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차이나타운(the biggest Chinatown in Indonesia), 글로독 차이나타운(Glodok Chinatown) : 글로독 차이나타운(Glodok Chinatown)은 ‘인도네시아 최대 규모의 차이나타운(the biggest Chinatown in Indonesia)’으로, 전 세계 30여개의 차이나타운 중에서도 규모가 큰 곳으로 꼽힙니다. 여느 차이나타운과 마찬가지로 중국의 음식을 비롯해 저렴한 공산품, 약재, 식재료 등을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인도네시아에서 구하기 어려운 돼지고기와 이를 활용한 제품(젤라틴이 든 과자 등)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정부에서 공인한 중국식 설날과 캡고메 축제(Cap Go Me Festival)가 열리는 시기에는 인도네시아 전역의 화교들이 글로독 차이나타운(Glodok Chinatown)로 몰려듭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원코스 인도네시아(1 Course Indonesia) 시리즈와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여행을!
▶ 그로쪽 그로쪽…. : 글로독(Glodok)은 물이 흘러나오는 소리 그로쪽 그로쪽(Grojok Grojok)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인도네시아를 약 400년간 지배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부족한 인력을 채우기 위해 중국, 특히 중국 남부의 복건성(福建省)과 광동성(广东省)에서 대규모로 중국인 이민자를 불러들였고, 그들이 자카르타에 밀집하기 시작하면서 현재의 차이나타운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전통시장과 초대형 쇼핑몰 망가 두아(Mangga Dua)가 공존하는 가운데, 현재까지도 수많은 화교가 거주하는 중국식 주택가와 골목골목마다 자리 잡고 있는 중국사원까지…. 글로독은 인도네시아가 품은 ‘작은 중국’입니다.
▶ 인도네시아 도심지의 중국사원 활용법 : 도심지역에 위치한 중국사원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습니다만, 역사만큼은 수백 년에 달할 정도로 오래된 경우가 많습니다. 넓지 않은 부지임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신을 모시고 있는데 이 때문에 각각의 신전마다 번호, 이름, 구역으로 세세하게 구분하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즉 자신의 고민과 소망에 맞춰 이에 적합한 신을 찾아서 제물을 바치고, 소원성취를 비는 방식으로 이용하면 됩니다. 현세적이고, 실용적인 중국식 종교관을 인도네시아 글로독 차이나타운(Glodok Chinatown)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정화(鄭和, Zheng He, 1371~1434)의 흔적을 찾아서... 자카르타에서 가장 오래된 도교 사원 중 한 곳(one of the oldest Taoist temples in Jakarta) : ▷ 비하라 바테라 박티 안콜 자카르타 우타라(Vihara Bahtera Bhakti Ancol Jakarta Utara), 한자로 안졸대백공묘(安卒大伯公廟)는 1650년에 설립되어 무려 37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유서 깊은 도교사원입니다. 자카르타에서 가장 오래된 도교 사원 중 한 곳(one of the oldest Taoist temples in Jakarta)으로, 현지에서는 보다 짧은 클렌텡 안쫄(Klenteng Ancol)이라 불립니다. 도심지에서 살짝 벗어나 있는 곳에 위치한 덕분에 부지가 넓고, 크고 작은 연못과 수십여 개의 제당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법 큰 규모의 사원으로, 고급주거단지 페루마한 안쫄 티무르(Perumahan Ancol Timur) 내부에 있습니다. ▷ 대웅전 본당에서 토지와 부의 신 다보공(Tudigong, Da Bo Gong, Hokkien Tua Pek Kong, 土地公)과 그의 아내 보 포그(Bo Pog)를 모시고 있습니다. ▷ 하우디는 정화(鄭和, Zheng He, 1371~1434)가 아프리카 원정시 자카르타를 방문했을 때 그를 기리기 위해 만든 사원이라고 설명했는데, 다보공(Tudigong, Da Bo Gong, Hokkien Tua Pek Kong, 土地公)이란 신의 이름을 빌어 누군가를 기리는 것은 전 세계의 중국사원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방식입니다. ▷ 명나라 시대의 장군이자 환관으로 유명한 정화(鄭和, Zheng He, 1371~1434)가 아프리카 대원정에 성공한 것은 세계적으로도 주목할 만한 역사적 사건으로, 당시 아프리카에서 가져온 기린에게 영물 기린(麒麟)이라 이름 붙여진 것은 저도 기억하고 있는 일화입니다만, 자카르타도 방문했었군요! 일본 맥주 기린(Kirin)의 로고는 아프리카 동물 기린이 아니라, 영물 기린입니다.
▶ 자카르타 최초의 중국 사원(the oldest Chinese temple in Jakarta)이자 ‘자카르타 화교의 정신적 고향’, 진더위안(金德院, Jin De Yuan) : ▷ 글로독 차이나타운(Glodok Chinatown)에서 가장 규모가 큰 중국사원 비하라 다르마 박티(Dharma Bhakti Temple, Vihara Dharma Bakti)는 중국어로 진더위안(金德院, Jin De Yuan)이며, 1650년에 완공된 ‘자카르타 최초의 중국 사원(the oldest Chinese temple in Jakarta)’입니다. 중국식 설 축제 구정을 비롯해 중원절(中元節, Hungry Ghost Festival, Zhongyuan Jie), 등불 축제(Lantern Festival, Cap Go Meh Festival) 등의 중국 축제와 각종 공연이 펼쳐지는 무대로도 활용됩니다. ▷ 복건성(福建省) 출신의 이주민이 설립한 이래 중국인의 정신적 고향으로 자리매김하였으며, 그와 동시에 인도네시아인의 화교에 대한 반감이 가장 강하게 투사되는 곳이기도 합니다. 1740년 화교 학살 사건 당시 대대적인 학살과 파괴가 벌어진 비극의 현장이기도 하며, 현재의 모습은 1755년 복원된 것입니다. 진더위안(金德院, Jin De Yuan)이란 사원명 또한 1965년 상대적으로 중립적인 현재의 비하라 다르마 박티(Dharma Bhakti Temple, Vihara Dharma Bakti)로 변경하였습니다. 비교적 최근인 2015년 화재로 일부가 소실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점진적으로 복구 중이기 때문에 곳곳에서 공사 중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산타마리아 데 파티마 교회 자카르타(Church of Santa Maria de Fatima JAKARTA, Church of Santa Maria de Fatima) & 리치 학교(Sekolah Ricci) : ▷ 산타마리아 데 파티마 교회(Gereja Santa Maria de Fatima Jakarta, Church of Santa Maria de Fatima)는 교회를 비롯해 학교와 기숙사까지 갖춘 다목적 시설로, 규모가 확장되면서 교회 옆의 리치 학교(Sekolah Ricci)가 분리되었습니다. 학교 이름은 이탈리아 선교사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1552~1610)의 이름을 딴 것으로, 하우디의 모교이기도 합니다. ▷ 리치 학교(Sekolah Ricci)는 화교만 입학할 수 있는 화교학교는 아니지만, 글로독 차이나타운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재학생의 99%가 화교라고 하더군요. 놀라운 점은 화교학교가 아니기 때문에 중국어를 가르치지 않으며, 이 때문에 인도네시아 화교들도 대부분 중국어를 읽거나 쓰지 못한다고 합니다. 극히 일부의 엘리트만이 중국 유학 등을 통해 중국어를 배운다고 하니, 중국어를 할 수 있는 인도네시아 화교를 만났다면 엘리트라고 추정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 인도네시아에는 수많은 민족, 부족, 언어, 종교가 있지만 하나의 국가로써 인도네시아어(Bahasa Indonesia)를 가르칩니다. 최소한 현재의 세대는 종교와 부족이 다를 지언정 언어만큼은 동질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언어적인 문제로 민족 갈등을 고민한 적이 없는 한국인 여행자 입장에서 인상적인 대목이 아닐 수 없습니다.
▶ 글로독 차이나타운 골목길의 관문, 알타 팍 쿵(Altar Pak Kung, Datuk Kemenangan) : ▷ 작은 문이기는 하지만, 패루(牌樓)는 차이나타운의 입구이자 출구로써 전 세계 어느 차이나타운을 가더라도 하나의 랜드 마크로써 기능하는 중요한 건축물입니다. ▷ 글로독 차이나타운(Glodok Chinatown)의 패루(牌樓)에는 서하(西河)라고 새겨져 있으며 그 뒤로 좁디좁은 자카르타의 골목길이 이어집니다. 자카르타식 골목길은 차량이 지나가지 못할 정도로 좁아 오토바이와 자전거만 겨우 오갈 수 있으며, 수많은 가옥이 밀집해 있는 것이 특징이죠. ▷ 패루(牌樓) 바로 옆에 조그만 사원이 있습니다.
▶ 인도네시아의 유태인, 인도네시아 화교(Chinese Indonesian) : 동남아의 화교는 유럽의 유태인에 비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상대적으로 토착민에 비해 인구 규모는 작으나, 금융과 경제를 장악하고 있어 정치적, 경제적으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화교는 처음에는 먹고 살기 위해 바다를 건너온 가난한 이민자에 불과했으나, 이들의 상재를 발견한 네덜란드는 중국인을 중간 관리자급으로 활용하면서 인도네시아인과의 대립구도가 형성되었습니다. 수백 년에 걸친 시간이 흐르자, 화교는 인도네시아의 경제를 장악하게 되었고 네덜란드로부터 독립한 현재까지도 이같은 구도는 변치 않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화교(Chinese Indonesian)는 인구의 1.2%(기관에 따라 최대 4%)를 차지하는 수백만 명에 불과하지만, 국가 경제의 70%를 화교가 장악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도 인도네시아 상장기업의 70%는 화인기업이며, 100대 부자의 80%는 화교입니다.
▶ 1740년 바타비아 대학살(Murder of the Chinese, 1740)부터 인도네시아 인종 폭동(May 1998 Riots of Indonesia)까지 : 중국인에 대한 반감과 분노는 인도네시아 역사에서 여러 차례 불거졌습니다. 1740년 네덜란드인에 의한 앙케학살(紅溪慘案)에 어이 비교적 최근인 1998년, 2006년 등 많은 화교가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물리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를 정치적으로 활용한 수하르토 대통령은 공산주의에 대한 반감으로, 화교를 대상으로 중국어와 한자 교육 금지, 개명 등 강력한 조치를 취하기도 했죠. 1998년 5월 인도네시아 인종 폭동(Kerusuhan Mei 1998, May 1998 Riots of Indonesia)은 인도네시아인의 화교에 대한 반감이 폭발한 20세기의 마지막 대규모 폭력 사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