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디 접속이 원활하지 않습니다.
강제 새로 고침(Ctrl + F5)이나 브라우저 캐시 삭제를 진행해주세요.
계속해서 문제가 발생한다면 리디 접속 테스트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테스트 페이지로 이동하기

안대회ㆍ이종묵ㆍ정민의 매일 읽는 우리 옛글 79 상세페이지

리디 info

* 본 도서는 본문이 일부 한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도서 이용에 참고 부탁드립니다.


안대회ㆍ이종묵ㆍ정민의 매일 읽는 우리 옛글 79작품 소개

<안대회ㆍ이종묵ㆍ정민의 매일 읽는 우리 옛글 79> 새로운 시대의 읽기에 걸맞은 새로운 형식과 현대적 번역
한글세대를 위한 우리 시대의 ‘동문선’


우리 고전의 부흥을 이끌고 있는 안대회, 이종묵, 정민 등의 중견 학자를 비롯해 이현일, 이홍식, 장유승 등의 신진 학자들이 참여한 선집이다. 선인들의 깊이 있는 사유와 통찰, 지혜가 스민 우리나라의 고전 한문 명문 중 현대인에게도 생각거리를 제공하고 감동을 주는 글들을 가려 뽑아 현대어로 옮기고 풀이했다. 한 권당 일곱 편씩 번역문과 해설, 원문을 함께 실어 구성했으며 매달 세 권씩 전자책으로 출간된다.
79권에는 조선 시대에 퇴계 이황과 쌍벽을 이루었던 성리학자 남명 조식의 글을 소개한다. 퇴계와 남명은 1501년 같은 해 각각 경상좌도와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독자적인 학파를 형성하고 조선 성리학의 기틀을 잡았다. 두 사람이 편지로 교유한 흔적이 79권의 표제작 「퇴계에게」이다. 한 시대를 살면서도 학문과 출처(出處)가 달랐던 남명과 퇴계가 비유에 기대 넌지시 뜻을 주고받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현실 속에서의 실천을 중시한 남명의 면모가 가장 잘 드러난 「자전은 과부이며 전하는 고아입니다」, 「백성의 무서움」도 같이 실었다.


이 책의 시리즈



저자 소개

저자 - 조식 (曹植, 1501~1572년)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건중(健中), 호는 남명(南冥)이다. 경상도 삼가현(三嘉縣, 현 합천군 삼가면)에서 태어났다. 관직 생활을 하는 부친을 따라 한동안 서울에 살다가 26세에 부친상을 당해 고향으로 돌아갔다. 20세에 사마시 초시(初試)와 문과 초시에 합격했지만 회시(會試)에 낙방해 급제하지 못하고, 결국 37세에 과거를 포기한다. 성리학자로서의 명성에 힘입어 참봉, 주부 등의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55세에 단성 현감(丹城縣監)에 임명되자 상소를 올려 사직했는데 이 상소에서 문정 왕후(文定王后)를 과부로, 명종을 고아로 비유해 파란을 일으켰다.
조식의 제자들은 한때 경상우도 일대를 중심으로 학파를 형성해서 경상좌도의 퇴계 학파와 쌍벽을 이루었으나, 정인홍(鄭仁弘)의 몰락과 함께 쇠퇴했다. 저술로 문집 『남명집(南冥集)』, 선현의 언행을 모은 『남명학기유편(南冥學記類編)』 등이 전한다.

저자 - 최연 (崔演, 1503~1549년)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연지(演之), 호는 간재(艮齋)이다. 1525년 문과에 급제하고 사가독서(賜暇讀書)에 선발되었다. 문장력을 인정받아 항상 지제교(知製敎)를 겸임하며 국가의 주요 문서를 작성하고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비교적 순조로운 관직 생활을 보냈으며 형조 판서를 역임했다.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문집 『간재집(艮齋集)』이 전한다. 시호는 문양(文襄)이다.

저자 - 홍섬 (洪暹, 1504~1585년)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퇴지(退之), 호는 인재(忍齋)이다. 영의정을 역임한 홍언필(洪彦弼)의 아들이다. 조광조(趙光祖)의 문인으로 1531년 문과에 급제했다. 권신 김안로(金安老)를 탄핵해서 흥양(興陽)에 유배되었다가 김안로가 죽은 뒤 풀려났다. 그 뒤 승승장구해 이조 판서, 대제학을 역임했다. 한때 권신 남곤(南袞)을 탄핵한 일로 파직되었지만 영의정까지 올랐다. 문집 『인재집(忍齋集)』이 전하며 시호는 경헌(景憲)이다.

저자 - 김인후 (金麟厚, 1510~1560년)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후지(厚之), 호는 하서(河西)이다. 어린 시절 김안국(金安國)에게 『소학』을 배우고, 성균관에서는 이황(李滉)과 함께 공부했다. 1540년 문과에 급제하고 사가독서에 선발되었다. 시강원 설서에 임명되어 세자로 있던 인종(仁宗)을 가르쳤으며, 기묘사화에 희생된 선비들을 신원하도록 건의하기도 했다. 인종이 승하하자 옥과 현감(玉果縣監)을 끝으로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성리학 연구에 몰두했다.
문집 『하서전집(河西全集)』이 전한다. 중국 명시의 명구를 가려 뽑아 편찬한 『백련초해(百聯抄解)』는 조선 시대의 아동 한시 학습 교재로 널리 읽혔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역자 - 이종묵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을 거쳐 현재는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있다. 옛사람의 운치 있는 삶을 사랑하여 우리 옛 시와 글을 읽고 그 아름다움을 분석하여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한시 마중』, 『부부』, 『한국 한시의 전통과 문예미』, 『우리 한시를 읽다』, 『조선의 문화공간』(1~4)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누워서 노니는 산수』, 『부휴자담론』, 『사의당지, 우리 집을 말한다』, 『글로 세상을 호령하다』, 『양화소록 - 선비 꽃과 나무를 벗하다』 등이 있다.

역자 - 장유승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을 거쳐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조선 후기 서북 지역 문인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에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정조의 비밀어찰, 정조가 그의 시대를 말하다』가 있으며, 한국고전번역원의 번역위원으로 『정조어찰첩』, 『영조 승정원일기』 등을 옮겼다.

편자 - 안대회
현재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정밀한 해석과 깊이 있는 사유를 바탕으로 옛글을 분석함으로써 선인들의 삶을 풀어내는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편자 - 정민
현재 한양대 국문과 교수다. 무궁무진한 한문학 자료를 탐사하며 살아 있는 유용한 정보를 발굴하는 작업을 계속해 왔다.

편자 - 이현일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에서 조선 후기의 대표적 시인인 신위(申緯)를 연구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한문교육과 조교수이다.

편자 - 이홍식
현재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에는 연구 영역을 확장하여 연행록과 통신사행록을 기반으로 동아시아 문화 교섭의 구체적 양상을 밝히는 데 집중하고 있다.

목차

조식(曹植, 1501~1572년)
백성의 무서움 (民巖賦)
자전은 과부이며 전하는 고아입니다 (乙卯辭職疏)
퇴계에게 (答退溪書)

최연(崔演, 1503~1549년)
노비 기러기 (雁奴說)
쥐 잡는 고양이 (貓捕鼠說)

홍섬(洪暹, 1504~1585년)
궁궐 그림을 그린 이유 (漢陽宮闕圖記)

김인후(金麟厚, 1510~1560년)
미친 척하고 노비가 된 이유 (佯狂爲奴論)

주석
원문
책을 펴내면서
옮긴이 소개
엮은이 소개
기획의 말


리뷰

구매자 별점

0.0

점수비율
  • 5
  • 4
  • 3
  • 2
  • 1

0명이 평가함

리뷰 작성 영역

이 책을 평가해주세요!

내가 남긴 별점 0.0

별로예요

그저 그래요

보통이에요

좋아요

최고예요

별점 취소

구매자 표시 기준은 무엇인가요?

'구매자' 표시는 리디에서 유료도서 결제 후 다운로드 하시거나 리디셀렉트 도서를 다운로드하신 경우에만 표시됩니다.

무료 도서 (프로모션 등으로 무료로 전환된 도서 포함)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시리즈 도서 내 무료 도서
'구매자’로 표시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같은 시리즈의 유료 도서를 결제한 뒤 리뷰를 수정하거나 재등록하면 '구매자'로 표시됩니다.
영구 삭제
도서를 영구 삭제해도 ‘구매자’ 표시는 남아있습니다.
결제 취소
‘구매자’ 표시가 자동으로 사라집니다.

민음 디지털 클래식


이 책과 함께 구매한 책


이 책과 함께 둘러본 책



본문 끝 최상단으로 돌아가기

spinner
모바일 버전