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오장환 시선 초판본 상세페이지

오장환 시선 초판본작품 소개

<오장환 시선 초판본>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시인 오장환(1918∼1951)은 1933년 11월 ≪조선문학≫에 시 <목욕간>을 발표함으로써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가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전개하던 1930년대 중·후반은 일제 파시즘의 폭압이 극심해짐에 따라 집단적인 문학 운동이 점차 불투명해지는 시기에 해당한다. 1935년에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을 주도해 가던 카프가 일제의 탄압에 의해 강제 해산됨으로써, 당시 문단에서는 불안과 위기의식이 고조해 간다. 이 시기와 맞물려 대표적인 모더니스트인 김기림은 기교에 편중해 전개되어 온 모더니즘 문학의 한계를 반성하면서 내용과 형식이 통일된 전체로서의 시를 주장한다. 이처럼 일제 파시즘에 대해 이념적이고 집단적인 투쟁이 가능하지 않은 시점에서 기존과는 다른 방법론이 모색되었으며, 특히 소설보다 다양한 유파의 시가 산출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때 오장환은 이용악, 김광균 등과 함께 새로운 세대의 출현을 예고하는 시인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는 당대 문단에서 김기림 등 모더니즘 시인뿐만 아니라 임화와 같은 프롤레타리아 문학가에게서도 조명을 받는다. 김기림은 오장환의 첫 시집인 ≪성벽≫에 대해 “현대의 지식인의 특이한 감정을 표현”했다고 평가하면서 “새 ‘타입’의 서정시를 세웠다”고 극찬한다(<≪성벽≫을 읽고>, ≪조선일보≫, 1937. 9. 18). 그리고 임화는 특별히 오장환의 시에 많은 부분을 할애하면서, 그의 시가 “생(生)이 그냥 슬픔인 현대 서정시의 중요한 측면”을 표현했고 “내면적으로 일반 세계와 관계”하고 있다고 말한다(<시단의 신세대>, ≪조선일보≫, 1939. 8. 18).
오장환은 1988년 해금 조치가 이루어지기까지 월북 작가로 분류되면서 연구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공개되지 못했다. 그는 1951년 신장병으로 죽기 전에 북한에서 ≪붉은 기≫라는 제5시집을 출간한 바 있으나, 북한에서도 그에 대해 평가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랜 일이 아니다. 그전까지 오장환은 남과 북의 이념 갈등으로 인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그 경계에 방치되어 있었던 것이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오장환의 문학은 단순히 이념의 잣대로 접근할 수 없으며, 한국 문학사에서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오장환의 문학이 정당한 평가를 받고 그 본래의 위치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해방 전까지 그는 철저한 ‘비애’의 시인이었다. 그는 현실에서 오는 울분과 좌절을 ‘비애’로 토로하기도 하고, 그를 둘러싼 현실의 모순을 ‘비애’로 대응하기도 하고, 현실의 이면에 숨겨진 근원적인 것을 ‘비애’로 발견하기도 했다. 초기 그의 두 시집인 ≪성벽≫과 ≪헌사≫는 이러한 비애의 다양한 방법론을 적절하게 보여 준다. 그리고 오장환의 ‘비애’는 폐허 의식과 연결되면서 민족적인 비애를 문명사적인 차원에서 파악하려 했고, 그 결과 그는 민족의 비극을 극복할 새로운 문명의 도래를 예감했다. 그리하여 오장환은 해방 후 인민이 주인이 되는 나라를 부르짖으며 조선문학가동맹에 참여했는지도 모른다.
어쨌든 오장환은 현실과의 접점을 가진 비애를 통해 현대 서정시의 새 영역을 개척했으며 ‘장시’의 실험을 통해 시의 현실적 응전의 가능성을 십분 발휘했다는 점에서 충분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생전 그는 ‘자신의 노래가 끝나는 날 무덤에 아름다운 꽃이 피리라’(<나의 노래>)라고 했으나, 이제 그의 노래는 1930년대의 암담한 무덤을 딛고 아름다운 꽃으로 피어 있다. 어쩌면 이처럼 시인은 미래의 삶을 살다 갔는지도 모른다. 이 선집을 통해 일반 독자들에게 오장환의 시가 더욱 가까이 다가서고 널리 알려졌으면 한다.


저자 프로필

오장환

  •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918년 5월 5일 - 1951년
  • 학력 메이지대학교 전문부
  • 경력 문학 대중화운동위원회 위원
  • 데뷔 1933년 시 '목욕간'

2014.10.31.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오장환(吳章煥)은 1918년 5월 충북 보은군 회인면 중앙리에서 해주 오씨 오학근(吳學根)의 3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한학수(韓學洙)는 오학근의 첩실로 들어왔으나 본처인 이민석(李敏奭)이 사망함에 따라 적실(嫡室)로 재혼 신고되었고, 오장환 또한 적출로 재신고되어 4남 4녀 중 3남이 되었다. 그는 안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수업료를 내지 못해 정학 처분을 받았다. 이해 1933년 11월 오장환은 15세의 어린 나이로 ≪조선문학≫에 시 <목욕간>을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그 후 오장환은 일본으로 건너가서 도쿄에 있는 지산(智山)중학교에 입학·수료했으며, ≪시인부락≫, ≪낭만≫ 동인으로 참여하면서 본격적인 문단 활동을 시작한다. 그는 1937년 일본 메이지(明治)대 전문부 문예과 별과에 입학했으나, 곧 귀국해 ≪자오선≫ 동인으로 활동했다. 그의 첫 시집인 ≪성벽≫은 1937년 8월 풍림사에서 간행되었으며, 이 시집의 발행으로 오장환은 서정주, 이용악과 함께 ‘시단의 세 천재’로 화려한 주목을 받는다. 그 뒤 그는 자신이 경영하던 남만서방(南蠻書房)에서 두 번째 시집인 ≪헌사≫를 1939년 7월에 발간했으며, ≪삼천리≫, ≪문장≫, ≪춘추≫ 등에 이따금 작품을 발표하면서 일제 말기까지 문단 활동을 이어 나간다.
오장환은 지병인 신장병으로 8·15 해방을 서울대학부속병원에서 맞이했다. 특히, 당시에 창작되어 1946년 정음사에서 발간된 그의 세 번째 시집 ≪병든 서울≫은 해방 이후에도 식민지 잔재를 청산하지 못하고 새로운 이념적 갈등에 휩싸인 해방 공간의 상황을 사실적으로 보여 준다. 이러한 국면을 타개하고 인민에 의해 건설되는 민주공화국을 꿈꾸던 오장환은 1946년 2월 임화, 김남천과 함께 ‘조선 문학가동맹’에 가담해 활동한다. 그리고 그는 러시아의 민중 시인 세르게이 예세닌의 시집을 번역해 간행하기도 했으며, 1947년 헌문사에서 네 번째 시집인 ≪나 사는 곳≫을 간행하기도 한다. ≪나 사는 곳≫은 ≪병든 서울≫ 이후에 간행되었으나 시기적으로 일제 말기에 쓴 작품이라는 점에서, ≪성벽≫과 ≪헌사≫에서 보이는 상실된 고향에 대한 서정성을 잘 녹여 내고 있다.
하지만 해방 이후 새로운 공화국을 꿈꾸던 열망이 국토 분단에 의해 좌절되면서, 그는 월북을 감행할 수밖에 없었다. 월북 이후 오장환은 북한에서도 작품 활동을 이어 나갔고, 소련 기행 체험을 담은 제5시집 ≪붉은 기≫를 발간했다. 그다음 해인 1951년, 오장환은 지병인 신장병으로 사망했으며, 1988년 납·월북 작가의 해금 조치가 이루어지기까지 남한에서 잊힌 시인으로 남아 있었다. 이후 처음으로 ≪오장환 전집≫(최두석 편, 창작과 비평사, 1989)이 간행되고 그의 미발표 유고인 장시 <전쟁>과 <황무지>가 발굴·공개됨으로써, 오장환의 문학에 대한 평가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호영(崔虎永)은 1982년 경남 창녕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독어독문학과 및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이후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를 졸업하고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에서 조교로 활동하면서, 홍익대학교에서 국어와 시를 가르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김수영의 ‘몸’의 시학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김수영 시에 나타난 자연 인식과 미학적 변주>(≪문학과 환경≫ 9권 1호, 2010), <이상 문학에 나타난 주체의 존재론적 일고찰>(≪관악 어문 연구≫ 35집, 2010), <이장희 시에 나타난 ‘우울’의 미학과 모성적 정치성>(≪한국 시학 연구≫ 32집, 2011), <전봉건의 ‘사랑’의 노래와 전통의 현대적 변용>(≪한국 시학 연구≫ 35집, 2012)이 있으며, 일본 아방가르드 미학과 정치성의 관계를 다룬 ≪월경의 아방가르드≫(서울대출판문화원, 2013년 8월 출간 예정)를 번역하고 있다. 현재 1920년대 전후 동인지 시인을 일본 메이지기 구어 자유 시인들과 비교하면서 그들이 근대적인 의미를 넘어 시를 어떻게 이해하고 시를 가지고 무엇을 하려고 했는가에 대한 박사 학위 논문을 준비 중이다.

목차

≪성벽(城壁)≫
月香九天曲
旅愁
海港圖
漁浦
黃昏
城壁
傳說
溫泉地
賣淫婦
古典
魚肉
毒草
鄕愁

花園
雨期
暮村
病室
湖水
姓氏譜

海獸

≪헌사(獻詞)≫
할렐루야
深冬
나의 노래
夕陽
體溫表
The Last Train
無人島
獻詞 Artemis
싸느란 花壇
北方의 길
喪列
永遠한 歸鄕
咏懷
寂夜
나포리의 浮浪者
不吉한 노래
荒蕪地

≪나 사는 곳≫
勝利의 날
초봄의 노래
鐘소리
밤의 노래
장마철
다시금 餘暇를…
다시 美堂里
구름과 눈물의 노래
絶頂의 노래
붉은 山
길손의 노래
노래
나 사는 곳
聖誕祭
省墓하러 가는 길
山峽의 노래
고향 앞에서
江물을 따러
봄노래
FINALE

≪병든 서울≫
八月 十五日의 노래
聯合軍人城 歡迎의 노래
病든 서울
入院室에서

이 歲月도 헛되이
共靑으로 가는 길
强盜에게 주는 詩
나의 길
어머니 서울에 오시다

≪붉은 기≫
붉은 기

시집에 수록되지 않은 시
首府
戰爭
夜街
宗家
旅程
歸蜀途
歸鄕의 노래
壁報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시문학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