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이정우

    이정우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59년
  • 학력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 박사
    서울대학교 섬유고분자공학 학사
  • 경력 경희사이버대학교 교수
    어시스트윤리 경영연구소 소장
    철학아카데미 원장

2018.12.21.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1959년 충청북도 영동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공학, 미학, 철학을 공부했고, 아리스토텔레스 연구로 석사학위를, 미셸 푸코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8년에 서강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이 시절 『담론의 공간』(1994)과 『가로지르기』(1997)에서 ‘객관적 선험철학’(또는 ‘담론학’)을 주창했다. 1998년 서강대학교 교수직을 사임한 이후 『인간의 얼굴』(1999), 『시뮬라크르의 시대』(1999), 『삶, 죽음, 운명』(1999), 『접힘과 펼쳐짐』(2000), 『주름, 갈래, 울림』(2001) 등의 저작들을 통해, ‘객관적 선험철학’을 한편으로는 역사와 문화에 관한 이론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자연과 존재에 관한 이론으로 확장했다. 2000년에는 최초의 대안철학학교인 철학아카데미를 창설해 철학 연구와 시민 강좌에 몰두했으며, 이 시기에 『기술과 운명』(2001), 『개념-뿌리들』(2004), 탐독』(2006)『세계의 모든 얼굴』(2007) 등의 저작들을 펴냈다.
현재 소운은 2008년에 문을 연 소운서원에서 집필과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아울러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PAIDEIA(시민철학대학) 학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작으로는 『신족과 거인족의 투쟁』(2008), 『천 하나의 고원』(2008), 『주체란 무엇인가?』(2009) 등이 있으며, 현재는 ‘세계철학사 3부작’(『지중해세계의 철학』, 『아시아세계의 철학』, 『근현대 세계의 철학』) 및 정치철학적 저작들(『진보의 새로운 조건들』, 『소수자 정치학』, 『사건의 정치학』)을 집필하는 데 몰두하고 있다.
현재 소운은 2008년에 문을 연 소운서원에서 집필과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아울러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교수, PAIDEIA(시민철학대학) 학장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저작으로는 『신족과 거인족의 투쟁』(2008), 『천 하나의 고원』(2008), 『주체란 무엇인가?』(2009) 『세계철학사 1 : 지중해세계의 철학』(길, 2010) 등이 있다. 현재는『세계철학사 2 : 아시아세계의 철학』과『소수자 정치학』을 집필하고 있다

<사건의 철학> 저자 소개

이정우 작품 총 7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