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국태
부평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을 만나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로 있으며 우리의 언어문화와 교육문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소통의 미학을 추구하고 언제나 배우는 학생의 자리를 취한다.
김기용
대학과 대학원에서 성악과 음악교육을 공부하고 대부분 음악과 관련된 일을 했으나 지금은 석남초등학교에서 꼬마들을 가르치는 일을 업으로 삼고 있다. 아마 나이로 볼 때 인생의 더 다른 굴곡은 없으리라 생각하지만 누가 아는가? 어느 날 벼락처럼 또 다른 인연을 내리실는지…. 그때마다 감사할 뿐이다. 언제나 웃음으로 나를 치유해주는 꼬마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김진숙
1993년부터 중학교, 특성화고등학교, 일반계고등학교를 두루 돌며 다양한 아이들을 만나다가 현재는 남동고등학교에서 3학년 담임을 맡고 있다. ‘국어’를 통해 ‘사람’과 ‘삶’에 대해 가르치고 배우면서, 다채로운 빛깔의 추억을 아이들과 함께 엮어 나가는 중이다. 사람 사는 세상, 아름다운 삶을 고민하며 싸우는 ‘영원히 꿈꾸는 철부지’다.
이수석
석남중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오히려 더 많은 것을 배우고 있다. 흐르는 물처럼 공부하고 대지의 바위처럼 고집스럽게 살자는 믿음으로 그 무언가를 모색하는 현재진행형 인간이다. 쓴 책으로 《춤추며 지저귀며 배우며》, 《교과서를 만든 철학자들》 외 다수가 있다.
이승배
상정고등학교 영어교사이다. 전근대적인 교육에 가슴 아파하며 자유와 책임이 따르는 교육 모델을 보고 싶어 영국에서 공부했으나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 실망해 돌아왔다. 우리에게 맞는 교육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탐구하는 중이며 교육과 복지에 관심이 많다.
이정숙
동수초등학교에 몸담고 있다.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로, 언어문화를 연구한다. 늘 소통에 좌절하면서도 사람과 자유를 찾아 떠난다.
임병구
1989년 학교에서 학생들을 만난 후,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활동으로 두 번 해직, 두 번 복직했다. 현재 인천시교육청 장학관과 리뷰인천 편집위원으로 있다. 귀가 두 개고 입이 하나인 자연의 지혜를 실천하고 있다.
<꿈, 지금 꼭 정해야 하나요?>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