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임나일본부는 없었다 상세페이지

인문/사회/역사 역사

임나일본부는 없었다

소장종이책 정가15,000
전자책 정가30%10,500
판매가10,500

임나일본부는 없었다작품 소개

<임나일본부는 없었다> 『일본서기』 스진 65년조 기사는 임나의 위치에 대해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해주고 있다. 쓰쿠시국은 오늘날 규슈 북부에 있던 나라라고 보고 있다. 규슈 북부에서 2,000여 리 떨어져 있고, 북쪽이 바다로 막혀 있는 곳이 어디일까? 한국과 일본의 지리에 조금이라도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대마도(對馬島)를 떠올릴 것이다. 그래서 이미 세상을 떠난 문정창이나 이 분야에 가장 많은 논문과 저서를 낸 최재석(고려대 명예교수), 윤내현(단국대 명예교수) 같은 민족사학자들은 모두 임나를 대마도로 보고 있다.
이에 반해 일본인 식민사학자들과 이들을 추종하는 한국의 거의 모든 매국사학자들 은 ‘임나=가야’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 분야를 잘 모르는 일반 독자들도 ‘임나=가야’ 라는 주장에는 고개가 갸우뚱거려질 것이다. ‘북쪽은 바다로 막혀’ 있는 지역이 어떻게 지금의 김해 지역에 있었다는 가야가 될 수 있겠는가? 가야의 남쪽을 바다라고 하면 모르지만 북쪽을 바다라고 할 수는 없지 않은가?
_ 본문에서


출판사 서평

역사적으로, 논리적으로, 지리적으로,
임나일본부가 결코 한반도에 존재할 수 없는
명명백백한 이유를 밝힌다!

“임나는 쓰쿠시국에서 2,000여 리 떨어져 있는데,
북쪽은 바다로 막혀 있고 계림의 서남쪽에 있다.”
- 『일본서기』 스진 65년조


고대에 일본이 임나일본부를 세워 한반도 일부를 지배했는가? 그 임나일본부는 가야인가? 지나가던 개도 웃을 터무니없는 이야기가 어느 샌가 스멀스멀 몸집을 키우더니 이젠 고대사의 ‘쟁점’으로까지 부상했다.
임나일본부는 일본의 역사서인 『일본서기』에 나오는데, 『일본서기』 자체가 역사서의 기본인 연대 표기부터 틀리는 등, 사서로서 워낙 허술하고 함량 미달인지라 일본 학자들조차도 ‘임나일본부설’을 사실로 인정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19세기에 제국주의라는 시대의 바람을 타고 정한론의 대두와 함께 일본 극우들에게, 그리고 해방 후에는 한국의 식민사학자들에게 ‘사랑받는’ 주장이 되었다.
19세기 일본 제국주의가 한반도 침략의 야욕을 불태울 때 학자들은 학문적으로(?) 제국주의 침략 논리에 무기를 제공했다. 식민 지배의 정당성을 역사 속에서 조작해낸 것이다. 그 결과 태어난 ‘사생아’들이 타율성, 한반도 정체성론, 반도사관, 임나일본부설 등이었다.
당시 일본 제국주의 역사학자들이 강조한 것은 한반도 북부에 있었다는 ‘한사군’과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다는 ‘임나일본부’였다. 고대에 한반도 북부는 중국이, 남부는 일본이 지배했다는 것으로, 고대부터 한반도는 외국의 침략과 지배를 받았으니 근대에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 지배를 받는 것은 ‘당연하고 좋은 일’이라는 논리였다. 그런데 예전에는 학자들의 전유물이었던 1차 사료들이 속속 번역, 공개되고 일반인들도 접근이 가능해지면서 ‘한사군’의 위치가 도저히 한반도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한사군 한반도설은 설 자리를 잃었다. 그러자 이번에는 임나일본부설이 고개를 쳐들었다. 그리고 21세기 대한민국에서는 식민사학자들이 이 주장을 금과옥조처럼 떠받들고 있다.

『일본서기』의 고백,
한반도 임나일본부설은 허구였다!

하지만 식민사학자들의 주장대로 과연 한반도에는 임나가 존재했으며, 그것은 가야일까? 『임나일본부는 없었다』는 아이러니컬하게도 『일본서기』에는 임나일본부가 한반도에 존재하지 않았으며, 임나는 가야가 아니라는 것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대목이 곳곳에 있음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우선 지리적으로 결코 임나는 한반도 남부에 존재할 수 없다. 『일본서기』 스진 65년조에 임나의 위치가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임나는 쓰쿠시국에서 2,000여 리 떨어져 있는데, 북쪽은 바다로 막혀 있고 계림의 서남쪽에 있다.” 이 중에서 ‘북쪽이 바다로 막혀 있다’는 대목은 ‘임나일본부설’이 설 자리를 잃게 되는 결정타를 날린다.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듯이 한반도 남부에서 북쪽은 대륙으로 이어져 있지, 결코 ‘바다로 막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일본서기』 게이타이 6년(512) 12월조에는 임나 4현이 “백제와 가까이 이웃하여, 아침저녁으로 다니기 쉽고 닭과 개 주인도 구별하기 힘들 정도”라고 기록되어 있다. 최소한의 공간 감각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것은 국가간 경계가 아니라 마을이나 부락 단위에 대한 설명으로 이해할 것이다. 어떤 나라가 ‘아침저녁으로 다니기 쉽고’ 닭이나 개가 울면 누구네 닭이나 개인지 알기 힘들 정도일 정도로 가깝겠는가. 고대든 현대든 국가 간에 국경을 넘어 오가는 것은 결코 쉽지 않다. 그리고 닭이나 개가 우는데 그것이 백제 것인지 신라 것인지 고구려 것인지 분간할 수 없다면 그것은 코미디일 것이다.
역사적으로도 결코 임나는 한반도 남부에 존재할 수 없다. 임나일본부설의 골자는 진구 49년(369) 신라를 공격하여 가야 7국을 평정하고 그 자리에 임나를 세웠고, 그 임나를 200년 동안 지배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 지배 조직으로서의 ‘일본부’라는 명칭이 기록된 것은 후반 약 100년(464~552년 사이)뿐이다. 369년에 임나를 세웠으면 통치기구도 당시에 생겨나야 맞다. 정복한 땅에 다스릴 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기본 중의 기본이다. 그런데 일본부는 100여 년 후에야 등장한다. 이것이 말이 되는가.
더 큰 문제는 일본이라는 용어다. ‘일본’이라는 용어 자체가 7세기 후반에 처음 생긴다. 그러므로 464~552년에 등장한 일본부라는 명칭 자체가 7세기 후반 이후에 만든 것이라는 점이다. 임나 ‘일본부’는 464년에 처음 기록이 등장하고, 그로부터 77년 후인 541년에 두 번째로 등장한다. 그 후 552년까지 불과 11년 동안에 일본부에 관한 기록이 10여 회 집중적으로 등장한다. 『일본서기』 기록이 이런 식으로 앞뒤가 맞지 않기 때문에 4세기 후반부터 6세기 후반까지 200년 동안 임나를 지배했다는 일본인들의 주장이 얼마나 허황된 것인지를 익히 알게 된다.


지루한 ‘임나일본부’ 논쟁에
마침내 종지부를 찍는다!

『임나일본부는 없었다』 본문은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임나일본부란 무엇인가’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하여 임나일본부설을 잘 모르는 사람도 쉽게 주제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2장에서는 『삼국사기』와 『일본서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역사서로서 『일본서기』가 가진 허구성을 조목조목 지적하며, 3장에서는 일본의 대표적인 식민사학자이자 임나일본부설을 퍼뜨린 장본인으로 지목되는 스에마쓰 야스카즈와 그의 학설을 이은 김현구(고려대 명예교수)를 비판한다.
과연 진실은 어떤 것인가? 지은이는 딱 잘라 말한다. 한반도에 ‘임나일본부는 없었다’고. 그리고 ‘임나는 일본의 대마도 또는 북규슈에 있었다’고 말이다. 최재석과 윤내현 등 민족사학자들의 학설을 꼼꼼히 분석하고 중국과 우리의 고대사료를 참조하여 연구한 지은이 역시 그들과 동일한 결론에 다다른 것이다. 그렇다, 임나일본부는 결코 없었다, 한반도에는.


저자 프로필


저자 소개

1950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경기중 · 고교를 거쳐 서울 대학교 경제학과에 입학했고 대학 재학 중에 행정고등 고시 14회에 합격하여 과학기술부 등에서 28년 동안 근무했다. 미국 디트로이트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고대 문헌과 사료를 중심으로 철저한 고증을 추구하는 것이 역사 저술의 기본자세라고 생각하며 유통기한이 한참 지난 ‘식민사관’에 젖어 있는 주류 사학계에 뼈아픈 반성을 촉구하고 있다. 조선총독부에 서 한국을 영구 지배하기 위해 만든 식민사관을 바로 잡는 일에 남은 인생을 걸고 있으며 『동북아 대륙에서 펼쳐진 우리 고대사』, 『식민사관의 감춰진 맨얼굴』 등의 책을 썼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임나일본부란 무엇인가?
임나는 가야인가?
5세기에 처음 등장하는 ‘일본부’라는 명칭
369년에 가야를 멸망시키고 임나 설치?
가야와 임나는 언제 망했는가?
‘임나=가야’라는 논리의 검토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사료 자체를 조작하는 김현구
임나일본부는 외교 교역기관이었나?
임나의 위치
임나일본부의 실체

제2장 『삼국사기』와 『일본서기』를 비교하다
허구의 역사서 『일본서기』
야마토에서 백제계와 신라계의 전쟁
『삼국사기』가 조작이라는 억설
동북아역사재단과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일본서기』만 맹신, 『삼국사기』는 ‘모른다’는 김현구
고대일본인의 기원
야마토왜 왕권의 실상
신라와 왜의 관계
백제와 왜의 관계
칠지도로 본 백제와 왜의 관계
백제의 대왕을 왜왕이 꾸짖는다는 『일본서기』
임나와 삼국의 관계

제3장 스에마쓰 야스카즈와 김현구 비판
임나일본부가 한반도의 지배기구라는 망령
임나 경영의 경과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