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릿》, 《습관의 힘》 등 전 세계 교육 석학 강력 추천!
★ 최신 심리 이론으로 밝혀낸 자기 주도력과 동기부여의 비밀
수동형, 목표지향형, 회피형, 몰입형
“4가지 학습 유형을 알면 방법이 보인다!”
심리학으로 진단하고 유형별로 구체화하는 실전 학습 심리서
◎ 도서 소개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는 무엇이 다를까?”
4가지 학습 유형을 알면 방법이 보인다!
심리학으로 진단하고 유형별로 구체화하는 실전 학습 심리서
《어떻게 공부하게 만들 것인가》는 저마다 다양한 이유로 공부에 무관심해진 10대 아이를 다시 학습의 길로 이끄는 과학적이고 실용적인 전략을 담은 심리 학습서다. 잃어버린 동기를 회복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춘 이 책은, 공부를 대하는 아이의 현재 상태를 수동형, 목표지향형, 회피형, 몰입형이라는 4가지 유형으로 나눠 각 유형에 따른 정서적 신호와 개입 전략을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예컨대, 겉으로는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내면은 무기력한 ‘수동형’ 아이에게는 관심과 의미를 회복시킬 수 있는 일상적 대화가 필요하며, 성취욕이 강한 대신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큰 ‘목표지향형’ 아이에게는 완벽주의를 내려놓고 과정에 집중하도록 돕는 균형 잡힌 피드백이 요구된다. 반항적이거나 무기력해 보이는 ‘회피형’ 아이는 사실 정서적 안정과 관계 회복이 절실한 상태이기에 문제행동보다 그 이면의 감정에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궁극적으로 지향해야 할 ‘몰입형’은 학습 자체에 흥미를 느끼며 주도적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도전하는 아이로 모든 아이가 부모의 현명한 피드백을 통해 이 단계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세계적 교육가인 두 저자는 공부를 멀리하는 아이들의 문제를 결코 ‘의지 부족’이나 ‘게으름’의 문제로 한정하지 않는다. 감정, 환경, 관계, 정체성 등 아이를 둘러싼 복합적인 요인이 학습 동기를 결정짓는다고 보며,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개입할 때 비로소 진짜 변화가 시작된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그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 언어와 실천 방법을 담고 있으며, 부모와 교사가 ‘감독자’가 아닌 ‘코치’로서 아이의 내면을 조율하는 법을 체계적인 시선으로 안내한다. 공부하는 아이 곁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는 모든 부모와 교사를 위해 배움의 본질을 재탐구하는,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가장 현실적인 교육서이다.
☞ 함께 읽으면 좋은 21세기북스의 책들
▶ 함부로 칭찬하지 마라|김영훈 지음|21세기북스|2025년 6월 4일 출간|22,000원
▶ 초등 3학년부터 시작하는 똑똑한 독서 수업|류창진 지음|21세기북스|2025년 3월 5일 출간|22,000원
▶ 2025 대한민국 교육 키워드|방종임, 이만기 지음|21세기북스|2024년 12월 18일 출간|22,000원
▶ 임포스터|리사 손 지음|21세기북스|2022년 1월 5일 출간|18,000원
◎ 본문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녀가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 학습에 대한 무관심은 성격적 결함이 아니라 도움이 필요하다는 신호다. 참여를 촉진하는 또 다른 비결은 자녀에게 이야기하는 방식이다. 좌절감이나 경멸이 아니라 현재 상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방식으로 대화하는 것이다. 대화가 청소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포옹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만큼 중요하다. 대화는 건전한 두뇌 발달의 토대가 된다.
참여의 힘 - 51쪽
학교와 가정에서 도움을 받으면 신경발달장애 아동들도 잘 성장하고 성공할 수 있다. 전통적 학교 교육에 맞지 않는 독특한 방식으로 뇌의 신경망이 연결돼 있다는 사실이 오히려 어떤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창의성, 패턴 인식 능력, 고도의 집중력, 예리한 관찰력, 시공간 사고력, 뛰어난 기억력, 참신한 문제해결 능력은 ADHD, 자폐스펙트럼, 난독증을 가진 아이들과 연관된 다양한 능력의 일부다.
무한의 가능성, 수동형 - 83쪽
모든 면에서 무결점을 추구하는 완벽주의는 불행한 목표지향형의 저주다. 완벽함은 누구도 성취할 수 없는 불가능한 목표다. 누가 이들을 비난할 수 있을까? 완벽주의를 연구하는 런던정경대학교 심리행동과학 조교수 토머스 쿠란의 말처럼 “완벽주의는 모두가 좋아하는 약점이다.” 누구나 완벽주의자를 좋아한다. 그들은 좋은 성과를 내고, 끊임없이 노력한다! 하지만 실패를 피하려고 노력하다 오히려 실패를 초래한다. 완벽주의자는 본질적으로 쉽게 무너진다.
현실에 필요한 최고 능력, 목표지향형 - 115쪽
사미르처럼 눈에 띄게 저항하는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도 않고 과제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에스머처럼 책을 읽는 척하면서 조용히 학습을 회피하고, 수업에 참여하지 않지만, 겉으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아이도 있다. 부모, 교사 그리고 코치들은 두 가지 유형을 모두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 회피 상태에 너무 오래 머물면 청소년들은 그 안에 갇혀버리고 학습된 무기력을 내면화한다. 처음부터 회피형으로 태어나는 아이는 없다.
문제아라는 착각, 회피형 - 151쪽
아이들이 용기 내는 방법을 배우고 위험을 감수하며 자신의 학습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생산적 어려움을 경험할 필요가 있다. 이는 아이들이 성찰할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고 무엇을 하느냐가 아니라 그 자체로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알 수 있도록 지지가 필요한 것과 마찬가지다. 목표지향형의 아이들이 탐구자의 능력을 키우도록 돕는 일은 어려울 수 있다. 어떤 부모도 좋은 것을 망치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제는 좋은 것에 대한 더 나은 정의가 필요한 시점일지도 모른다.
균형 있는 목표 세우기 – 27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