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임진왜란과 한중관계』 『광해군』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 『병자호란 1, 2』 『16세기, 성리학 유토피아』(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광해군 대의 대북세력과 정국의 동향」, 「19세기 전반 반봉건 항쟁의 성격과 유형」, 「‘재조지은’과 조선후기 정치사」 등이 있다. 첫 저서 『임진왜란과 한중관계』로 2000년 제25회 월봉저작상을 받았다./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처음 읽는 부여사』 『단군, 만들어진 신화』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아틀라스 한국사』(공저) 『한국생활사박물관』(공저)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공저) 『아! 그렇구나 우리 역사』(공저) 『타임캡슐 우리 역사』(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고조선 국가형성 과정 연구」 「고조선·부여의 국가 구조와 정치 운영」 등이 있다./대구가톨릭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신라상고사연구』 『아! 그렇구나 우리 역사』(공저)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울진봉평신라비의 재검토」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사료 계통과 그 성격」 등이 있다./서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경희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고구려 정치사 연구』 『우리 역사 속 왜』(공저) 『동북아시아 선사 및 고대사 연구의 방향』(공저) 『온달, 바보가 된 고구려 귀족』(공저) 『부여사와 그 주변』(공저) 『고구려 왕릉 연구』(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고구려 왕호의 변천과 성격」 「남북조기 한중 책봉-조공 관계의 성격」 등이 있다./가톨릭대학교 인문학부 국사학전공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고려시대의 국가와 지방사회』 『고려사 형법지 역주』 『송원시대의 고려사 자료 1, 2』(공저) 『월령과 국가』(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12세기 초 고려의 개혁 추진과 정치적 갈등」 「고려 전기 사회적 분업 편성의 다원성과 신분·계층 질서」 등이 있다./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고려 전기의 재정 구조』 『북한의 한국사 인식 1, 2』(공저)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공저) 『역대 중국의 판도 형성과 변강』(공저)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개방성과 고려, 그리고 현재의 동아시아」 「중세고고학의 발전과 고려사 연구」 등이 있다./연세대학교 사학과 교수. 연세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조선 전기 정치사상사』 『고려 말 사대부의 정치사상 연구』 『목은 이색의 정치사상 연구』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고려 말 윤소종의 현실인식과 정치활동」 「대책문을 통해본 정몽주의 국방 대책과 문무겸용론」 「종법의 관점에서 본 고려 말 왕권 변동」 「고려 말 사대부의 일본인식과 문화 교류」 「원 제과(1333년)의 고려인·중국인 對策文 비교 연구」 등이 있다./한국국학진흥원 책임연구위원.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언제나 민생을 염려하노니』 『대동법, 조선 최고의 개혁』 『왜 선한 지식인이 나쁜 정치를 할까』 등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 「반계 유형원의 전제개혁론과 그 함의」 「조선시대 공물분정 방식의 변화와 대동의 어의」 등이 있다.
<쟁점 한국사: 전근대편>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