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Kim Si-seup's Poetry Book 2(김시습 시집 2) 상세페이지

Kim Si-seup's Poetry Book 2(김시습 시집 2)

한글+영문판

  • 관심 0
소장
전자책 정가
3,000원
판매가
3,000원
출간 정보
  • 2023.08.25 전자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1.7만 자
  • 10.9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39013559
ECN
-
Kim Si-seup's Poetry Book 2(김시습 시집 2)

작품 정보

김시습은 시로써 자신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에 시를 쓰는 행위 자체를 중요하게 여겼다. 따라서 그가 남긴 한시 들은 그의 전반적인 사유세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며 작가의 모든 정서를 시로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시를 원본 그대로 실고,
영문으로도 번역하였다.

Kim Si-seup thought that he could realize his value as a poem, so the act of writing poetry itself was importan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oems he left help him understand his overall world of thought and express all the emotions of the artist in poetry.

The poem is published in its original form,
It was also translated into English.

작가 소개

김시습(金時習, 1435년 ~ 1493년)은 조선 초기의 문인, 학자이자 불교 승려이다.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한성부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경상도 김해를 거쳐 강원도 강릉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의 본관은 강릉, 자(字)는 열경(悅卿), 호는 매월당(梅月堂)·동봉(東峰)·벽산청은(碧山淸隱)·췌세옹(贅世翁), 불교 법명은 설잠(雪岑)이다. 충순위(忠順衛)를 지낸 김일성(金日省)의 아들이다.수양대군이 자행한 단종에 대한 왕위 찬탈에 불만을 품고 은둔생활을 하다 승려가 되었으며, 벼슬길에 오르지 않았다. 일설에는 그가 사육신의 시신을 몰래 수습하여 경기도 노량진(현재의 서울 노량진 사육신 공원)에 암장했다고도 한다. 1493년 조선 충청도 홍산군 무량사에서 병사하였다.

Kim Si-seup (1435?1493) was an early Joseon scholar, scholar, and Buddhist monk. He is one of the god of growth. Born in Hanseongbu and once spent a short period of infancy in Gangneung, Gangwon-do through Gimhae, Gyeongsang-do, his main building is Gangneung, Ja is Yeolgyeong, Maeoldang, Dongbong, Byeoksancheongeun, and Buddhist Buddhist name is Seoljam. He is the son of Kim Il-sung, who served as Chungwi.He became a monk while living in seclusion, dissatisfied with the overthrow of the throne by Prince Suyang, and did not go on to the government post. According to one theory, he secretly recovered the body of the breeding god and buried it in Noryangjin, Gyeonggi-do (now Noryangjin breeding god park in Seoul). In 1493, he died at Muryangsa Temple in Hongsan-gun, Chungcheong-do, Joseon.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김시습 시집더보기

  • Kim Si-seup's Poetry Book 1(김시습 시집 1) (김시습)

시 베스트더보기

  •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한강)
  • 당신의 세계는 아직도 바다와 빗소리와 작약을 취급하는지 (김경미)
  • 마중도 배웅도 없이 (박준)
  • 샤워젤과 소다수 (고선경)
  • 입 속의 검은 잎 (기형도)
  • 반달을 위하여 (최복주)
  • 작약은 물속에서 더 환한데 (이승희)
  • 두부와 달걀과 보이저 (심재휘)
  • 사랑하고 선량하게 잦아드네 (유수연)
  •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처럼 (류시화)
  • 신곡 (알리기에리 단테, 귀스타브 도레)
  • 나태주 연필화 시집 (나태주)
  •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박경리)
  • 정지용 시집 (정지용, 이남호)
  • 너무 잘하려고 애쓰지 마라 (나태주)
  • 스무 편의 사랑의 시와 한 편의 절망의 노래 (파블로 네루다, 정현종)
  • 가재미 (문태준)
  • 꿈꾸는 소리 하고 자빠졌네 (송경동)
  • 울고 들어온 너에게 (김용택)
  • 오래된 어둠과 하우스의 빛 (김연덕)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