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대한민국은 능력중심사회를 위한 요건조성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국정과제로 선정하여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각 산업부문과 수준별로 도출해 표준화하여 각 교육기관에 적용하고 도입하고 있으며, 현재 일선 교육기관에서는 학습자의 역량 향상을 위해 NCS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의 교육과정을 표준화하는데 노력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본서는 기계제도 기초에서부터 2D도면작업과 3D형상모델링작업 등에 이르기까지 세부적인 내용을 기술하고 있으며 또한 국가기술자격시험까지 준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제 도면을 체계적으로 수록하여 학습자가 2D도면 작성 능력 및 3D형상 모델링 능력 향상을 위한 이론 및 실기 교재로 사용하기에 충분하도록 국가직무능력표준 학습모듈을 기반으로 개발된 교재입니다.
학습자는 가장 기초가 되는 기계제도법 관련 지식과 요소공차의 검토, 부품재질선정 등을 심도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CAD를 이용한 2D도면작업과 3D형상모델링작업의 학습시 기초부터 실무 예제에 이르기까지 충분한 도면작성과 모델링 실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각 단계별로 계획을 세워 체계적으로 학습하면 2D도면 작성 능력뿐만 아니라 3D형상 모델링 기법에 대한 많은 노하우를 익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현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기계설계산업기사 실기 시험 등은 시험 요구사항에 준하여 2D 과제도면을 해독하여 3D CAD를 사용해 부품 모델링을 해야하고 모델링 데이터를 이용해 작업한 2D 부품도와 3D 렌더링 등각 투상도를 작성해 제출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험에 응시할 때 CAD활용 능력뿐만 아니라 KS규격에 의한 기계제도법과 도면 해독법을 익혀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NCS 기계계열의 세분류 ‘기계요소설계’에 대한 교육을 하는 교육자 및 훈련을 하는 학습자가 본 교재를 활용한다면 기초 도형 작도를 시작으로 초급, 중급, 심화 과정으로 구성된 각 장의 예제를 통해 학습자의 공간지각능력과 CAD 활용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국가기술자격 실기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이 본 교재를 활용한다면 시험 준비에 필요한 엄선된 과제도면과 기계요소 기술에 대한 표현을 중점적으로 한 기능검정 실기 도면 예제를 통해 기계제도법과 도면 해독법을 익히고 기본기를 다지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또한 본서는 수험생들에게 필요한 엄선된 과제도면과 기계요소 기술에 대한 표현을 중점적으로 한 2D 부품도 예제도면, 3D 렌더링 등각 투상도 예제도면을 수록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3D 등각 분해도 및 조립도 예제도면까지 함께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험생들은 실습할 때 각 예제도면을 참고하여 학습하시면 기계설계 실기·실무 능력을 배양하여 국가 사회에서 필요한 전문인력이 되는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기계설계 분야를 학습하는 이들에게 올바른 기술지식을 전달하겠다는 취지로 시작한 집필 작업은 앞으로 다양한 콘텐츠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독자 여러분의 많은 성원과 아낌없는 충고를 부탁드리며, 본서를 보며 발생하는 궁금증들은 아래 이메일을 통해 질의하시면 최선을 다해 정성껏 답변 드리겠습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 본서의 학습모듈 및 능력단위 적용 범위 안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 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 산업현장의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을 의미합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은 교육훈련기관의 교육훈련과정, 직업능력개발 훈련기준 및 교재 개발 등에 활용되어 산업 수요 맞춤형 인력양성에 기여합니다. 또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경력개발경로 개발, 직무기술서, 채용, 배치, 승진 체크리스트,자가진단도구로 활용 가능합니다.
NCS의 분류체계는 직무의 유형(Type)을 중심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단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의 전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합니다.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Korean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를 중심으로, 한국표준직업분류, 한국표준 산업분류 등을 참고하여 분류하였으며 대분류(24) → 중분류(80) → 소분류(238) → 세분류 (887개)’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기계 분야는 중분류(11) → 소분류(33) → 세분류(132)로 개발되어 있습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이 현장의 ‘직무 요구서’라고 한다면, NCS 학습모듈은 NCS의 능력단위를 교육훈련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한 ‘교수·학습 자료’입니다.
NCS 학습모듈은 구체적 직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이론 및 실습과 관련된 내용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습니다.
■ NCS 학습모듈은 산업계에서 요구하는 직무능력을 교육훈련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성취목표와 학습의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합니다.
■ NCS 학습모듈은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전문대학, 4년제 대학교의 교육기관 및 훈련기관, 직장교육기관 등에서 표준교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교육과정 개편 시에도 유용하게 참고할 수 있습니다.
NCS 학습모듈은 NCS 능력단위 1개당 1개의 학습모듈 개발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고용단위 및 교과단위를 고려하여 능력단위 몇 개를 묶어서 1개의 학습모듈로 개발할 수 있으며, 또 NCS 능력단위 1개를 여러 개의 학습모듈로 나누어 개발할 수도 있습니다.
무료동영상 강의 유튜브 [메카피아]
https://youtu.be/kytknlnI0x4
https://youtu.be/iZ0WFK1U-EA
https://blog.naver.com/mechapia_com/221474229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