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서천 시문선집 상세페이지
소장
종이책 정가
18,800원
전자책 정가
20%↓
15,040원
판매가
15,040원
출간 정보
  • 2022.08.28 전자책, 종이책 동시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6만 자
  • 7.2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28858406
ECN
-
서천 시문선집

작품 정보

지만지한국문학의 <지역 고전학 총서>는 서울 지역의 주요 문인에 가려 소외되었던 빛나는 지역 학자의 고전을 발굴 번역합니다. ‘중심’과 ‘주변’이라는 권력에서 벗어나 모든 지역의 문화 자산이 동등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지역 학문 발전에 이바지한 지역 지식인들의 치열한 삶과 그 성과를 통해 새로운 지식 지도를 만들어 나갑니다.

나라 잃은 유학자의 고뇌
서천(西川) 조정규(趙貞奎, 1853∼1920)의 자(字)는 태문(泰文)이고, 본관은 함안이다. 서천(西川)은 그의 별호다. 조정규가 살았던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조선 사회는 계속되는 외세의 침범과 함께 서양 문물의 유입, 사상의 주입 등으로 변화가 컸던 시기였다. 특히 국권 피탈이라는 전대미문의 황당한 사건을 겪으며, 조선 사회는 혼란 그 자체였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그는 “종묘와 사직이 무너지고, 백성의 삶이 짓밟혔다”라고 통곡하고, 자고산으로 들어가 ≪춘추≫를 강론해 ≪주역≫의 이치를 완색했다. 그러다가 오랑캐가 어지럽힌 땅에서 희망을 찾을 수 없을 거라 여기고, 만주에 들어갈 뜻을 세웠다.

중국 체험의 시적 구현
그는 1913년과 1915년, 두 차례에 걸쳐 중국을 다녀온다. ≪서천선생문집≫에 수록된 그의 <북정시>와 <북정일록>은 이 중국 여행의 산물이다. 그는 1913년 4월 16일 마산항을 출발해 6월 29일 집으로 돌아와 한천재에 들어가기까지 총 74일간의 여정을 자세히 글로 남기고, 특기할 만한 경험을 시로 기록했다. 특히 일기에는 다녀갔던 장소와 인물에 대해서만 기록했던 반면, 한시에서는 다녀간 장소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그 공간과 한반도와의 연관성도 연상했다. 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만났던 인물들에 대한 기대 등도 한시로 표현했다. 이는 그가 평소 산문보다는 시를 선호하고, 또 시교설(詩敎說)의 입장에서 그가 체험한 것들을 남겨 후대의 교훈으로 삼고자 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현실과 유가 문명 재건의 필요성
서천의 중국 체험은 중국에 대한 그의 동경과 자손들을 안주시킬 수 있는 곳이라는 기대에서 비롯한 것이다. 그러나 그가 실제로 목격한 중국의 현실은 달랐다. 공맹의 학문이 면면(綿綿)할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상업을 우선으로 여기고 있는가 하면 서양의 학문을 더욱 숭상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중국은 내적인 혼란을 겪으면서 강상이 무너지고, 한 중국 안에서도 남과 북이 세력을 다투고 있었다. 조정규는 이러한 중국의 현실을 제삼자의 시각으로 냉정하게 바라보고 시를 통해 중국의 ‘민낯’을 폭로한다. 그리고 중국에 대한 실망을 딛고 유가 문명 재건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그것이 근대를 향해 달려가고 있던 시기, 외세에 의해 국권을 상실해 가는 위기에서 유학자로서 그가 선택한 국권 회복의 방법이었다.

작가 소개

조정규(趙貞奎, 1853∼1920)
서천(西川) 조정규의 자(字)는 태문(泰文)이고, 본관은 함안이다. 서천(西川)은 그의 별호다. 1853년 10월 17일에 함안 안도 유암리에서 태어났는데, 어려서부터 언행이 예사롭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효성이 지극했다. 학문은 대체로 가학의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이고, 성재(性齋) 허전(許傳, 1797∼1886)의 영향도 받은 것으로 보인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그는 “종묘와 사직이 무너지고, 백성의 삶이 짓밟혔다”라고 통곡하고, 자고산으로 들어가 ≪춘추≫를 강론해 ≪주역≫의 이치를 완색했다. 1913년부터 중국 서간도를 거쳐 북경, 산동 지역 등을 두루 여행하며 견문을 넓히고 동포들의 생활과 독립을 지원했다. 봉천성에 남아 있던 전후 5년간 질병을 얻어 환국했는데, 병이 위독하게 되자 손수 ‘충효문(忠孝門)’이라는 세 글자를 쓰고, 그 아래에 “자손들은 영원히 충성하고 효도하는 것으로 서로 전하라”라고 써 조카 용돈에게 주어 이를 당문(堂門)에 걸게 하고 마침내 절필(絶筆)했다.
경신년(庚申年, 1920) 7월 23일 신시(申時)에 창리(昌里) 본가에서 조용히 일생을 마쳤으니, 향년 68세였다. 서산 아래 구수동(九水洞) 해좌(亥坐)에 전부인 묘 우측에 안장했는데, 친지들과 문인들로 흰 두건과 띠를 맨 자가 43명이었고, 장례식에 모인 자가 1000여 명이었다.

전설련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종가연구팀 연구원으로 있다. 논문으로는 <백하일기(白下日記)의 서술 방식(敍述方式)과 그 문학적(文學的) 성격(性格)>, <서천 조정규의 중국 체험의 시적 구현과 그 의의>, <대눌(大訥) 노상직(盧相稷) 도강록(渡江錄) 소재 잡저(雜著)의 서술 특징과 만주 인식> 등이 있고, 역서로는 ≪안자(晏子)≫(바닷바람, 2019)가 있다.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지역 고전학 총서더보기

  • 가암 시집 (전익구, 김승룡)
  • 관복암 시고 (김숭겸)
  • 금강산 관상록 (구하, 최두헌)
  • 목재 시선 (홍여하, 최금자)
  • 개정판|양포유고 (최전)
  • 이재 시선 1 (황윤석, 이상봉)
  • 죽오 시선 (이근오)
  • 회봉 화도시선 (하겸진, 이영숙)
  • 후산 시문선집 (정재화, 정우락)
  • 경봉 시집 (정석, 최두헌)
  • 경와 시선 (엄명섭, 엄찬영)
  • 기락편방 (박상절, 백운용)
  • 무첨재 시선 (정도응, 최금자)
  • 신당일록 (조수도, 정우락)
  • 열상 기행 절구 (신필영, 표가령)
  • 예암 시선 (하우현, 김승룡)
  • 용만분문록 (양황, 이영숙)
  • 이재 시선 2 (황윤석, 이상봉)
  • 태재 시선 (유방선, 김승룡)

시 베스트더보기

  • 샤워젤과 소다수 (고선경)
  • 나 외계인이 될지도 몰라 (신이인)
  • 그대는 나의 여름이 되세요 (서덕준)
  • 무해한 복숭아 (이은규)
  • 손을 잡으면 눈이 녹아 (장수양)
  • 너는 나보다 먼저 꿈속으로 떠나고 (양안다, 최백규)
  •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한강)
  • 장르가 다른 핑크 (이예진)
  • 새 우정을 찾으러 가볼게 (박규현)
  • 살아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신경림)
  • 오래된 어둠과 하우스의 빛 (김연덕)
  • 음악집 (이장욱)
  • 순진한 삶 (장수진)
  •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는 법 (변혜지)
  • 누군가를 이토록 사랑한 적 (이병률)
  • 여름 언덕에서 배운 것 (안희연)
  • 당신의 안부 (장승진)
  • 우리는 별에서 시작되었다 (로베르토 트로타, 김주희)
  • 별의 노래 4 (김정훈)
  • 산뜻한 아침 (글자 마법사)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