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 공정무역, 왜 필요할까? (아드리안 쿠퍼, 전국사회교사모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2 테러, 왜 일어날까? (헬렌 도노호, 전국사회교사모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3 중국, 초강대국이 될까? (안토니 메이슨, 전국사회교사모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4 이주, 왜 고국을 떠날까? (루스 윌슨, 전국사회교사모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5 비만, 왜 사회문제가 될까? (콜린 힌슨, 김종덕)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6 자본주의, 왜 변할까? (데이비드 다우닝, 김영배)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7 에너지 위기 어디까지 왔나? (이완 맥레쉬, 박미용)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8 미디어의 힘, 견제해야 할까? (데이비드 애보트, 이윤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9 자연재해,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길은? (안토니 메이슨, 선세갑)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0 성형수술, 외모지상주의의 끝은? (케이 스티어만, 김아림)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1 사형제도, 과연 필요한가? (케이 스티어만, 김혜영)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2 군사 개입, 과연 최선인가? (케이 스티어만, 이찬)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3 동물실험, 왜 논란이 될까? (페이션스 코스터, 김기철)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4 관광산업, 지속 가능할까? (루이스 스필스베리, 정다워)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5 인권, 인간은 어떤 권리를 가질까? (은우근, 조셉 해리스)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6 소셜 네트워크, 어떻게 바라볼까? (로리 하일, 강인규)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7 프라이버시와 감시, 자유냐 안전이냐? (캐스 센커, 이주만)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8 낙태, 금지해야 할까? (재키 베일리글, 정여진)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9 유전 공학, 과연 이로울까? (피트 무어, 서종기)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20 피임, 인구 조절의 대안일까? (재키 베일리글, 장선하)
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7 프라이버시와 감시, 자유냐 안전이냐?
작품 정보
프라이버시권은 인간의 모든 권리의 기초이자 전제가 되는 기본적인 인권으로서, 어떠한 간섭으로부터도 방해받지 않고 홀로 있을 수 있는 심리적·물리적 공간을 의미합니다. 그런데 현대 사회에서는 이처럼 중요한 권리가 제대로 보호되지 않고 있으며,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의 경우 개인의 사생활이나 개인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서, 국가나 공동체의 이익이 우선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일방적으로 침해당하는 사례가 매우 많습니다.『세상에 대하여 우리가 더 잘 알아야 할 교양 17 - 프라이버시와 감시』에서는 프라이버시가 침해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혹시 이미 침해받고 있는 것은 아닌지 점검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습니다. 내 프라이버시권의 주인은 나라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이를 지킬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