季淑)와 결혼을 위해 2년 더 남은 학업을 포기하고 귀국길에 오른다. 귀국 후 량스추는 오늘날 난징대학(南京大學)의 전신인 동남대학(東南大學)에서 교편을 잡았고, 원이둬와 쉬즈모(徐志摩) 등과 함께 월간 《신월(新月)》을 창간하면서 편집장을 맡았다. 그는 《신월》을 거점 삼아 신인문주의와 자유주의적 문학관에 기반하여 문학 비평, 창작 활동을 전개했다. 하지만 그가 문학 활동을 전개하던 1930년대 중국문단은 계급적, 민족적 갈등 구조 속에서 혁명 담론이 주류를 이루던 때였다. 이 시기 그는 문학의 가치를 ‘계급성’과 ‘혁명’을 위한 목적에 한정 짓는 데 반대하며, ‘인성’과 ‘이성’으로써 문학의 표준을 세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로 인해 그는 당시 루쉰을 비롯해 좌익 작가들로부터 맹렬한 공격을 받았고, ‘인성론’과 ‘계급론’을 둘러싼 공방이 오가면서 루쉰으로부터 ‘집 잃은 자본가의 힘없는 주구’로 매도됐다. 이후 1937년 일본이 중국에 대한 전면 침공을 개시하자 중국 문단에서는 민족의 구망(救亡)이 그 어떤 것보다 우선한다는 항전 담론이 주류를 차지하게 된다. 이때 량스추는 《중앙일보(中央日報)》 〈편집자의 말〉에서 “우리는 항전과 관련된 제재를 가장 환영합니다. 하지만 항전과 무관한 제재라도 진실하고 유창하다면 괜찮으며, 억지로 항전이라는 말을 떼어다 붙일 필요는 없습니다”라며 항전은 하나의 제재일 뿐 절대적으로 좇아야 하는 가치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위대한 문학의 요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고정적이고 보편적인 인성에 기초해야 하며, 인간의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우러나오는 감정과 사상이어야 합니다”라면서 문학에서 중요한 것은 제재의 문제가 아니라 작가의 태도와 작품의 재질에 달려 있음을 강조했다. 이른바 ‘항전무관론’으로 인해 그는 문예계에서 공격 대상이 됐다. 결국 그는 논쟁을 중단하고 《아사소품》 산문 창작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보편적 인성에 대한 가치를 찾으며, 자신의 문학관을 간접적으로 표현했다. 이후 1946년 량스추는 충칭을 떠나 베이징으로 돌아가 베이징사범대학에서 교편을 잡지만, 국공내전(國共內戰)이 격렬해짐에 따라 홍콩을 거쳐 광저우(廣州)로 가서 중산대학(中山大學)에서 교편을 잡다가 1949년에 타이완으로 이주했다. 그는 타이완에 정착한 뒤 타이완사범대학 영문과에 재직하면서 교육과 산문 창작, 사전 편찬 및 번역 작업 등에 매진했다. 1966년 정년퇴직 후 그는 미국과 타이완을 오가며 노년을 보내다 1987년 11월 3일 타이베이에서 향년 84세로 별세했다.
그는 일생 동안 2000여 만 자에 달하는 글을 남겼는데, 주요 저작으로 ‘아사(雅舍)’ 계열로 대표되는 산문집과 《편견집(偏見集)》, 《추실잡문(秋室雜文)》, 《괴원몽억(槐園夢憶)》 등이 있고, 《원동영한대사전(遠東英漢大辭典)》을 주편(主編)했다. 또한 그는 번역 대가로서 미국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2년 뒤인 1928년에 맥스 비어봄(Max Beerbohm)의 《행복한 위선자(The Happy Hypocrite)》를 번역한 이래 1968년 《셰익스피어 전집》 40권을 완역해 서양의 각종 소설, 산문, 시, 희곡 등 장르에 걸쳐 방대한 번역 성과를 남겼다.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