홉킨스는 살아생전 단 한 권의 시집도 내지 못했다. 그러나 캐럴 루이스는 그를 현대시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고 평했고 비평가 리비스는 “지금껏 가장 뛰어난 기교 창안자의 한 사람이며 일류 시인”이라고 극찬했다. 시대를 너무나 앞서 나갔던, 빅토리아 시대의 가장 위대한 종교 시인 홉킨스의 시를 모았다.
-
제라드 맨리 홉킨스(Gerard Manley Hopkins, 1844∼1889)는 영문학사에서 17세기의 대시인 밀턴 이후 가장 높이 평가되는 종교 시인이다. 그는 평생 자신을 시인이라기보다는 가톨릭 사제로 여겨 신앙 본분에 충실하며 살았고 시는 거부할 수 없는 그의 시적 재능의 발현으로 수확한 일종의 신앙적 결과물 같은 것이었다. 이른바 ‘사제 시인’으로 불리는 그는 사제 수련을 받던 7년여 기간을 제외하면 평생 시 쓰기를 계속했고 그러는 동안 새로운 시를 실험하고 창작함으로써 동시대 시인들의 전통적 시법을 넘어서는 자신만의 시학을 구축했다. 그러나 그가 살았던 빅토리아 시대 후반기의 예술적 상황에서 그의 시는 이해하기 어려운 ‘기벽’이라고 무시되었고, 결국 그는 평생 단 한 권의 시집도 내지 못했다. 종종 잡지에 기고한 그의 시들은 ‘난해하다’는 이유로 게재가 거부되었고, 가장 가까운 친구이며 문학 동지였던 시인 로버트 브리지스(Robert Bridges)도 그의 시를 두고 ‘희한하다’는 비호의적 평가를 내렸다. 그럼에도 홉킨스는 자신이 쓴 시들을 꾸준히 브리지스에게 보내 평가를 요구하곤 했다. 브리지스는 이 시들을 모아 두었다가 홉킨스가 죽은 지 29년 후인 1918년 자신의 견해를 담은 서문과 헌시를 첨부해 ≪제라드 맨리 홉킨스 시집(Poems of Gerard Manley Hopkins)≫을 출간했으며 이를 계기로 그는 조금씩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브리지스가 출간한 홉킨스의 첫 시집은 750부가 발행되었으나 이후 10년 동안에도 다 팔리지 않았다. 그러나 1930년 찰스 윌리엄스(Charles Williams)가 열정적인 서문과 함께 두 번째 홉킨스 시집을 출간했을 때 비평계는 그에 대해 보다 진지하고 적극적인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 시집은 매우 반응이 좋아 단기간에 10회나 출판을 거듭했다.
홉킨스의 시에 대한 문학적 평가는 모더니즘 문학이 주류를 이루던 1930년대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시인이며 비평가였던 루이스(C. D. Lewis)는 현대시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한 작가로 오언(Wilfred Owen), 엘리엇(T. S. Eliot), 그리고 홉킨스 세 사람을 지목했으며, 비평가 리비스(F. R. Leavis)는 홉킨스를 두고 “지금껏 가장 뛰어난 기교 창안자의 한 사람이며 일류 시인”이라고 극찬하고 그를 후대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빅토리아 시대의 시인으로 자리매김했다. 일부 다른 비평가들은 그가 남긴 많지 않은 작품들만으로도 홉킨스는 빅토리아 시대의 대시인인 브라우닝(Robert Browning), 테니슨(Alfred Tennyson), 그리고 아널드(Matthew Arnold)에 필적하는 위대한 시인이라고 예찬했다. 그의 시에 대한 당시 반응은 이 시기에 발간된 ≪페이버 현대 시집(The Faber Book of Modern Verse)≫에서도 잘 나타나는데, 편집자인 마이클 로버츠(Michael Roberts)는 여기에 <도이칠란트 호의 난파> 전편을 포함한 홉킨스의 시 13편을 수록한 데 반해, 예이츠의 시는 8편, 엘리엇의 시는 5편을 수록했다. 1948년 가드너(W. H. Gardner)는 매우 치밀한 연구를 거친 끝에 ≪제라드 맨리 홉킨스 시집(The Poems of Gerard Manley Hopkins)≫ 제3판을, 1967년에는 홉킨스의 독자 및 연구자들이 최근까지 정전으로 사용해 온 제4판을 출간했다. 가드너는 여기에 홉킨스의 완성 작품 외에도 그의 노트 등에서 발견된 미완성 시, 단편적인 시행, 라틴어 및 그리스어로 쓰인 시 등 모두 183편을 수록하고 권미에 풍부한 주석도 첨부했다. 1974년엔 국제 홉킨스 학회(International Hopkins Society)가 정식 출범했고 계간지 ≪홉킨스 쿼터리(Hopkins Quarterly)≫를 통해 그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지금까지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