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상세페이지

에세이/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소장전자책 정가3,000
판매가3,000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작품 소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저항시인 이상화의 시선집.

민족주의 시인으로 식민치하의 민족적 비애와 일제에 항거하는 저항의식을 기조로 하여 시를 썼다. 그는 일제에 대한 울분을 전면에 내세워 항거하기에는 많은 시대적 제약이 따랐기 때문에 국토자연의 예찬으로 기울게 되었던 것이다. 시인의 저항정신을 서정적 정조로 잘 가다듬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시 세계를 보인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역천」 등 일련의 시를 감상해 볼 수 있다.


저자 프로필

이상화

  • 국적 대한민국
  • 출생-사망 1901년 4월 5일 - 1943년 4월 25일
  • 경력 1939년 교남학교 교사
    1937년 조선일보 경북 총국 근무
    1925년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회원
  • 데뷔 1922년 시 '말세의 희탄'

2015.02.02. 업데이트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저자 소개

이상화(1901∼1943)는 시인. 호는 무량(無量)·상화(尙火, 想華)·백아(白啞). 경상북도 대구 출신. 아버지는 이시우(李時雨)이며, 어머니는 김신자(金愼子)이다.
7세에 아버지를 잃고, 14세까지 가정 사숙에서 큰아버지 일우(一雨)의 훈도를 받으며 수학하였다. 18세에 경성중앙학교(현 중앙중고등학교) 3년을 수료하고 강원도 금강산일대를 방랑하였다. 1922년 파리 유학을 목적으로 일본동경의 아테네프랑세에서 2년간 프랑스어와 프랑스문학을 공부하다가 동경대지진을 겪고 귀국하였다. 친구 백기만(白基萬)의 《상화(尙火)와 고월(古月)》에 의하면, 1917년 대구에서 현진건(玄鎭健) · 백기만 · 이상백(李相伯)과 《거화(炬火)》를 프린트판으로 내면서 시작활동(詩作活動)을 하였다.
21세에는 현진건의 소개로 박종화(朴鍾和)를 만나 홍사용(洪思容) · 나도향(羅稻香) · 박영희(朴英熙) 등과 함께 《백조(白潮)》 동인이 되어 본격적인 문단활동을 시작하였다. 1919년 3 · 1운동 때에는 백기만 등과 함께 대구학생봉기를 주도하였다가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또한, 김기진(金基鎭) 등과 함께 1925년 파스큘라(Paskyula)라는 문학연구단체 가담하였으며, 그 해 8월에는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의 창립회원으로 참여하였다. 1934년에는 조선일보 경상북도총국을 경영하였다가 1년 만에 실패하였다. 1937년 3월에는 장군인 형 이상정(李相定)을 만나러 만경(滿京)에 3개월간 갔다와서 일본관헌에게 구금되었다가 11월말경 석방되었다. 그 뒤 3년간 대구 교남학교에서 교편을 잡으면서 권투부를 창설하기도 하였다.

그의 나이 40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독서와 연구에 몰두하여 〈춘향전〉을 영역하고, 〈국문학사〉 · 〈불란서시정석〉 등을 시도하였으나 완성을 보지 못하고 43세에 위암으로 죽었다.

문단데뷔는 《백조》 동인으로서 그 창간호에 발표한 〈말세의 희탄(?嘆)〉(1922) · 〈단조(單調)〉(1922)를 비롯하여 〈가을의 풍경〉(1922) · 〈이중(二重)의 사망〉(1923) · 〈나의 침실로〉는 1920년대 초기의 온갖 주제가 한데 결합한 전형이라 할 수 있는데, 어떠한 외적 금제로도 다스려질 수 없는 생명의 강렬한 욕망과 호흡이 있고, 복합적인 인습에의 공공연한 반역 · 도전이 있으며, 이 모두를 포용하는 낭만적 도주의 상징이자 죽음의 다른 표현인 '침실'이 등장한다. 이 계열의 작품으로 〈몽환병(夢幻病)〉(개벽, 1925) · 〈비음(緋音)〉(개벽, 1925) · 〈이별(離別)을 하느니〉(조선문단, 1925) 등이 있다.

이와는 달리 작품은 〈가상〉 · 〈구루마꾼〉 · 〈엿장사〉 · 〈거러지〉(이상은 개벽, 1925) 등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개벽, 1926)는 사회참여적인 색조를 띠는 원숙한 작품이다.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개벽》지 폐간의 계기가 된 작품인만큼 치열한 반골기질의 표현으로 주목된다. 이 계열의 작품으로는 〈조소(嘲笑)〉(개벽, 1925) · 〈통곡(慟哭)〉(개벽, 1926) · 〈도-쿄에서〉(문예운동, 1926) · 〈파-란비〉 〈신여성, 1926〉 · 〈선구자(先驅者)의 노래〉(개벽, 1925) · 〈조선병(朝鮮病)〉(개벽, 1926) · 〈비 갠 아침〉(개벽, 1926) · 〈저므는 놀안에서〉(조선문예, 1928)가 있다.

그의 후기 작품경향은 철저한 회의와 좌절의 경향을 보여주는데 그 대표적 작품으로는 〈역천(逆天)〉(시원, 1935) · 〈서러운 해조〉(문장, 1941) 등이 있다. 발굴된 작품으로는 《상화와 고월》에 수록된 16편을 비롯하여 58편이다.

어떤 외부적 금제로도 억누를 수 없는 개인의 존엄성과 자연적 충동〔情〕의 가치를 역설한 이광수(李光沫)의 논리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는 '백조파' 동인의 한 사람이면서 동시에 그 한계를 뛰어넘은 시인으로, 방자한 낭만과 미숙성과 사회개혁과 일제에의 저항과 우월감에 가득한 계몽주의와 로맨틱한 혁명사상을 노래하고, 쓰고, 외쳤던 문학사적 의의를 보여주고 있다. 1946년 동향인 김소운(金素雲)의 발의로 대구 달성공원에 그의 시비가 세워졌다.

목차

목차


말세(末世)의 희탄(?歎)
단조(單調)
가을의 풍경(風景)
To― ―
나의 침실(寢室)로
이중(二中)의 사망(死亡)
마음의 꽃
독백(獨白)
허무교도(虛無敎徒)의 찬송가
방문거절(訪問拒絶)
지반정경(池畔靜景)
비음(緋音)
가장 비통(悲痛)한 기욕(祈慾)
빈촌(貧村)의 밤
조소(嘲笑)
어머니의 웃음
이별(離別)을 하느니……
폭풍우(暴風雨)를 기다리는 마음
바다의 노래
극단(極端)
선구자(先驅者)의 노래
구루마꾼
엿장수
거지
금강송가(金剛頌歌)
청량세계(淸凉世界)
오늘의 노래
몽환병(夢幻病)
새 세계(世界)
조선병(朝鮮病)
겨울마음
초혼(招魂)
도쿄에서
본능(本能)의 노래
원시적(原始的) 읍울
이해를 보내는 노래
시인(詩人)에게
통곡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비 갠 아침
달밤, 도회(都會)
달아
파란비
병적(病的) 계절(季節)
지구흑점(地球黑點)의 노래
저무는 놀 안에서
비를 다오
곡자사(哭子詞)
대구행진곡(大邱行進曲)
예지(叡智)
반딧불
농촌의 집
역천(逆天)
나는 해를 먹다
기미년(己未年)
서러운 해조(諧調)
쓰러져 가는 미술관(美術館)
청년(靑年)
무제(無題)
그날이 그립다
교남학교(嶠南學校) 교가(校歌)
만주벌
눈이 오시네
제목미상
머나먼 곳에 있는 님에게
풍랑에 밀리던 배(작품없음)
무제(작품없음)
설어운 조화(調和)
머―ㄴ 기대(企待)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