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심연한시집 상세페이지

심연한시집

  • 관심 0
소장
종이책 정가
42,000원
전자책 정가
33%↓
28,000원
판매가
28,000원
출간 정보
  • 2020.01.28 전자책 출간
  • 2020.01.22 종이책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PDF
  • 883 쪽
  • 31.4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86637104
ECN
-
심연한시집

작품 정보

 출판사 서평

지난 100년간 한국의 역사·문화·사상을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

심연 김상렬 선생은 1883년에 태어나서 1955년에 73년을 일기로 돌아가셨다. 이분이 겪은 변동은 조선왕조의 마지막 시기에 시작하여 1894년 갑오개혁, 1910년 국권침탈, 제1차 세계대전, 제2차 세계대전, 해방과 건국 그리고 6·25 전쟁까지 하루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격변의 시대를 사셨다.
사실 격변기를 살아온 사람들의 경험은 파란만장하지만 그것을 진솔하게 기록해 놓을 여유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설령 기록해 놓은 것이 있다손 치더라도 혼란 속에서 유실(遺失) 되는 경우가 너무 많다. 하지만 심연 선생은 740여 편이나 되는 많은 시(詩)를 남겼고, 또 손자에 의하여 이것이 공간(公刊) 되기에 이르렀으니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역사적으로는 봉건적 왕조시대를 끝내고 일제의 식민지시대를 거쳐 민주 정체를 가지고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였던 시기였다. 또 건국을 둘러싼 민주체제와 공산체제라는 혼란을 겪어야 했으며, 다시 전쟁이라는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나타났다. 심연 선생은 일련의 이 모든 일들을 온몸으로 직접 체험하셨다.

과연 일생동안 이러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세대가 얼마나 있을까? 어찌 보면 길고 긴 역사에서 그 전·후(前·後) 세대를 막론하고 심연 선생의 시대만큼 사회·정치적으로 격변의 시대를 살아온 세대는 찾기 힘들다. 물론 격변기를 사신 분들은 많은 고통이 따랐겠지만, 역사를 공부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 시대만큼 흥미진진한 시대도 많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뿐만 아니라 이 시기는 우리나라에 전통사회의 질서와 문명은 붕괴되었고, 서구의 질서와 문명이 대신하여 나타났다. 신·구(新·舊)의 문명과 사상, 질서의 틈바구니에서 어떻게 전통을 지키고 어떻게 변화를 받아들였을까? 우리 2천 년 역사에서 처음 경험하는 급변하는 소용돌이 속에서 어떡하든지 살아남아 가족을 책임져야 했으며, 사회 변혁 속에도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도록 무언의 압력을 받아야 했을 것이다.
전통적 사회는 붕괴되어 가고 새로운 서구 문명이 홍수처럼 밀려오는 시대에 과연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떻게 가족을 지키면서 살았을까?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하고 적응하면서 살았을까?

여기서 심연 선생이 남긴 시(詩)는 구한 말에서 한국 전쟁까지 격변기를 살아낸 한 지식인이 지닌 사유를 이해하는데 더 없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나는 심연 선생의 『소유집(小遊集)』, 『심연시집(心淵詩集)』, 『기술잡초(記述雜抄)』 속에 실린 740여 편의 시(詩)를 보고 그 가치를 발견했다.
첫째로 심연 선생은 신문명의 소산(所産)인 통신원(通信院) 충주(忠州) 전보사(電報士)로 광무 7년(1903)부터 11년(1907)까지 5년간 근무한 신문명의 수용자였다. 그러나 결국 조국이 패망하는 현장을 목도하면서 신문명을 통해 펼치려던 꿈을 포기하고 고향으로 돌아와야 했다. 하지만 가족을 책임져야 했기에 상경하여 사업을 펼쳤고, 일제의 단말마적 압박 속에서 또 사업을 접고 낙향해야 했다.
이러한 경험은 비단 심연 선생 한 사람만의 특수한 경험이 아닌, 그 시대 보편적인 경험일 수도 있다. 하지만 심연 선생은 그 침통한 현실 속에서 시로 그것을 남기었고, 지금은 아주 희귀한 자료가 되었다. 이 귀중한 자료를 묵혀둔 채로 다시 한 세대만 지나면 영원히 사라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만큼 이 시집은 지난 100년을 연구하는 생생한 1차 사료(史料)이고, 후에 이 시대를 연구하는 후학들에게는 더 없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로 상경하여 사업하는 와중에도 계산시사(桂山詩社)라는 시(詩) 동아리에서 꾸준한 활동을 했는데, 이 시집을 통해 함께 한 시우(詩友)들에 대한 추적이 가능하다. 그의 시집에 등장하는 인물은 별호만 남긴 분까지 합하여 모두 200명이나 되고, 시회(詩會) 등 단체의 이름도 16개나 등장한다. 그의 시우 가운데는 독립운동가, 의사, 법조인, 한학자, 저술가 등이 있다. 이들을 추적하여 연구한다면 일제 강점기에 활동한 사람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넓히게 될 것이다.
셋째로 심연 선생은 서구문물에 일찍 눈을 뜬 분이다. 그래서인지 새로 등장하는 서구문물을 소재로 삼아 시를 읊기도 했는데, 서구문물이 실제로 생활 속에서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생활사나 문명사의 한 부분을 연구하는 귀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넷째로 제2차 세계대전이 극도에 달하고 일본의 패망이 짐작되는 1943년 이후 낙향하여 작고할 때까지 사실상 자유로운 교류는 어려웠다. 그러한 시대적 특성 때문에 낙향 후 청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 문객(文客)들과의 교류가 주를 이루었다. 대혼란기의 특정 지방의 문인과 교류하며 쌓은 그의 작품은 어느 지방에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청주 지역 문학이나, 지역적 특성을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심연 한시집』의 출간은 지난 100년간 한국의 역사·문화·사상을 연구하는 귀중한 자료를 세상에 내놓은 것과 같다. 더욱이 이 시를 번역한 배도임 박사는 한국(韓國) 한시(漢詩)를 어떻게 제대로 번역할 것인가를 고민하며 한 글자 한 글자를 천착(穿鑿)하면서 시 속에 서술된 내용을 800여 개의 각주(脚註)를 달아 설명했다. 아마도 시집을 번역하면서 이처럼 많은 주석을 달아서 연구의 깊이를 보인 것도 그리 흔한 일은 아닐 것이다.
『심연 한시집』을 통해 우리 사회에 지난 격변기에 대한 연구 열풍이 불고, 시문집 번역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이 우리 학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작가 소개

지은이 심연 김상렬

구한 말 1883년에 충북 괴산군 소수면 수리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안동이며 광무 7년인 1903년부터 5년간 신문물의 도입과 함께 설립된 통신원 충주전보사 주사로 근무했다. 국운이 풍전등화에 놓이자 통신원을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왔다. 1922년 괴산읍으로 1927년에 다시 서울로 이주했다. 서울에서 경제활동을 하면서‘ 계산시사’를 비롯한 시우회에서 문인들과 교류하며 많은 한시 작품을 남겼다. 1943년 충북 청주로 다시 낙향한 뒤부터 1955년 사망할 때까지도 지역 문인들과 교류하며 작품 활동을 계속했다. 구한 말과 일제강점기, 두 차례의 세계대전 그리고 조국 해방과 한국전쟁이란 격동의 시대를 살아오며 다양한 소재로 680여 편의 한시를 지었다. 그리고 해방 다음해인 1946년 봄부터 『심연시집』 등 손수 지으신 시고를 정리 편집하기 시작했고, 1952년에 『기술잡초』란 제목으로, 1954년 4월에 『소유집』이란 제목으로 작은 책을 엮어 남겼다.

옮긴이 배도임

한국외국어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리루이 소설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특히 문화대혁명 이후의 중국 현대문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시인협회가 주관한 『2017년한·중·일 시인축제 시선집』과 『2017년 한·중·일 시인축제기념문집』 번역에 공동으로 참여했다. 편역서 『중국 당대 12시인 대표시선(中國當代12詩人代表詩選)』(공저)이 있고, 역서로는 베이다오의 『한밤의 가수(午夜歌手)』, 리루이의 『장마딩의 여덟째 날(張馬丁的第八天)』, 『바람 없는 나무(無風之樹)』,『 만리에 구름 한 점 없네(萬里無雲)』 등이 있다.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시 베스트더보기

  • 나 외계인이 될지도 몰라 (신이인)
  • 오늘부터 영원히 생일 (권누리)
  • 나는 오래된 거리처럼 너를 사랑하고 (진은영)
  • 별빛 탄생 (허만하)
  • 털실로도 어둠을 짤 수 있지 (조혜은)
  • 당신의 세계는 아직도 바다와 빗소리와 작약을 취급하는지 (김경미)
  • 입 속의 검은 잎 (기형도)
  • 영원이 아니라서 가능한 (이장욱)
  • 여름 피치 스파클링 (차정은)
  • 그대는 나의 여름이 되세요 (서덕준)
  • 저는 많이 보고 있어요 (안미옥)
  • 천사를 거부하는 우울한 연인에게 (양안다)
  • 해변의 묘지 (폴 발레리)
  • 지금 알고 있는 걸 그때도 알았더라면 (류시화)
  • 라이터 좀 빌립시다 (이현호)
  • 하늘과 바람과 별이 된 시인들의 한국 대표 시집 세트 (전9권) (윤동주)
  • 너는 나보다 먼저 꿈속으로 떠나고 (양안다, 최백규)
  • 지친 날엔 별을 보자 (김옥희, ImageFX)
  • 여름은 사랑의 천사 (최백규)
  • 우리는 왜 그토록 많은 연인이 필요했을까 (이규리)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