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구자운 시전집 초판본 상세페이지

구자운 시전집 초판본작품 소개

<구자운 시전집 초판본> 지식을만드는지식 ‘초판본 한국시문학선집’은 점점 사라져 가는 원본을 재출간하겠다는 기획 의도에 따라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서 작가 100명을 엄선하고 각각의 작가에 대해 권위를 인정받은 평론가들을 엮은이로 추천했다. 엮은이는 직접 작품을 선정하고 원전을 찾아냈으며 해설과 주석을 덧붙였다.
각 작품들은 초판본을 수정 없이 그대로 타이핑해서 실었다. 초판본을 구하지 못한 작품은 원전에 가장 근접한 것을 사용했다. 저본에 실린 표기를 그대로 살렸고, 오기가 분명한 경우만 바로잡았다. 단, 띄어쓰기는 읽기 편하게 현대의 표기법에 맞춰 고쳤다.

구자운은 1950년대와 1960년대 우리 시문학사에서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 없는 주요한 시인이다. 서정주의 추천으로 ≪현대문학≫ 1955년 3월호에 시 <균열(龜裂)>을 비롯해 1956년 5월호에 <청자수병(靑磁水甁)>, 1957년 6월호에 <매(梅)>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추천이 완료된 시점이 31세였으니 46세로 작고할 때까지 단 15년 동안 시작 활동과 문필 활동을 한 셈이다.
≪현대문학≫에 추천이 완료되었을 당시 소감으로 밝힌 “우리는 순수 서정에 발디딤을 하여 민족 언어-시조로부터 이어 온 우리의 현대시를 이룩해야 한다”는 말도 그러하거니와, 구자운의 초기 시 세계는 1950년대 문단의 급박한 상황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1950년대 전후 문단 안팎의 사정이나 실존주의 문학론의 대두, 뉴크리티시즘의 유입과 후반기 동인들을 중심으로 한 모더니즘 문학론이 팽배하게 지배했던 이 시기는 초기 남한 문단의 형성 과정을 잘 보여 준다. 그러나 구자운의 경우, 1950년대 한국 시가 처한 역사적 질곡과 한국 시의 무너진 서정성을 회복해야 한다는 사명과 소임이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동양적인 사상적 틀과 그윽한 시적 정제미를 통해 한국 전통시의 기상이 단절된 참혹함을 복구하려고 애썼다.
구자운은 초기 문단의 형성 과정에서 미학적 완결성을 도자기, 꽃 등 자연과 전통적 즉물들에서 찾아 한국 현대시의 서정성을 회복하기 위해 애썼으며, 4·19 이후 당대 지식인으로서 혹은 한 세대의 시인으로서 세대론적 사명을 다하려고 평생을 바쳤다. ‘바다’의 상징이나 여성·모성적 시원에 대한 호출로 혼동만 난무한 현실 속에서 근원적 절대미와 삶의 질서를 찾으려고 했다. 그리고 말기에는 궁핍한 생활을 하면서도 자신의 시와 삶이 나아가야 할 절대미의 세계를 학을 통해 구체화하려고 애쓰기도 했다. 그러므로 구자운의 시 세계는 ‘고기(古器)’-‘바다’-‘모성’-‘학’을 이동 경로로 취하고 있으며, 시인은 늘 분명히 의식하고 있는 완결된 세계를 지향해 왔고, 그의 시 세계는 그런 이상향에 대한 낭만성이라고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프로필

구자운

  • 국적 대한민국
  • 출생 1926년
  • 학력 1949년 동양외국어전문학교 노어과
  • 경력 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
    월간스포츠 편집장
    국제신보 상임 논설위원
    1955년 대한광업회 근무
  • 데뷔 1955년 현대문학 시 '군열'
  • 수상 1959년 제4회 현대문학 신인상

2015.08.20.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구자운(具滋雲, 1926∼1972, 부산 출생)은 ≪현대문학≫에 서정주의 추천으로 1955년 시 <균열>을 비롯해 1956년 <청자수병>, 1957년 <매>를 발표하며 등단했다. 1949년 동양외국어전문학교 노어과를 수료했으며 소아마비로 평생을 불구의 몸과 싸우며 시작에 전념했다. 생전에 한국의 바이런이라는 칭송을 들었으며, 1959년 제4회 ≪현대문학≫ 신인상을 수상하고 박성룡, 박재삼, 박희진, 성찬경 등과 ‘60년대 사화집’ 동인으로 활동했다.
1955년 대한광업회 근무, 1962년 국제신보 상임 논설위원, 1966년 월간스포츠의 편집장 등을 역임했고, 그 뒤로 번역과 출판물의 편집 등으로 생계를 이어 갔다. 1971년부터 한국현대시인협회 이사를 지낸 바가 있다. 저서로는 프린트판 시집 ≪처녀 승천(處女昇天)≫과 시집 ≪청자수병≫(삼애사, 1969)이 있고, 시인 민영이 편집한 시 전집 ≪벌거숭이 바다≫(창작과비평사, 1976)가 사후에 출간되었다.

박성준은 1986년 서울에서 태어나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석사를 졸업, 현재 박사 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2009년 ≪문학과 사회≫ 신인문학상에 시 <돼지표 본드> 외 3편으로 등단했고, 2013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서 평론 <모글리 신드롬-가능성이라 불리는 아이들>로 문단에 데뷔했다. 석사 논문으로는 <조정권 시의 문채 특징 연구>가 있으며, 저서로 시집 ≪몰아 쓴 일기≫(문학과지성사, 2012)와 산문집 ≪소울 반띵≫(멘토프레스, 2013), 앤솔러지 산문집 ≪시인의 책상≫(랜덤하우스코리아, 2013)이 있다.

목차

● 1부
墳土에서
벌거숭이 바다
濤聲
바다를 버린다
두 얼굴
有象의 거리에서
明暗
龍의 팔뚝
蟋蟀
가을 斷章
素材에서
多率寺 Ⅲ
多率寺 Ⅳ
梵鐘의 音響
木愛日記(抄)

바다로부터 오다
海女들의 겨울 구름
斷涯
木愛詩篇
靑春
도둑 日記
歸家

● 2부
質疑
靑磁水甁
葡萄圖
古器類聚

龜裂

古陶二品
蘭草紋甁
雲鶴紋 靑瓷甁
農家의 어둠
穢德
異香二首
慰問
大橋에서
禱歌
不眠症
움직여 돌아다니는 힘
地下道
墨蘭
秘唱
金貨

● 3부
우리들은 샘물에
젊은 짙은 피로써 물들인 큰길에서
親和

봄, 그리고 죽은 그들
禪榻秘話
너희들 잠에서 깨어날 때
네온싸인
默示

旅愁
不可思議한 공
漂流
밤의 노래
사람들 그 소리를 듣고
雪夜愁

墓碑銘
열리는 獄門에 기대어서
그대들 둘이서
信號
橫斷

● 4부
가을의 浮浪者
定型 小曲
아침잠
埠頭 小曲
일하는 者의 손에 대해서
通信
洗劍亭의 노래
오늘의 聖者
失職
續 失職
노래
鶴들
越南女
일하는 자와 일하지 않는자
밤길


‘가랑잎과 여자의 마음’에서
모두 다 떠나 버린 다음

해설
지은이에 대해
엮은이에 대해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한국시문학선집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