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비극의 재료 상세페이지

비극의 재료

교유서가 시집 002

  • 관심 0
소장
종이책 정가
13,000원
전자책 정가
30%↓
9,000원
판매가
9,000원
출간 정보
  • 2025.11.06 전자책, 종이책 동시 출간
듣기 기능
TTS(듣기) 지원
파일 정보
  • EPUB
  • 약 2.5만 자
  • 39.3MB
지원 환경
  • PC뷰어
  • PAPER
ISBN
9791124128091
UCI
-
비극의 재료

작품 정보

* 이 콘텐츠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죽음과 어울리는 시간에는
눈이 부셔서 눈을 감았다”

빛과 어둠의 경계에서 태어난 비극의 시학
핏빛 언어로 그려낸 세계의 초상
‘원성은’이라는 새로운 장르의 탄생!


일상에 신선한 감각을!
교유서가, ‘새로움’에 ‘시’를 더하다!
원성은, 소후에 시인의 시집으로 ‘시의 새로운 문법’을 제시하다
원성은 『비극의 재료』, 소후에 『우주는 푸른 사과처럼 무사해』 동시 출간

“자기가 겨누는 자신을 다시 돌아보고
옹호하고 보듬고, 어둠을 어둠인 줄 알고 응시하는
존재로서 자신이 그 곁에 존재하겠다는 것.
이번 원성은의 시가 창출한 새로운 국면이다”
_선우은실(문학평론가)

그동안 인문학, 교양 분야의 깊이 있는 양서를 꾸준히 출간하며 탄탄한 입지를 다져온 교유서가가 마침내 ‘교유서가 시집’ 시리즈를 론칭하며 시(詩)의 세계로 첫발을 내딛는다. 기존 출판 영역을 확장하고 독자들에게 새로운 차원의 사유와 감각을 제공하겠다는 의지다. 그 첫 시작으로 원성은 시인의 두번째 시집 『비극의 재료』를 출간했다. 이 시집은 대산문화재단 대산창작기금 수혜작이다.

세계를 한 폭의 그림이라 한다면, 그것은 이미 오래전에 훼손된 그림일 것이다.

그러나 세계는 원래
훼손된 그림이야 거대한 그림
열쇠 수리공과 자물쇠 도둑이 함께 그린 그림
_「블랙박스 해체하기」

시집을 여는 시 「블랙박스 해체하기」는 원성은이 세계를 바라보는 태도를 명확히 드러내는 선언문 같다. 세계는 완전하거나 아름답기만 하지 않으며 “훼손된 그림”, 그것도 “거대한 그림”이다. “열쇠 수리공”과 “자물쇠 도둑”이 함께 그린 그림은 선과 악, 질서와 혼돈, 창조와 파괴가 뒤섞인 모순적 구조물이다. 『비극의 재료』는 그 찢긴 캔버스 위에서 다시 붓을 드는 시인의 기록이다. 여기서 시는 세계를 복원하는 대신 손상된 미학을 탐구한다. 시인은 아름다움을 완성의 상태로 보지 않는 듯하다. 오히려 부서지고, 번지고, 엎질러진 흔적 속에야 진실이 깃든다고 믿는다.

재료 1: 색
『비극의 재료』의 인상적인 장면들에는 언제나 색이 있다. 그러나 그 색은 명료하지 않다. 「색맹」에서는 “흑백영화에서는 불이 더 환하게 타요/ 물도 더 환하게 흘러요/ 그리고 피는 그 어느 때보다도 캄캄하지요”라 말하며, 감각의 불안정함을 시각의 문제로 치환시킨다. 명암과 색채는 단순한 시각적 요소가 아니라 감정의 구조를 드러내는 미학적 장치다. ‘비극’이란 그 자체가 어둠이 아니라, 빛을 감지하기 위한 조건이라는 점을 시인은 알고 있다.
「케첩과 피 사이의 붉은 자국」에서는 “화면에서는 케첩도, 피도 모두 붉은 물감일 뿐”이라 말한다. 피와 케첩, 폭력과 예술, 진짜와 가짜의 경계는 모호하다. 시인은 이 ‘유사한 붉음’을 응시하며 현실과 재현의 틈을 탐문한다. 그런 의미에서 원성은의 시에서 비극은 사건의 내용이 아니라 재현의 문제다. “이 장면을 쓰지 않기로 결심한 후에/ 집에 오자마자 쓰고 있는 나”라는 구절은 그 자각의 순간을 보여준다. 그리고 원성은의 시는 그러한 자각을 미학으로 바꿔놓는다.

재료 2: 불화
레몬을 제외한 것들, 정확히는
오렌지와 유사한 종들만
담아놓은 과일바구니가 있어

낑깡, 금귤, 유주, 한라봉, 천혜향
오렌지, 오렌지, 오렌지
그리고 이건 그리고, 라는 부사의 사용처럼
불쑥 끼이는 레몬이야

낄 데 안 낄 데를 모르는 레몬이야

캘리포니아의 쨍한 햇살 같은 맛
해바라기처럼 촘촘한 밀도의 빛
오렌지
그러나 이건 그러나, 라는 찡그림처럼
신 맛의 레몬이야

(…)
그리고, 그러나, 그래서

레몬은 레몬이기를 멈추지 않았다
씨앗도 열매도 모두 돌이킬 수 없어져서
흙속에서 무럭무럭
나뭇가지 끝에서 주렁주렁

레몬은 레몬이었다
_「레몬을 변호함」

『비극의 재료』의 시들은 조용한 불화를 지속한다. 「레몬을 변호함」의 달콤한 오렌지들 사이에서 홀로 시큼한 레몬은 달콤함의 질서에서 벗어난 존재다. 시적 화자는 레몬을 질서에 편입시키려 하는 대신, 그 신맛을 변호하며 불협화음과 비정상을 옹호한다. 세상의 중심에서 밀려난 언어와 사람, 틀린 문장과 비뚤어진 감정을 감싸안는다. 이 불화의 미학은 「적록색맹」에서도 이어진다. “이곳에서는 색맹이 유행한다/ 야생동물들은 원래 싸움을 좋아하지 않았지만/ 어느 날부터 포식자의 눈에 초록색의 나뭇잎과 풀 모두/ 붉은 핏물이 묻은 것처럼/ 보이기 시작한다 그것을 전쟁이라고 부른다”. 초록과 붉음의 혼동, 즉 감각의 왜곡은 곧 세계의 윤리적 혼란을 반영한다. 또한 「사물A」에서 “사물은 사람을 대체한다”라고 선언하듯, 인간 중심의 질서를 벗어난 비인간적 감각의 언어가 등장한다. 시인은 언어와 세계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는 지점에서 오히려 새로운 의미의 가능성을 발견한다.
“여기저기 치이는 존재에 대한 옹호는 그 존재가 특정한 상황을 희망으로 이겨낸다는 역전을 꾀하는 대신, 여전히 그런 세상에 그런 채로 지속되고 있다는 인식에 도달하여 빛난다.”(「해설」) 원성은의 시는 ‘여전히 그런 채로’의 세계를 품는다. 시와 세계가 서로를 해체하며 만들어내는 불완전한 조화가 이 시집이 구축한 언어의 윤리다.

재료 3: 죽음
“내가 죽였다”
여자는 이렇게 쓴 작은 나무판과 함께
죽은 화분의 사진을 액자에 걸어두었다
죽은 화분의 이름은 수경이었다
그렇게 하면 살아 있는 수경이가 정말 죽기라도 하는
것 같았다
_「죽은 화분」

『비극의 재료』의 많은 시는 소멸과 변형의 순간을 응시한다. 「죽은 화분」에서 죽음은 단순한 상실이 아니라 기억이 형상화되는 장면이다. “내가 죽였다”라는 문장은 선언이자 주석처럼 죽음을 언어로 봉인하려는 것 같다. 시적 화자는 그 장면을 차분히 관찰할 뿐 애도나 감정의 폭발로 나아가지 않는다. 죽음은 이미 액자 속에 들어간 하나의 오브제가 되었고, 그 오브제를 바라보는 시선은 살아 있는 자의 증거가 된다.

죽음을 그리려고 할수록
화가의 손은 민첩해야 한다
꽃이 시드는 속도, 깎아놓은 사과가 갈변하는 속도, 신선한 치즈가 부패하는 속도, 곰팡이가 번지는 속도, 그리고
사랑의 심장박동과 시곗바늘이
원래 속도를 찾아가는 속도
_「림보: 404 Not Found」

「림보: 404 Not Found」에서는 죽음을 멈춤으로 보지 않는다. 꽃이 시드는 속도, 사과가 갈변하는 속도, 치즈가 부패하는 속도 그리고 사랑의 심장박동과 시곗바늘이 원래 속도로 돌아가는 속도. 죽음은 정지의 상태가 아니라 시간의 미묘한 변화로 나타난다. 죽음은 종결이 아니라 모든 사물이 ‘원래의 속도’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부패하고 변색하며 사라지는 일은 곧 세계가 스스로를 갱신하는 운동이다. 『비극의 재료』의 죽음은 그래서 정지된 사건이 아니라, 언어가 다시 움직이기 시작하는 기점이다. 시인은 멈춘 것을 응시하면서도 그 안에서 움직임을 감지한다. 그것이 원성은의 시가 보여주는 비극의 새로운 감각이다.

『비극의 재료』는 하나의 거대한 그림이다. 완전하지 않고, 복원되지 않으며, 여전히 훼손된 채로 남아 있는 세계를 담았다. 시인은 얼룩과 균열, 실패와 부조화의 흔적을 그대로 두고, 그 위에 새로운 선을 긋는다. 원성은의 시는 세상을 치유하려 하지 않는다. 대신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부서진 언어로 기록하는 일을 택한다. 그렇게 그는 비극을 미학으로 전환시킨다.

작가

원성은
데뷔
2015년 문예중앙
작가 프로필 수정 요청
작가의 대표 작품더보기
  • 비극의 재료 (원성은)
  • 새의 이름은 영원히 모른 채 (원성은)
  • AnA Vol4: 어제를 기억하는 여덟 개의 방식 (김선욱, 박다래)

리뷰

0.0

구매자 별점
0명 평가

이 작품을 평가해 주세요!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1.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2.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3.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4. 해당 작품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5.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6.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7.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8.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아직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
'구매자' 표시는 유료 작품 결제 후 다운로드하거나 리디셀렉트 작품을 다운로드 한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작품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작품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내 무료 작품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작품을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작품을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교유서가 시집더보기

  • 우리의 슬픔은 전문적이고 아름다워 (리산)

시 베스트더보기

  • 신곡 세트 (전3권) (알리기에리 단테, 김운찬)
  •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한강)
  • 샤워젤과 소다수 (고선경)
  • 쓸데없이 눈부신 게 세상에는 있어요 (안도현)
  • 입 속의 검은 잎 (기형도)
  • 꼭 읽어야 할 한국 대표 시집 1-3권 세트 (전3권) (윤동주)
  • 나 외계인이 될지도 몰라 (신이인)
  • 여름 피치 스파클링 (차정은)
  • 당신을 알기 전에는 시 없이도 잘 지냈습니다 (류시화)
  • 당신의 세계는 아직도 바다와 빗소리와 작약을 취급하는지 (김경미)
  • 엔딩과 랜딩 (이원석)
  • 신곡 (알리기에리 단테, 귀스타브 도레)
  • 온 (안미옥)
  • 일요일의 예술가 (황유원)
  • 싱크로나이즈드 바다 아네모네 (김혜순)
  • 모든 날씨들아 쉬었다 가렴 (지연 )
  • 사랑과 멸종을 바꿔 읽어보십시오 (유선혜)
  • 희소 미래 (안미린)
  • 자꾸만 꿈만 꾸자 (조온윤)
  • 영혼을 위한 시 쓰기 (나태주)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앱으로 연결해서 다운로드하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대여한 작품은 다운로드 시점부터 대여가 시작됩니다.
앱으로 연결해서 보시겠습니까?
닫기 버튼
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앱 다운로드로 자동 연결됩니다.
모바일 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