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고양아, 그 삭막한 동네에서,
그래도 조금은 편하고 행복한 시간이 있었니?
엄살이 아니라 길고양이들과 인연을 맺은 이래
불행감을 맛보지 않는 날이 드물다.
이다음에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윤기 잘잘 흐르는 까만 얼룩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사뿐사뿐 뛸 때면 커다란 까치 같고
공처럼 둥굴릴 줄도 아는
작은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데뷔 시에서부터 고양이의 영혼과 공명하며, 고양이를 동반자로 삼아온 고양이 시인 황인숙이 길고양이를 다룬 장편소설을 출간한다. 『새는 하늘을 자유롭게 풀어놓고』『나의 침울한, 소중한 이여』 등의 알려진 시집이나 『해방촌 고양이』 같은 산문집에서 고양이 얘기를 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나, 소설의 형태로 단단하게 가다듬어진 이번 작품은 본격적이라 할 수 있겠다. 작가의 마음 안에 돌아다니던 조각 스케치 형태의 고양이들이 정교한 붓 터치를 입어 알록달록한 채색화로 완성된 것이다. 다양한 개성을 가진 길고양이들의 때로 아기자기하고 때로 서글픈 이야기뿐 아니라, 고양이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다정다감하고 진솔한 교류를 감각적으로 포착해내고 있다.
“허무해 내 나이,
내 가슴은 텅 비어 있고 혀는 말라 있어요.”
주인공 화열이는 스무 살이지만, 앳된 느낌이 나지 않는 조숙한 아가씨다. 고양이들의 엄마라는 책임감도 한몫했을지 모르나 사실은 버려지고 또 버려진 경험 때문이다. 사업 실패 후 흔적 없이 사라져버린 아버지, 지나치게 어린 나이에 결혼한 후 마음의 빈 곳을 채우지 못해 떠나버린 소녀 같은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한 번도 제대로 아이일 수 있었던 적이 없었던 것이다. 화열이가 혼자 살고 있는 재개발 직전 낡은 시장 건물의 2층 방은, 비가 오면 망가지는 길고양이들의 스티로폼 집을 연상시키고 만다. 이기적인 주인들에게 버려진 후, 상처를 입어 사람을 잘 믿지 못하는 길고양이들과 화열이는 닮아 있다. 그래서 좀처럼 감정을 드러내거나 손을 내밀지 않는 스무 살 화열이가, 고양이들에게는 마음이 기울고 마는 것이다. 특히 뚱뚱하지만 얼굴이 작고 예쁜, 비탈 고양이 베티와는 특별한 우정이 이어진다.
‘고양이웃네’ 사람들과 이웃 되기
버림받은 고양이들의 민첩하고 명랑한 영혼에 치유받는다 해도, 화열이는 언젠가 사람들에게로 돌아와야 한다. ‘다시 고양이로 태어나’지 않는 이상 말이다. 그런데 화열이도 채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 화열이의 곁을 파고든 사람들이 있다. 고양이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커뮤니티, 인터넷 카페 ‘고양이웃네’의 회원들이다. 화장품 방문 판매를 하며 유학을 준비중인 혜조 언니, 반지하방에서 두 아이를 키워내면서도 활기를 잃지 않은 바리이모님, 인터넷 쇼핑몰을 하는 양야옹 언니, 친절한 회계사 그럭저럭 오빠, 소설가를 꿈꾸는 튕클 언니, 바람둥이지만 그게 다는 아닌 것 같은 전설 아저씨…… 거기에다 화열이 이모 식구와 아르바이트를 하는 편의점 사람들, 베베치킨 배달원이자 천상의 목소리를 가진 남자친구 필용이가 더해져 어느새 왁자지껄해져버렸다. 화열이가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 사람들로, 사람들의 온기로 가득하다. 가까운 가족에게 받은 치명적인 상처는, 이렇게 바글바글한 이웃들 틈에서 서서히 아물기 시작한다. 화열이가 겁먹지 않게 천천히 거리감이 좁아진다. 결핍을 채우는 것은 작고 반짝거리는 알갱이들인 것이다. 부드러운 완충재 속에서 화열이의 스무 살이 흐른다. 애묘가라면 더 즐겁게 읽을 이야기지만, 무엇보다 사람 냄새 나는 사람 이야기라 누구나 공감할 만하다.
“내가 행복해야 고양이들도 행복해진다!”
가방 안에 사료와 때때로 간식 캔, 고양이 혀가 베이지 않도록 음식을 옮겨 담을 햇반 그릇을 들고 매일 같은 시각 같은 장소를 찾는 화열이처럼 작가도 실제로 고양이 밥을 주고 있다. 벌써 5년째이며, 2년 전부터는 하루에 두 번씩이다. 소설에도 나오듯이, 골목을 어지럽힌다는 이유로 고양이들에게도 고양이 밥 주는 사람에게도 사람들은 쉽게 적대적이 된다. 이 소설을 읽으며 시인이 사람들의 적의에 매일 받았을 상처, 그럼에도 멈추지 않을 수 있었던 원동력을 헤아리게 된다. 사랑, 이웃, 생명, 위로, 자유…… 대도시의 뒷골목 쓰레기통, 공사장 자재 사이, 외진 주차장에도 아름다움이 깃들어 있는 걸 아는 이들은 결코 지치지 않음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