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김호영

    김호영 프로필

  • 국적 대한민국
  • 학력 고등사회과학연구원 영화학 박사 학위
    프랑스 파리8대학 문학 박사
    서강대학교 불어불문학과
  • 경력 한양대학교 프랑스언어문화학과 교수

2019.01.04.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형 장 피에르 다르덴(1951~)과 동생 뤽 다르덴(1954~)은 벨기에 리에주 지방 산업도시인 세랭에서 태어났다. 장 피에르는 배우가 되기 위해 다니던 브뤼셀의 방송예술연구소Institut des Arts deDiffusion에서 극작가이자 시인, 감독인 아르망 가티를 만나면서연출에 관심을 갖게 됐다. 철학을 공부하던 뤽은 형을 따라 아르망 가티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장 피에르와 뤽은 1975년 다큐멘터리 제작사 데리브Dérives를 설립하고, 벨기에 세랭 지역민들을 담아낸 다큐멘터리를 제작 및 연출했다. 다큐멘터리 형식에 한계를 느낀 다르덴 형제는 1986년 영화 〈거짓Falsch〉을 연출하면서 극영화에 진출했다. 이후 연출한 영화 〈당신을 생각해요Je pense à vous〉(1992)가 기대만큼의 성공을 거두지 못하자, 1994년 영화제작사 레 필름 뒤 플뢰브Les Films du Fleuve를 설립해 소규모 예산으로 영화를 제작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새로운 방식을 동원해 연출한 영화 〈약속La Promesse〉(1996)이 칸영화제 감독주간에 소개되고, 〈로제타〉가 1999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면서 전 세계적인 인정을 받았다. 그 뒤 영화 〈아들〉 〈더 차일드〉 〈로나의 침묵〉 〈자전거 탄 소년〉 〈내일을 위한 시간〉 〈언노운 걸〉 〈소년 아메드〉 〈토리와 로키타〉를 발표했다. 칸영화제에서 두 차례의 황금종려상과 심사위원대상, 감독상, 각본상을 받았으며, 2022년에는 칸영화제 75주년 특별기념상을 수상했다. 2024년 8월부터 차기작을 촬영할 예정이다./형 장 피에르 다르덴(1951~)과 동생 뤽 다르덴(1954~)은 벨기에 리에주 지방 산업도시인 세랭에서 태어났다. 장 피에르는 배우가 되기 위해 다니던 브뤼셀의 방송예술연구소Institut des Arts deDiffusion에서 극작가이자 시인, 감독인 아르망 가티를 만나면서연출에 관심을 갖게 됐다. 철학을 공부하던 뤽은 형을 따라 아르망 가티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장 피에르와 뤽은 1975년 다큐멘터리 제작사 데리브Dérives를 설립하고, 벨기에 세랭 지역민들을 담아낸 다큐멘터리를 제작 및 연출했다. 다큐멘터리 형식에 한계를 느낀 다르덴 형제는 1986년 영화 〈거짓Falsch〉을 연출하면서 극영화에 진출했다. 이후 연출한 영화 〈당신을 생각해요Je pense à vous〉(1992)가 기대만큼의 성공을 거두지 못하자, 1994년 영화제작사 레 필름 뒤 플뢰브Les Films du Fleuve를 설립해 소규모 예산으로 영화를 제작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새로운 방식을 동원해 연출한 영화 〈약속La Promesse〉(1996)이 칸영화제 감독주간에 소개되고, 〈로제타〉가 1999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하면서 전 세계적인 인정을 받았다. 그 뒤 영화 〈아들〉 〈더 차일드〉 〈로나의 침묵〉 〈자전거 탄 소년〉 〈내일을 위한 시간〉 〈언노운 걸〉 〈소년 아메드〉 〈토리와 로키타〉를 발표했다. 칸영화제에서 두 차례의 황금종려상과 심사위원대상, 감독상, 각본상을 받았으며, 2022년에는 칸영화제 75주년 특별기념상을 수상했다. 2024년 8월부터 차기작을 촬영할 예정이다./1938년 파리에서 태어났다. 프랑스의 영화잡지 〈포지티프Positif〉에서 오랫동안 편집위원 및 편집장으로 활약했다. 스탠리 큐브릭, 테오 앙겔로풀로스, 엘리아 카잔 등에 대한 책을 집필했으며, 1990년부터 2016년까지 프랑스 퀼튀르 라디오방송을 진행하면서 영화를 깊이 있게 논의했다. 1994년 칸영화제에서 ‘영화 글쓰기 분야에서 재능을 발휘한 인물’에게 수여되는 모리스 베시상을 받았다. 2023년 11월 13일,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서강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8대학에서 문학 박사학위를, 고등사회과학연구원(EHESS)에서 영화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양대학교 프랑스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시간은 다른 얼굴로 되돌아온다』 『프레임의 수사학』 『아무튼, 로드무비』 『영화관을 나오면 다시 시작되는 영화가 있다』 『영화이미지학』 『프랑스 영화의 이해』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조르주 페렉의 『보통 이하의 것들』 『인생 사용법』 『공간의 종류들』 『어느 미술애호가의 방』, 오노레 드 발자크의 『미지의 걸작』, 자크 오몽의 『영화 속의 얼굴』, 장 자크 상페의 『얼굴 빨개지는 아이』 등이 있다.

<다르덴 형제 : 인간을 존중하는 리얼리즘> 저자 소개

김호영 작품 총 4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