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도지영

    도지영 프로필

  • 학력 연세대학교 대학원 국제통상학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 경제학
  • 경력 번역 에이전시 엔터스코리아 출판 기획 및 전문 번역가

2017.03.17.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1922년 미국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창간하여 2022년 100주년을 맞은 HBR은 비즈니스 현장은 물론 학계에서도 독보적인 영향력을 인정받는 세계 최고 권위의 경영 저널이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는 HBR을 두고 “경영 담론의 의제를 거의 혼자 힘으로 정해버리는 매체”라고 평가한 바 있다. HBR의 위상은 숫자로도 입증된다. 영어판 이외에도 13개의 언어로 발행되며, 2022년 기준 35만 명의 유료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부터 동아일보가 번역과 편집을 맡아 미국과 동시에 격월간으로 발간하고 있다.

현대 경영학의 주요 트렌드를 만들어온 세계적 중심지로서 HBR에 처음 소개되어 주류 이론으로 떠오른 사례는 무수히 많다. 특히 김위찬, 르네 마보안의 ‘블루오션 전략’(Blue Ocean Strategy)은 2005년부터 대중적 인기를 얻었지만, 핵심 아이디어는 이미 1997년부터 HBR에 소개됐다. 또한 클레이튼 크리스텐슨의 ‘파괴적 혁신’(Disruptive Innovation), 마이클 해머의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 역시 HBR 기사로 시작해 글로벌 스탠더드가 되었다. 마이클 포터의 ‘전략이란 무엇인가?’(What is Strategy?)는 전세계 수많은 MBA의 필독 기사로 채택되기도 했으며, 피터 드러커, 게리 하멜 같은 저명한 경영학자들이 HBR을 통해 이름을 알렸다. HBR은 학문과 기업을 잇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최고 권위의 학술지 SSCI(Social Sciences Citation Index)에 등재되어 학문적 공신력을 갖추면서도, 경영 현장에서 오랫동안 신뢰를 얻고 있다. 경영학 이론을 기업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쉽게 풀어내고, 경영자와 임직원들이 마주한 고민과 해결 방안을 시의적절하게 다루기 때문이다.

아디 이그네이셔스(Adi Ignatius)는 2009년 편집장으로 취임하면서 디지털 시대의 도전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했다. 멀티플랫폼 전략을 통해 인쇄 잡지라는 전통적인 매체의 한계를 넘어 현대적인 경영 지식 플랫폼으로 변신을 시도한 것이다. 현재 소셜 미디어 팔로워는 2,800만 명, 웹사이트 월 방문자 수는 1,000만 명에 달하며 다양한 독자층을 확보했다. 또한 HBR 아이디어캐스트(IdeaCast)와 같은 팟캐스트를 통해 오디오 콘텐츠 시장에 진출하여 바쁜 경영인들이 이동 중에도 HBR의 통찰력을 접할 수 있게 했다. HBR은 지금도 전통적인 독자층인 고위 경영진뿐만 아니라 미래의 리더와 젊은 전문가들에게도 성공적으로 다가가 함께 호흡하며 진화 중이다."

<HBR, 위대한 통찰> 저자 소개

도지영 작품 총 10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