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혜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협동과정 음악교육전공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며 이론과 실제 적용이 가능한 음악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졸업 후 일본 동경예술대학교에서 음악 교육을 전공했고, 성균관대학교에서 예술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9 개정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 · 고등 음악 교과서를 집필했다. 한국예술연구소에서 ‘평생 예술교육 확대 방안 연구’(2021),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 영재교육원에서 ‘국가 예술 영재 성장 발달 종단 연구’(2023), 일본 문부성 프로젝트 ‘자국 및 다양한 음악 문화의 학습과 음악 아이덴티티 형성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2024)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음악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전통음악 교육의 게이미피케이션 적용 연구”(2023), “인간과 생성형 인공지능의 협업 ”(2024) , “LT협동학습을 적용한 초등 국악 창작 수업 설계 원리 개발 연구”(2025) 등 많은 논문을 등재 학술지에 게재했다.
정영선
부산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강사다.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를 수료했다. 학부 시절 한국 음악 작곡을 전공했으며 국악 교육과 창작 영역을 연계해 다수의 현장 중심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창의적이고 신박한 교실 국악 수업 가이드》(2025), 《단계별 시창과 청음: 16주 완성 편》(2023) 등이 있다. “국립국악원 국악 디지털 음원ᐨ국악기 음색을 활용한 <수업 종 만들기> 창작 지도”(2023), “인간과 생성형 인공지능의 협업: 고등학교 음악 수업에서 브이로그 제작 지도(2024)” 등을 등재 학술지에 게재했다. 서울시교육청 연구정보원에서 진행하는 ‘생태전환교육을 기반으로 한 VR 활용 융합프로그램 설계’(2023) 연구에 참여했다.
<AI와 국악 창작 교육>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